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UBC의 친환경 동아리를 소개합니다”

박경서 인턴기자 elysia207@gmail.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2-02-22 09:47

다양한 활동으로 ‘세계 1위 친환경 대학’ 이끌어

지난 7, UBC 대면 수업을 재개하면서 캠퍼스에 돌아온 학생들은 다양한 교내 활동을 기대하고 있다. 그중 환경운동은 단연코 많은 학생들의 관심을 받고 있으며, UBC세계 1 친환경으로 뽑힌 만큼 캠퍼스에는 다양한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 관련 동아리와 활동들이 존재한다.

 

특히, 지난 2 14일부터 18일은 UBC 비대면기후 비상 주간’(Climate emergency week)이었다. 일주일간 기후 정의(Climate justice) 달성을 위한 원탁회의(Open Round Table) 여러 이벤트가 진행되어 더욱 영향력 있는 기후 행동을 위한 비책을 논의할 있었다. 행사 자주 거론된 내용은 많은 학생이 환경운동에 동참하고 싶지만, 정보가 부족해 학교 어떤 활동에 참여할 있는지 모른다는 것이었다.

 

하늬바람 기자단은 UBC 환경 활동들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노력하고 있는 70개가 넘는 환경 동아리와 프로그램 6개를 선택해 소개한다.

 




UBC 환경대표 프로그램 (UBC Sustainability Ambassadors)

 

개인, 단체 지역 사회의 환경 개발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을 위한 리더십 프로그램이다. 지원서와 인터뷰를 거쳐 매년 20명의 환경대표가 선발되며, 대표단은 동안 지속 가능성에 대한 교육 워크숍, 환경 박람회와 학술 토론회 등을 통해 친환경 프로그램과 이벤트를 개발하고 제공한다.

 

UBC 공중보건 전공 1학년, 디피자 마디니(Madhani) 멘토:

 

UBC 환경 대표 프로그램에서는 다양한 학과의 학생들이 선발되며 환경문제를 다방면으로 다룰 기회가 제공된다. 오랫동안 캠퍼스에 적용될 장기 환경 프로젝트에 기여할 수 있으며, UBC에서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므로 다양한 행사나 이벤트의 참여도가 보장되어 환경 대표로서 다각적인 환경 운동을 할 수 있다. 1년간 리더십을 발휘하고, 환경 전문가와 직접 소통하며, UBC에 긍정적이고 의미 있는 친환경 변화를 주도하고 싶은 학생들에게 환경대표 프로그램을 추천한다.

sustain.ubc.ca

 



 

AMS 지속 가능성 (AMS Sustainability)

 

교내 자연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개발하며, 매년 AMS 이끌 새로운 학생들을 선발한다. 지속 가능성에 관련된 프로젝트를 시작하려는 UBC 학생들에게 기금을 통한 물적 지원을 해주며 대학교 환경, 사회 경제적 지속 가능성을 위해 노력하는 단체이다. 주요 프로젝트로는 제로 2025(Net Zero 2025)’,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육성하는 허브(Interactive Sustainability Centre)’ 음식물 쓰레기 전략(Zero Waste Foodware Strategy)’ 있다.

 

UBC 글로벌 자원 전공 3학년 제이슨 팡(Pang) 부회장

 

AMS에서는 UBC 수많은 환경 클럽과 기후 이니셔티브를 직접 지원하고, 교수진에게도 수업 커리큘럼 일부를 환경 전문가와 협업해 학생들에게 환경 교육을 제공할 있도록 돕고 있다. UBC 학생들의 기발한 친환경 아이디어를 지원하고, 교내 환경 프로젝트에 기여하고 싶은 학생들에게 AMS 함께할 것을 추천한다.”

www.ams.ubc.ca/how-we-run/sustainability

 



 

UBC 기후 허브 (UBC Climate Hub)

 

기후 정의를 위해 대학과 지역사회의 환경 인식을 높여, 과감한 기후 행동을 목표로 하는 학생 주도 환경 동아리이다. 학생 자원봉사자들과 환경 운동가들의 모임으로 시작된 UBC 기후 허브는 지속 가능한 저탄소 미래로의 전환을 가속하기 위해 힘쓰고 있으며, 매년 동아리를 대표할 학생들을 뽑고 있다. 진행 중인 주요 프로젝트로는 기후 시위와 청소년 기후 대사 프로젝트 등이 있다.

 

UBC 환경과학 전공 2학년 제니 자우(Zhou) 커뮤니케이션 대표

 

UBC 기후 허브는 교내를 벗어나 지역사회의 청년들과 협업하여 활동하는 동아리다. 우리는 매년 환경 교육을 지도할 UBC 대학생들을 선발해 주변 초등학교와 고등학교를 방문하여 기후 위기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있다. 청년들이 환경문제로 인하여 느끼는 불안감과 두려움을 미술로 표현해, 그들만의 환경 이야기를 있도록 도와줄 미술가들과 지속적으로 협업하며 접근이 쉬운 친환경 실천 방법을 알리고 있다.”

ubcclimatehub.ca

 




UBC 환경정책협회 (UBC Environmental Policy Association)

 

기후변화에 대한 경제적, 정치적 대응을 분석하는 동아리이다. 환경 정책에 대한 대중의 참여를 장려하기 위해 다양한 토론 기반 이벤트를 주최하며, 궁극적인 목표는 글로벌 기후 변화 정책과 그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는 것이다. 학생들이 대학 졸업 다양한 환경 전문 커리어를 쌓을 있도록환경 커리어 학생들의 환경 지식을 키우기 위한 교육 이벤트도 매년 진행한다.

 

UBC 지리학 전공 4학년 애나 루마너(Rumaner) 부회장

 

UBC 환경정책협회는 환경 정책을 다루는 유일한 UBC 동아리다. 환경운동의 정치적인 면을 토론하며, 선거 시 각 후보의 공약을 환경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고 학생들에게 전달한다. 또한 세계의 정부들과 기업들이 내세우는 환경 정책들에 대해서 논의하고 공유하여, UBC 학생들에게 더욱 책임 있는 선택을 있도록 돕고 있다.”

www.facebook.com/ubcepa

 



 

UBC 학생환경센터 (UBC Student Environment Centre)

 

환경 지속 가능성에 대해서 알고 싶어 하는 UBC 커뮤니티를 위한 AMS 자원 그룹이다. 학생들에게 도움을 제공하는 센터로 친환경 프로젝트를 위한 자금 지원 전문가와의 연결을 도와주고 있다. 또한 UBC 학생들이 주도하는 순환 경제 체제로 만들기 위해 내내 물물 교환을 도모하는 UBC Free Store 운영하고 있다.

 

UBC 환경과학 전공 4학년 실비 양(Yang) 부회장

 

UBC 학생환경센터는 친환경 소비를 지향하는 학생들에게 필요한 자원을 저렴하게 얻을 있도록 도와주는 센터다. UBC Free Store에서는 본인의 불필요한 물건을 기부함과 동시에 필요한 물건들을 가져갈 있으며, 물질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환경 전문가와 연결되어 학생 개개인이 실천하고 싶은 환경 프로젝트를 지원받을 있다.”

secubc.com

 



 

UBC 환경공학 동아리 (UBC Sustaingineering)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 지속 가능 발전을 위한 엔지니어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동아리이다. 매년 60 이상의 UBC 학생 회원을 선발하며, 멕시코, 네팔, 니카라과에 있는 여러 비정부 기구(NGO), 회사 학교와 활발한 협력을 하고 있다. 주요 프로젝트로는 친환경 (Tiny Home Project), 빗물 수확 프로젝트(Water Harvesting Project) UBC 태양광 농장(UBC Farm Solar Panels)으로, 환경공학의 미래를 설계하는 동아리이다.

 

UBC 환경과학 전공 3학년 엘리샤 박(Park) 영향 분석 담당

 

UBC 환경공학 동아리는 공학도가 아니어도 직접 프로젝트에 함께 참여할 있는 클럽이다. 분야의 전문 지식 공유를 통해 실질적인 결과물을 만들며 세계의 전문가들과 함께 친환경 디자인을 개발할 기회가 제공된다. 동안 열정 가득한 팀원들과 친환경 설계를 하고 싶다면 UBC 환경공학 동아리에 도전했으면 좋겠다.

www.sustaingineering.com

 

 

UBC K.I.S.S. 11.5 하늬바람 학생기자단

박경서 인턴기자 elysia207@gmail.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뉴웨스트 캠퍼스에··· 주정부 2억 달러 투자
10층 건물에 368실 규모··· 2026년 완공 목표
더글러스 컬리지(Douglas College) 뉴웨스트민스터 캠퍼스에 첫 기숙사 건물이 지어진다.   23일 BC 정부는 더글러스 컬리지의 새 기숙사 건립을 위해 대규모 투자를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웨스트 쇼어 지역 학생들, 대학 진학 기회 확대
UVic·RRU 등 참여··· 2024년부터 학생 수용
BC주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사회 중 한 곳인 웨스트 쇼어에 새로운 고등교육 협력 캠퍼스가 들어선다. BC주정부는 4일 성명을 통해 웨스트 쇼어 주민들의 대학 진학률과...
유아교사(ECE) 인력 부족난 극복에 방점
11·12학년 위한 '이중 학점 프로그램' 도입
BC주가 유아교육 전공 학생들에 대한 재정 지원을 확대함으로써 유아교사 인력부족난 극복에 활로를 찾고 있다. BC주정부는 지난 2018년 ‘ChildCareBC’가 출범한 이래 ECE 교육 지원...
성인 기초 교육 및 영어 학습 프로그램 신설
350만 달러 재정 지원··· 신규 이민자 ‘희소식’
기술 향상 교육을 원하는 사람들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이 신설되면서 학업 업그레이드뿐 아니라 고수요 직업을 향한 진로 개발에도 도움을 받을 길이 열린다. 새 학년도부터 BC주...
재활치료 전문 과정 육성 위해 3000여 달러 투자
"작업치료·조산술 과정도 향후 학습 환경 조성"
앞으로 써리와 프레이저 밸리 지역에서도 전문 재활치료 과정을 공부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앤 캉 선진교육·기술훈련부 장관은 23일 기자회견을 열고, UBC가 BC주정부의 지원을 받아...
‘최첨단’ UBC 의공학부 건물 2025년 완공
UBC의 의공학부(Biomedical Engineering) 학생들은 조만간 새로운 최첨단 학습 환경에서 공부하게 될 수 있을 전망이다.   13일 BC 주정부는 총 1억3940만 달러(UBC가 1억1440만 달러, 주정부가...
엘리트 어학원이 지난 14일 온라인 교육 세미나를 개최했다. 약 700명의 학생과 학부모들이 참석한 이번 세미나에는 미국 입시 전문가 스티브 류 박사가 ‘팬데믹 이후 미국 대학 입시...
코퀴틀람·포트무디 등 4개 지역 대상
부모 경제활동 지원 목적··· 328개 조성
한인 가정이 많이 밀집되어 있는 트라이시티(Tri-City; 포트무디, 코퀴틀람, 포트코퀴틀람)와 메이플릿지 지역에 보육공간이 추가로 조성된다. 카트리나 첸(Chen) BC 보육부 장관은 20일...
수년 동안 여러 학생과 사적인 대화 나눠
10년간 교사 자격증 재취득 금지
고등학교를 막 졸업한 제자에게 교제를 하자고 한 교사의 자격증이 박탈됐다.   BC 교사징계위원회(BC Commissioner for Teacher Regulation)는 지난달 29일 BC의 교사였던 조셉 제임스 하이존...
UBC는 국내 최대 대학인 만큼 매 학기 200개가 넘는 수의 강의를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이 중에서는 전공과목이 아닌데도 꼭 수강해보고 싶은 ‘이색 강의’가 존재한다. 곧...
BC 정부 “시대 뒤처진 젠더 용어 조항 삭제·개정”
과연 올바른 변화일까? UBC 학생들의 의견도 갈려
지난달 31일 BC 정부는 현 시류에 걸맞지 않은 젠더 용어(outdated gendered terms)를 포함한 138개의 조항을 삭제·개정했다고 밝혔다.   존 호건 BC 수상은 “시대에 뒤처진 젠더 용어를...
투표율 17%대 그쳐··· 팬데믹에 선거 운동 제한
“’대면수업’에 걸맞은 홍보 활동했어야” 지적
UBC의 총학생회를 이끌 새로운 임원단이 선출됐지만, 대면 수업 전환에도 불구하고 ‘역대급’으로 낮았던 투표율에 대해서는 아쉬움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 달 11일 UBC Alma...
써리·코퀴 교육청, 해외여행자에 마스크 착용 요구
“해외여행을 다녀온 사람들은 공공 실내 장소에서 여전히 마스크를 착용해야 합니다” 이번주 BC주 초·중·고교가 7개월 만에 마스크 없는 대면 개학을 맞은 가운데, 일부 여러...
이민부, 2021년 학생비자 45만 건 승인
작년 체류 유학생 62만 명··· '한국 6위'
지난해 캐나다 정부가 승인한 학생비자 건수가 사상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 이민부(IRCC)가 24일 발표한 관련 통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학생비자 허가 건수는...
학생 위해 다양한 정신건강 서비스 제공
매년 1500달러 지원··· 금전적 부담 덜어
지난 2년 동안의 팬데믹 기간 동안 UBC 학생들은 대면 수업 취소, 학교 폐쇄 등을 잇따라 경험하며, 이들의 정신건강은 그 어느때 보다 위기 상황에 놓여 있다.   UBC는 ‘코로나블루’를...
4년 전 학생 두 명에 성폭력 저질러
징역 90일·집행유예 2년 행 선고받아
학생에게 성폭력을 저질러 철창 신세를 지었던 애보츠포드 교사가 끝내 영구 퇴출당했다.   15일 BC 교사 징계위원회(BC Commissioner for Teacher Regulation)는 애포츠포드의 로버트...
성폭력 피해자에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수요 급증했지만 인력은 부족··· 운영 차질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성폭력 범죄가 급증하면서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지원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는 요즘이다.   이에 UBC 성폭력 지원센터(Sexual Assault Support Centre, 이하 SASC)는...
새로운 바이러스 추적해 또 다른 팬데믹 대비
지난 1월 26일, 세계 3대 과학 저널인 ‘네이처(Nature)’에서는 10만 개가량의 신종 RNA 바이러스와 아홉 개의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 종을 발견했다는 일명 ‘세라투스 프로젝트(Serratus...
다양한 활동으로 ‘세계 1위 친환경 대학’ 이끌어
지난 7일, UBC가 대면 수업을 재개하면서 캠퍼스에 돌아온 학생들은 다양한 교내 활동을 기대하고 있다. 그중 환경운동은 단연코 많은 학생들의 관심을 받고 있으며, UBC는 세계 1위...
“입학 절차, 학부 등 UBC 관련 궁금증 해소”
한인 재학생 직접 참석하는 Q&A 세션도 준비
UBC 총 한인 학생회 Korean Intercollegiate Student Society(이하 K.I.S.S.)가 오는 22일(화) 오후 7시, 온라인 플랫폼 줌(Zoom)을 통해 UBC 입학 설명회를 진행한다.   K.I.S.S.는 지난 1990년 설립 이후, 30여...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