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美의회 “화웨이 사용국에 미군 파병 재검토” 한국도 직접 영향

밴조선에디터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0-12-06 11:46

미 의회가 처리할 예정인 2021 회계연도 국방수권법(NDAA)에 화웨이 등 중국 업체의 5G 기술을 사용하는 국가에 미군을 배치하는 것을 ‘재검토(reconsider)’하도록 하는 내용의 조항을 새롭게 넣은 것으로 나타났다. 법안 통과가 확정되면 한국이 이 조항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된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6일 워싱턴발(發) 기사에서 미 의회가 마련한 NDAA 법안에 국방부가 ‘화웨이, ZTE 등 중국 업체들의 5G 기술이 사용되는 나라에 군대와 장비를 보내는 것을 재고해야 한다'는 내용의 조항이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이 조항에 따르면 미국 국방부는 부대와 장비 등 전력을 해외에 배치할 때 해당 국가의 5G 네트워크가 인원·장비·작전에 끼칠 수 있는 위험 요인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이 법의 적용 대상인 부대의 규모는 1000명 이상인 대대급 부대부터고, 대상 장비는 ‘주요 무기 체계’다.

이에 따라 국내 통신사가 화웨이의 5G 장비를 쓰는 한국은 이 조항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나라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한국 이동통신사 중에서는 LG유플러스가 기지국 등 화웨이의 5G 네트워크 장비를 부분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태호 외교부 제2차관과 키이스 크라크(Keith Krach) 미 국무부 경제차관이 수석대표로 참석하는'제5차 한·미 고위급 경제협의회(SED: Senior Economic Dialogue)'가 지난 10월 14일 화상회의 방식으로 개최됐다. /외교부
이태호 외교부 제2차관과 키이스 크라크(Keith Krach) 미 국무부 경제차관이 수석대표로 참석하는'제5차 한·미 고위급 경제협의회(SED: Senior Economic Dialogue)'가 지난 10월 14일 화상회의 방식으로 개최됐다. /외교부

트럼프 행정부는 그동안 화웨이 등 중국 통신장비 업체들의 5G 장비가 중국의 스파이 활동에 악용될 가능성이 있다며 한국 등 우방국들에게 이런 업체를 배제하라고 요구해왔다.

미국은 지난 10월 열린 제5차 한미고위급 경제협의회(SED)에서 중국 IT기업의 5G 통신망 등을 배제하는 ‘클린 네트워크’에 우리 정부의 동참을 강력하게 요구했다. 또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지난 7월 화웨이 장비를 사용하지 않는다며 국내 이동통신사 가운데 SK텔레콤과 KT를 콕 집어 “깨끗한 통신사(clean carriers)”로 표현했다.

외교부는 이에 대해 “이동통신 사업자가 특정 업체를 사용하느냐, 안 하느냐는 문제는 관계 법령상 민간 기업이 결정할 사항”이라며 입장 표명을 유보하고 있다. 수 김 랜드연구소 연구원은 “워싱턴과의 동맹, 베이징과의 경제 파트너십 사이에서 서울(한국)이 진퇴양난을 겪는 모양새”라고 했다.

김은중 기자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