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강 변 헌책 노점상으로 30년 가까이 살아오고 있는 다비드 노섹(67)씨/손진석 특파원

지난 16일 오후 파리 시내 루브르박물관 옆 센강변. 겨울 햇볕이 강변을 따라 줄지어 선 헌책 노점 위를 내리쬐고 있었다. 이곳에서 30년 가까이 헌책을 팔고 있는 다비드 노섹(67)씨에게 ‘오늘 몇 권 팔았는지’ 묻자 그는 고개를 저었다. 노섹씨는 “여기서는 한권도 못 팔았다”고 했다.

노섹씨처럼 센강 변에서 고풍스런 헌책 노점을 운영하는 사람을 ‘부키니스트(bouquiniste)’라고 부른다. 헌책이라는 뜻의 ‘부캥(bouquin)’이라는 말에서 나왔다. 16세기에 등장해 약 500년의 명맥을 잇고 있는 부키니스트는 센강 주변에서 220여명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이 800여개의 매대를 운영한다.

한 부키니스트의 헌책 매대/손진석 특파원
한 부키니스트의 헌책 매대/손진석 특파원

부키니스트들의 헌책 매대는 오랜 세월 파리의 정취를 느끼게 하는 문화 유산의 역할을 해왔다. 1992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그러나 올해 코로나 사태로 관광객이 뚝 끊기면서 부키니스트들은 생계가 위협받고 있다. 평소 월 2500유로(약 336만원)를 벌었다는 노섹씨는 수입이 8분의1 수준으로 줄었다.

한 부키니스트의 매대. 헌책뿐 아니라 포스터, 만화, 엽서 등 오래된 다양한 출판물을 판다./손진석 특파원
한 부키니스트의 매대. 헌책뿐 아니라 포스터, 만화, 엽서 등 오래된 다양한 출판물을 판다./손진석 특파원

궁리 끝에 노섹씨가 주도해 부키니스트 50명이 뭉쳐 지난 10월 온라인몰을 개설했다. 젊은 시절 음향 기술자였던 노섹씨가 앞장섰다. 가장 디지털 세계과 거리가 멀 것 같은 이들이 생존을 위해 온라인 비즈니스 대열에 합류한 것이다. 온라인몰 이름은 ‘파리의 부키니스트(https://bouquinistesdeparis.com)’다. 헌책은 물론이고 포스터며 오래된 문헌, 사진집, 유명 인사의 사인 등을 판매한다. 일간 르파리지앵은 이 온라인몰을 가리켜 “이건 하나의 혁명”이라고 했다.

파리=손진석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