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겨울에 크는 나무

조정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2-03-21 10:07

조정 / (사)한국문협 밴쿠버지부 회원
꽃을 시샘하는 풍설에도 봄은 어김없이 찾아온다. 헐벗은 나뭇가지들은 눈바람 속에서도 새순을 틔우고, 뿌리들은 더 깊게 땅속으로 내려가 생명의 물을 길어 올린다. 적막한 숲속, 고목 우듬지에서 날아오르던 레이븐 몇 마리가 동굴 밖 기척에 놀란 곰의 단잠을 깨운다. 들숨과 날숨을 고르던 곰의 그루잠 속에, 연어들의 마른 눈물 자국과 홀씨를 띄우지 못한 노란 민들레꽃 무리가 나타났다 사라진다. 
 
  새해 들어 곰과 동병상련의 정을 나누며 동안거 수행을 하고 있다. 매끼 식탁에 오르는 반찬 가짓수만 조금씩 달라질 뿐, 오늘이 어제와 같고 내일도 오늘과 다르지 않을 날들의 반복이다. 
“오늘 살아 있음은 어제 죽은 다른 이가 바라는 부활이며 기적이다. 밤이 깊을수록 별은 더욱 빛난다."
코비드 팬데믹의 그늘에서 인내심을 북돋우는 말들은 무성하지만, 높은 담장 안에 갇힌 채 출구로부터 멀어지는 느낌이다. 수감 생활의 어려움은 실천할 수 없는 인식의 확장이라고 말한 무기수의 말을 기억한다. 격리된 날들은 일상의 변화와 속력을 허용하지 않고, 자꾸만 지난날들을 뒤돌아보게 한다. 마치 뒷걸음질 치며 자신이 찍어 놓은 발자국으로 외로움을 달래는 사막의 순례자가 된 듯하다.
 
  조선 후기 실학자 이덕무는 ‘나는 나를 벗 삼는다. (吾友我)’고 했다.
“눈 오는 새벽, 비 내리는 저녁에 좋은 벗이 오지 않으니 누구와 얘기를 나눌까? 시험 삼아 내 입으로 글을 읽으니, 듣는 것은 나의 귀였다. 내 팔로 글씨를 쓰니, 감상하는 것은 내 눈이었다. 내가 나를 벗으로 삼았거늘, 다시 무슨 원망이 있으랴!”
(이덕무의 <선귤당농소蟬橘堂濃笑>중에서)
  책 읽기는 내가 나를 벗 삼는 일의 순서 매김 중에서 첫째로 꼽힌다. 지난겨울, 시공을 거슬러 몇 권의 책을 정독한 것은 큰 수확이었다. 행간에 담긴 저자의 심오한 사상은 물론, 그들의 삶에서 길어 올린 격조 있는 인품과 정서에서 더 넓은 세상을 만날 수 있었다.
 
  자유롭지 못한 하루하루를 보내는 요즈음, 코비드 19사태로 주목받는 1947년 출간된 알베르 카뮈(Albert Camus 1913-1960)의 소설 <페스트 La Peste>를 읽게 되었다.
 카뮈는 페스트로 봉쇄된 인구 20만의 프랑스령 알제리 오랑 이라는 도시에서, 재앙에 대처하는 다양한 인물들의 희망과 절망 그리고 전염병이 소멸하기까지, 두려움에 맞서 연대하는 사람들을 소설 <페스트>에 담고 있다. 전염병의 급속한 확산과 전기, 식량, 생필품 공급이 제한된 도시에서 사람들은, 가족, 친구들과도 이별의 아픔을 겪어야 하는 극한의 혼란 속에 빠지게 된다. 점점 죽음의 공포로 무기력해진 사람들이 도시의 무질서 속으로 내몰릴 때, 성실한 의사 베르나르 리유와 의료 자원 봉사대를 조직하는 장 타루 그리고 취재차 이 도시에 머물며 '혼자만 행복하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임을 깨달은 레몽 랑베르…, 이들 모두는 환자들을 돌보며 공동체 안에서 사랑을 재발견하는 인물들이다.
카뮈는 죽음 앞에서도 체념하지 않고 인간 조건에 도전하는 사람들을 부조리한 세상의 진정한 빛이며 반항이라고 조명하고 있다. 그는 리유를 통해 페스트는 질병뿐 아니라 세상의 전쟁과 빈곤, 인간 내면의 선과 악, 무지와 맹목적인 믿음 등, 절대 소멸하지 않는 다양한 형태의 부조리라는 것을 일깨우고 있다. 카뮈는 논리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삶의 고통 속에 내던져진 인간의 실존을 통찰하며, 절망에 맞서는 의지만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희망이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소설 <페스트>의 표면에 드러난 ‘거부와 부정’의 이면에는, 억누를 수 없는 긍정의 힘과  행복에 대한 열망이 전제되어 있다.
“삶에 대한 절망 없이는 삶에 대한 희망도 없다.” 
가난과 질병에 맞서 충실한 삶을 살다 1957년 44세에 <이방인>으로 노벨 문학상을 받은 카뮈의 신념이 담긴 말이다.
 
  책은 미로의 동굴 속으로 스며드는 빛처럼, 미처 보지 못한 진실을 내보이며 고통의 뿌리를 이해시킨다. 책을 읽으며 침묵할 때면 내  좁은 인식의 틀을 벗어나 자신을 변화시키고 정신의 탄력을 유지하기도 한다. 책에서 만나는 인물들은 깨우침을 주는 스승이 되기도 하고,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영혼의 친구가 되어 불가해한 삶을 납득시키고 격려를 아끼지 않는다. 
 
  맹위를 떨치던 코비드 팬데믹이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이제 길었던 묵언의 안거를 마무리하고 새봄 맞이 만행에 나설 때다. 꿋꿋한 기상으로 눈바람과 마주하던 소나무 잎새에 어느덧 연둣빛 봄이 피어난다. 혹한의 적막한 숲속에서 나이테를 키우는 나무들은, 초록이 물결치는 그 날을 기다린다. 봄을 기다리는 나무들은 겨울 추위 속에서도 살아있음의 기쁨을 안다. 간절한 기다림은 겨울을 견디게 하는 힘이었다.  
  
 
*이덕무의 ‘선귤당농소 蟬橘堂濃笑'는 벗과 책, 자연을 관하며 쓴 미문으로,
‘선귤당이라는 당호의  자기 집에서 실컷 웃어본다.’는 의미이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보리굴비 한 두름 2023.06.28 (수)
 맛의 기억은 회귀본능을 일깨운다. 텃밭에 올라온 여린 머위와 미나리를 조물조물 무쳐 맛을 보니 아득한 고향 들판이 파노라마 영상으로 펼쳐진다. 나물 바구니를 든 어릴 적 친구 얼굴도 아지랑이 속에서 가물거린다. 기억회로에 깊이 저장돼 있다 불현듯 나타나는 고향 들녘은 나를 설레게 한다. 모든 것이 신비롭게 채색돼 있던 그때 그 시절을 다시 살아보고 싶은 간절함에 목이 메는 봄이다. 이제 밖으로 떠돌던 삶의 여정은 뿌리를 찾아...
조정
겨울에 크는 나무 2022.03.21 (월)
꽃을 시샘하는 풍설에도 봄은 어김없이 찾아온다. 헐벗은 나뭇가지들은 눈바람 속에서도 새순을 틔우고, 뿌리들은 더 깊게 땅속으로 내려가 생명의 물을 길어 올린다. 적막한 숲속, 고목 우듬지에서 날아오르던 레이븐 몇 마리가 동굴 밖 기척에 놀란 곰의 단잠을 깨운다. 들숨과 날숨을 고르던 곰의 그루잠 속에, 연어들의 마른 눈물 자국과 홀씨를 띄우지 못한 노란 민들레꽃 무리가 나타났다 사라진다.    새해 들어 곰과 동병상련의 정을...
조정
나의 호위 무사 2021.03.02 (화)
사) 한국문협밴쿠버지부 회원미루나무 우듬지에서 새들이 요란스레 울고 있다. 언젠가부터 새 모이를 주는 일로 아침을 시작한다. 비대면을 강요받는 요즘, 아침마다 날아드는 새들도 이제 반가운 손님이다. 먼 곳의 봄소식이 새들의 깃털에 실려 올 것 같은 기대감일까…. 경계 태세를 늦추지 않는 참새, 박새, 까마귀들이 차례대로 모이통에 앉았다 날아오른다.오늘은 매서웠던 북서풍이 잦아들고 동풍에 얼었던 땅이 녹는다는 대한이다. 아침 일찍...
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