Login

배우, 가수, 그리고 목사

김유훈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0-06-29 10:41

김유훈 / (사)한국문협밴쿠버지부 회원
     연극의 3대 요소를 희곡, 배우, 그리고 관객이라 한다. 특히 관객을 말하려면 무대가 필수적으로 따르게 되어있다. 이는 오늘날의 배우, 가수, 그리고 목사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들에게는 공통점이 있다. 즉 배우의 시나리오, 가수의 노랫말, 목사의 설교 노트가 희곡에 해당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무대에  관객이 있어야 배우는 연극을, 가수는 신이 나서 노래 할 수 있으며, 목사는 교인들이 많이 있으면 더 힘 있고 영적인 설교를 할 수 있다. 내가 한국에서 수백, 수천 명 앞에서 설교할 때와 이곳에서 수십 명의 교인 앞에서는 그 차이는 상당하다. 아마 배우와 가수들 역시 같은 심정일 것이다. 심지어 노래방에서 노래를 부를 때에도 관중이 있어야 더 잘 부르게 된다. 
 
     요즈음은 우환 폐렴으로 인해 우리가 지금 한 번도 경험해 본 적이 없는 세상 속에 살고 있어 배우와 가수는 관객이 없는 곳에서 연기나 노래를 해야 하며, 목사들은 교인이 없이 설교해야 하는 황당한 시대를 맞이하였다. 이와 같은 일은 전에도 없었으며 앞으로도 없을 것 같다.
 
     바로 이즈음 대한민국에서는 놀라운 일이 생겼다. 한 방송국에서 보여준 트로트 열풍으로 젊은 가수들이 관객이 없는 무대에서 열정적으로 노래하는 그 모습에  많은 시청자들이 환호하고 있다. 특히 임영웅이란 젊은이는 홀어머니 밑에서 자라나 노래를 너무 잘해서 성공하는 모습에 수많은 홀어머니에게 희망을 주었다고 한다. 그뿐만 아니라 외출을 자제하고 집에서 지내던 분들에게 노래로 외로움을 달랠 기회가 되어 그들의 인기는 더욱 올랐다. 그리고 수십 명이 결승에 가는 동안 그들이 부르는 노래들을 들으며 위로와 감동은 물론 노래 속에 얽힌 추억 속에 빠져들 수 있었으며 심금을 울려주는 노래에 눈물을 짓기도 한 장면들을 볼 수 있었다. 
 
     비록 연극의 요소에 빠질 수 없는 관객은 중요하지만, 그들에게는 관객과 상관없이 최선을 다해 노래하며 많은 시청자를 열광시킨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라 생각한다. 대부분의 목사가 아무리 최선을 다해 설교한다고 하더라도 교인들이 없다면 힘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설교다운 설교를 할 수 없게 된다. 왜냐하면 목사는 설교 중에 교인들과의 눈이 마주치는 교감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나는 젊은 가수들 모두에게 이 시대의 영웅이라고 부르고 싶다.
 
    대한민국은 좌파정부가 들어선 후 하루도 편한 날이 없이 나라를 재앙 수준으로 어렵게 만들고 있는 이때, 우리들의 젊은 가수들이 많은 국민들에게 위로와 감동으로 기쁨을 주고 있어 그들의 노래는 어느 때보다 값지다고 본다.
    과거 한국이 가난했던 시절, 그 당시 우리가 부르던 노래가 대부분 슬픔, 이별, 등등 아픔을 노래했다면 나라가 풍요해진 이후 태어난 신세대들의 노래는 밝고, 아름답고, 서정적인 노래들이 많이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신세대들은 주변의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듯하다. 그들은 관객이 있건 없건 상관없이 노래를 그렇게 열심히 부르고 각 분야에서 자신들에게 주어진 일을 잘하고 있다. 이러한 청년들이 있는 한 대한민국의 장래는 밝다고 생각한다. 다만 방송에서 가수들의 활동이 부각되었을 뿐 모두가 우리를 대신하여 나라를 책임지는 다음 세대를 보는 듯하여 가슴이 뿌듯하였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나는 해외 교민이며 대한민국 사람으로서 그 정체성을 한번도 잊은 적이 없다.그래서아침에 눈을 뜨면, 고국의 소식에 눈과 귀를 기울이며 살아온지 어느덧 30년이 흘렀다.내가 그동안 트럭을 타고 미국과 카나다 전역을 돌아 다닐 때 과거엔는 CD를 통하여한국의 가요를 들으며 외로움을 달랠 수 있었다. 다행히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인해YouTube를 볼 수 있게되어 고국의 소식을 소상하게 보고 듣게 되었으며 실시간 댓글로의사를 소통할 수 있음은 우리...
김유훈
김유훈 / (사)한국문협 밴쿠버지부 회원해외에서 바라본 대한민국은 대단한 국가이다.  불과 60 여년만에  전세계 가장 가난한 나라에서 세계 10위의 경제대국이  되었다.우리의 어린시절 6.25 전쟁 이후 대부분이 가난했고 서울의 청계천과 산동네에는 판자촌이 대부분이였다.  지금 청계천 주변에는 고층빌딩들로, 판자촌은 고층아파트  마을들로 변한 모습은 고국을 방문할  때마다 감회가 새롭다.이렇게 대한민국의 역사가...
김유훈
무작정 상경 2021.05.03 (월)
김유훈 / (사) 한국문협밴쿠버지부 회원 “무작정 상경” 이란 말은 과거 한국이 가난했던 60-70년대에 흔히 쓰이던 표현이다.농촌 인구가 80%가 넘었을 시절 가난을 벗어나고자 많은 사람들이 고향을 등지고 더 나은 삶을위해 서울과 대도시로 일터를 찾아 떠났다.  그리고 이 시절 “쨍하고 해뜰 날”이란 노래를  부르며 온갖 고생 끝에 자리를 잡게 된 사연들이수없이 많이 있다....
김유훈
김유훈(사)한국문협 밴지부우리의 학창시절에 반드시 외워야했던 국민교육헌장은  “우리는 민족 중흥의 역사적 사명을 띠고 이 땅에 태어났다…”하며 시작되었다. 그 당시만 해도 절대 빈곤의 가난한 나라를 일으켜 잘 사는 것이 온 국민들의 꿈이며 희망이였다. 그리고 “새마을 노래”와 “잘 살아 보세”란 노래를 방방곳곳에서 전 국민이 부른 결과 대한민국은 민족이 중흥되었고 잘 살게 되었을 뿐 만 아니라 지금은 세계적인 나라가 되었다...
김유훈
김유훈(사)한국문인협 밴쿠버 지부 회원 한 해의 끝자락에서 돌이켜보니, 금년은 내가 살아오며 한 번도 경험해 본 적이 없는 시간을 지나온 것 같다. 중국 바이러스(covid-19)로 인해 전 세계가 공포속에서 지내며 수 많은 희생자들이 나왔다. 특히 소규모 자영업자들, 각종 운동선수들은 물론 공연 기획자들과 많은 연예인들에 이르기 까지, 그리고 국경을 폐쇄하여 사람들이 오갈 수 없어 여행업계는 거의 파산직전에 이르렀다. ...
김유훈
내가 지금가지 살아오면서 금년 (2020)처럼 온 세상이 혼란했던 기억은 없었다. 지난 해부터중국에서 부터 시작된 우환 폐렴(Covid-19)이라는 역병이 전 세계를 휩쓰는 까닭에 나라마다 큰어려움에 빠졌다. 미국과 카나다를 오가는 길까지 막혀버린 이때에 다행히 생활 필수품을 실은트럭들은 국경을 오갈 수 있지만 내가 속한 회사는 목재 등 건설자재를 나르는 회사인 까닭에물동량이 확 줄어들어 나는 트럭의 핸들을 잠시 놓고 지내게 되었다.그동안...
김유훈
     연극의 3대 요소를 희곡, 배우, 그리고 관객이라 한다. 특히 관객을 말하려면 무대가 필수적으로 따르게 되어있다. 이는 오늘날의 배우, 가수, 그리고 목사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들에게는 공통점이 있다. 즉 배우의 시나리오, 가수의 노랫말, 목사의 설교 노트가 희곡에 해당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무대에  관객이 있어야 배우는 연극을, 가수는 신이 나서 노래 할 수 있으며, 목사는 교인들이 많이 있으면 더 힘 있고 영적인...
김유훈
아내의 취미생활 2020.03.31 (화)
 금년은 나의 결혼 40주년이 되는 해이다.  23살의 새색시가 어느덧 환갑을 훌쩍 넘긴 할머니가 되었다. 그리고 아내는 지금도 변함없이 열심히 많은 일을 하고 있다. 지난  20년 넘게 직장생활을 하였으며 은퇴 후, 지금은 작은 스모크 숍을 운영하고 있다. 아내는 이렇게 바쁘게 살고 있지만 쉬지 않고 취미생활을 하고 있다.   과거 한국에서는 목사 사모로 일은 안 했지만 취미생활은 열심이었다. 지점토 공예, 수채화 그리기, 그리고...
김유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