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자연이 주는 빵을 구우며, 기다리며

윤의정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0-12-07 08:40

윤의정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코로나로 인해 사람들과 거리를 두고, 일상에서 누리던 것들과 멀어지면서 나는 자연스럽게 집안에서 있는 것들에 익숙해져 갔다. 가구 배치를 바꾸고, 정원을 가꾸고, 빵을 구우며 사람들과 함께 하지 않아도 있는 일들을 찾으려 했기 때문이었다. 처음엔 무료하기만 하던 하루하루가 점점 기존과는 다른 일상으로 바뀌어 갔다. 물론 여전히 나는 언제 돌아올지 모를 예전의 일상을 그리며 기다림의 끈을 놓지 않으려 한다.

 

여러 취미 중에서도 유독 빠져 있는 것이 있다면 베이킹이라 있다. 중에서도 인스턴트 이스트를 쓰지 않고 밀가루 자체가 발효되어 발생하는 천연 효모로 빵을 만드는 재미를 알게 되었다. 자연이라는 곳이 참으로 신기한 곳이라 생각이 들었는데, 보이지 않는 효모들이 밀가루와 물과 만나 숨을 쉬고 빵을 부풀리고, 맛있는 빵을 완성하게 한다. 한편으로 우리가 보이지 않는 코로나와 사투를 벌이는 어려움에 놓여있는데, 자연은 그렇게 보이지 않는 곳에서 그리 바삐 움직이고 있던 것이 아니었던가 싶기도 하다. 그것에 비하면 우리는 너무 보이는 것들, 단편 적인 들에만 사로잡혀 있던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천연 효모로 빵을 굽는 과정은 인스턴트 이스트의 그것보다 배나 더디고 느리다. 스스로 몸집을 부풀리기를 기다리다 보니, 버거워 나가 떨어지는 죽은 효모들도 생겨나고 어떻게 역동적인 생명력으로 살아남는 것들도 있다. 자연의 모습 그대로 부족한 것들, 죽어가는 것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나는 것들이 모두 공간에 존재한다. 인위적인 가공이 없던 원래의 모습은 아마도 그러했던 것일 터인데, 원래 그대로의 빵을 구우며, 기다리며 나는 참으로 많은 것들을 배우고 느끼고 생각하게 된다.

 

기다리고 기다리다 만난 빵들은 몸집이 이스트로 부풀린 빵에 비해 작은 편이다. 오랜 기다림과 노력에 비해 보잘것없어 보이는 빵들의 몸집에 적잖이 실망할 법도 한데, 맛과 풍미에 맛을 들이면 기다림이 참으로 의미 있던 것이었음을 알게 된다. 첨가물이 가미된 인위적인 맛이 아니라, 하나의 단어로 표현할 없는, 깊고, 깊은 무엇인가를 품고 있다. 아마 자연과 생명이 모두 안에서 어우러져 만들어진 것이라 그러지 않을까?

 

그렇게 매일 같이 빵을 구우며 나는 오늘도 기다린다. 자연 그대로의 맛과 멋을 담은 조금은 투박하고 조금은 소박한 빵을 만나기를, 누구보다 멋지고 화려하지 않았지만 소박하고 담백했던 하루하루의 일상을. 지금은 일상의 깊은 의미를 배우기 위해 기다리는 시간이리라. 그리고 기다림이 길어도 결국 끝엔 다시 멋을 품은 일상을 만나게 되리라. 나는 그렇게 오늘도 자연이 주는 빵을 구우며 자연이 돌려줄 우리의 삶을 기다린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윤의정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이모, 이모는 어렸을 때 뭐하고 놀았어요?”친한 언니의 딸아이가 나에게 물었다. 아이는 오징어 게임 열풍을 겪으며 한국 과거의 놀이가 궁금했나 보다. 무엇을 했던가? 나는 어떤 놀이를 했었던가 기억을 더듬으며 아이에게 설명해주려고 했다.“음…… 딱 하나만 하고 논 건 아니야. 이것저것 하고 놀았는데, 우리는 아무래도 고무줄 놀이를 많이 했지?”“고무줄이요? 고무줄로 어떻게 놀아요?”아이는 고무 밴드...
윤의정
친구야, 놀자! 2021.07.05 (월)
윤의정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어린 시절을 떠올려보면, 가장 오래된 기억은 친구가 우리 집을 찾아와 도어 벨을 누르며, ‘친구야 놀자’라 소리쳐 나를 부르던 것이라 꼽을 수 있다. 막 사교활동을 하면서 가족 이외의 누군가와 관계를 맺던 기억이라 주체적으로 행동했던 나만의 경험이라 깊게 남은 게 아닌가 생각된다. 불행히도 그날따라 난 우리 집에 놀러 온 다른 친구와 재미있게 노느라 그 친구와 놀 수 없다고 했다. 그리고 거절을 당한...
윤의정
윤의정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캐나다에서 어린아이들과 살아가는 것을 선택함으로써 원하던 것을 얻기도 하지만, 또 많은 것을 잃는다. 그중 하나가 한국인으로 서의 정체성이리라. 특히 어린 아이일수록 나와 가지는 문화적 배경의 간극이 진짜 좀 크다. 즉 내가 아는 한국과, 내가 아는 한국어, 내가 아는 한국 문화는 아이들의 그것과 같을 수 없다. 그리고 나는 그것이 못내 아쉽다. 아이들과 같은 공간에서 같은 한국어로 대화를 하고는 있지만,...
윤의정
윤의정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코로나로 인해 사람들과 거리를 두고, 일상에서 누리던 것들과 멀어지면서 나는 자연스럽게 집안에서 할 수 있는 것들에 익숙해져 갔다. 가구 배치를 바꾸고, 정원을 가꾸고, 빵을 구우며 사람들과 함께 하지 않아도 할 수 있는 일들을 찾으려 했기 때문이었다. 처음엔 무료하기만 하던 하루하루가 점점 더 기존과는 다른 일상으로 바뀌어 갔다. 물론 여전히 나는 언제 돌아올지 모를 예전의 일상을 그리며 기다림의...
윤의정
코로나로 아이들이 집에 콕 박혀 있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아이와 여러 자잘한 부침이생기더라. 한창 놀고 싶은 나이에 친구들과 뛰어놀던 일상을 보내던 아이들이 갑자기 아무것도하지 못하고 가만히 있어야 한다는 것이 꽤 힘들었을 법도 하다. 자기들끼리 도 자꾸 싸우고별거 아닌 것에도 쉽게 화를 내며 짜증을 냈다. 당연히 아이들은 매일 게임을 통해 스트레스를 풀고, 시간을 보내려고 하는 경향이 늘어만갔다. 엄마인 나는 그런 모습이...
윤의정
아끼는 삶 2020.04.27 (월)
어릴 적 맞벌이인 부모님 덕분에 우리는 할머니와 함께 살아야 했다. 오빠와 여동생, 그리고 나로 이루어진 우리 형제자매는 할머니의 보살핌 속에서 자라났는데, 그래서인지 엄격하기도 하고 조금은 옛스러운 교육을 받았던 것 같다. 지금 보면 이해할 수 없던 일들도 있었지만, 당시는 너무도 당연한 것들도 많았다. 뜨거운 물에 밥을 말아 호호 불다가 입에 잠시 머금고는 식혔다며 입에 쏙 넣어 주시기도 하셨고, 당신의 사고방식으로 남자와...
윤의정
죽는다는 말 2019.10.07 (월)
 지금은 웃으면서 회상할 수 있는 일이 되었지만, 지난해 나는 예상치 못한 일들로 학교에 불려갔던 일이 있다. 캐나다에서 지낸 지 2년 차에 접어들었던 터라, 잘 지내고 있으리라 생각해 조금은 방심했던 것이 문제였던 것인지도 모르겠다. 마음을 놓고 있다가 불쑥 학교로부터 걸려온 전화에 크게 당황했던 일이 아직도 잊히지 않는다. 학교에 아이들을 등교시킨 후 먹거리들을 사러 마트에 갔다. 이것저것 둘러보고 필요한 물품들을 카트에...
윤의정
“아들, 어서 홈 리딩 숙제해! 뭐하니?”“엄마, 어서 빨리 와보세요! 여기요! 보여 드릴 게 있어요. 아주 중요한 것이 있어요.”“아들, 엄마 너무 바빠. 지금저녁 하잖니? 할 말 있으면 그냥 와서 말해. 그리고 너 빨리 홈 리딩 숙제하라니까,선생님께서 숙제해오라고 아젠다에 써주셨잖아.”저녁 식사를 준비하며 3학년 아이와 작은 실랑이가 있었다. 들어와서 책 한자라도 보라는 나와 정원에 나가 들어올생각을 하지 않는 아들과 점점 목소리를 키우며...
윤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