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겨울에 크는 나무

조정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2-03-21 10:07

조정 / (사)한국문협 밴쿠버지부 회원
꽃을 시샘하는 풍설에도 봄은 어김없이 찾아온다. 헐벗은 나뭇가지들은 눈바람 속에서도 새순을 틔우고, 뿌리들은 더 깊게 땅속으로 내려가 생명의 물을 길어 올린다. 적막한 숲속, 고목 우듬지에서 날아오르던 레이븐 몇 마리가 동굴 밖 기척에 놀란 곰의 단잠을 깨운다. 들숨과 날숨을 고르던 곰의 그루잠 속에, 연어들의 마른 눈물 자국과 홀씨를 띄우지 못한 노란 민들레꽃 무리가 나타났다 사라진다. 
 
  새해 들어 곰과 동병상련의 정을 나누며 동안거 수행을 하고 있다. 매끼 식탁에 오르는 반찬 가짓수만 조금씩 달라질 뿐, 오늘이 어제와 같고 내일도 오늘과 다르지 않을 날들의 반복이다. 
“오늘 살아 있음은 어제 죽은 다른 이가 바라는 부활이며 기적이다. 밤이 깊을수록 별은 더욱 빛난다."
코비드 팬데믹의 그늘에서 인내심을 북돋우는 말들은 무성하지만, 높은 담장 안에 갇힌 채 출구로부터 멀어지는 느낌이다. 수감 생활의 어려움은 실천할 수 없는 인식의 확장이라고 말한 무기수의 말을 기억한다. 격리된 날들은 일상의 변화와 속력을 허용하지 않고, 자꾸만 지난날들을 뒤돌아보게 한다. 마치 뒷걸음질 치며 자신이 찍어 놓은 발자국으로 외로움을 달래는 사막의 순례자가 된 듯하다.
 
  조선 후기 실학자 이덕무는 ‘나는 나를 벗 삼는다. (吾友我)’고 했다.
“눈 오는 새벽, 비 내리는 저녁에 좋은 벗이 오지 않으니 누구와 얘기를 나눌까? 시험 삼아 내 입으로 글을 읽으니, 듣는 것은 나의 귀였다. 내 팔로 글씨를 쓰니, 감상하는 것은 내 눈이었다. 내가 나를 벗으로 삼았거늘, 다시 무슨 원망이 있으랴!”
(이덕무의 <선귤당농소蟬橘堂濃笑>중에서)
  책 읽기는 내가 나를 벗 삼는 일의 순서 매김 중에서 첫째로 꼽힌다. 지난겨울, 시공을 거슬러 몇 권의 책을 정독한 것은 큰 수확이었다. 행간에 담긴 저자의 심오한 사상은 물론, 그들의 삶에서 길어 올린 격조 있는 인품과 정서에서 더 넓은 세상을 만날 수 있었다.
 
  자유롭지 못한 하루하루를 보내는 요즈음, 코비드 19사태로 주목받는 1947년 출간된 알베르 카뮈(Albert Camus 1913-1960)의 소설 <페스트 La Peste>를 읽게 되었다.
 카뮈는 페스트로 봉쇄된 인구 20만의 프랑스령 알제리 오랑 이라는 도시에서, 재앙에 대처하는 다양한 인물들의 희망과 절망 그리고 전염병이 소멸하기까지, 두려움에 맞서 연대하는 사람들을 소설 <페스트>에 담고 있다. 전염병의 급속한 확산과 전기, 식량, 생필품 공급이 제한된 도시에서 사람들은, 가족, 친구들과도 이별의 아픔을 겪어야 하는 극한의 혼란 속에 빠지게 된다. 점점 죽음의 공포로 무기력해진 사람들이 도시의 무질서 속으로 내몰릴 때, 성실한 의사 베르나르 리유와 의료 자원 봉사대를 조직하는 장 타루 그리고 취재차 이 도시에 머물며 '혼자만 행복하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임을 깨달은 레몽 랑베르…, 이들 모두는 환자들을 돌보며 공동체 안에서 사랑을 재발견하는 인물들이다.
카뮈는 죽음 앞에서도 체념하지 않고 인간 조건에 도전하는 사람들을 부조리한 세상의 진정한 빛이며 반항이라고 조명하고 있다. 그는 리유를 통해 페스트는 질병뿐 아니라 세상의 전쟁과 빈곤, 인간 내면의 선과 악, 무지와 맹목적인 믿음 등, 절대 소멸하지 않는 다양한 형태의 부조리라는 것을 일깨우고 있다. 카뮈는 논리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삶의 고통 속에 내던져진 인간의 실존을 통찰하며, 절망에 맞서는 의지만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희망이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소설 <페스트>의 표면에 드러난 ‘거부와 부정’의 이면에는, 억누를 수 없는 긍정의 힘과  행복에 대한 열망이 전제되어 있다.
“삶에 대한 절망 없이는 삶에 대한 희망도 없다.” 
가난과 질병에 맞서 충실한 삶을 살다 1957년 44세에 <이방인>으로 노벨 문학상을 받은 카뮈의 신념이 담긴 말이다.
 
  책은 미로의 동굴 속으로 스며드는 빛처럼, 미처 보지 못한 진실을 내보이며 고통의 뿌리를 이해시킨다. 책을 읽으며 침묵할 때면 내  좁은 인식의 틀을 벗어나 자신을 변화시키고 정신의 탄력을 유지하기도 한다. 책에서 만나는 인물들은 깨우침을 주는 스승이 되기도 하고,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영혼의 친구가 되어 불가해한 삶을 납득시키고 격려를 아끼지 않는다. 
 
  맹위를 떨치던 코비드 팬데믹이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이제 길었던 묵언의 안거를 마무리하고 새봄 맞이 만행에 나설 때다. 꿋꿋한 기상으로 눈바람과 마주하던 소나무 잎새에 어느덧 연둣빛 봄이 피어난다. 혹한의 적막한 숲속에서 나이테를 키우는 나무들은, 초록이 물결치는 그 날을 기다린다. 봄을 기다리는 나무들은 겨울 추위 속에서도 살아있음의 기쁨을 안다. 간절한 기다림은 겨울을 견디게 하는 힘이었다.  
  
 
*이덕무의 ‘선귤당농소 蟬橘堂濃笑'는 벗과 책, 자연을 관하며 쓴 미문으로,
‘선귤당이라는 당호의  자기 집에서 실컷 웃어본다.’는 의미이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겨울에 크는 나무 2022.03.21 (월)
꽃을 시샘하는 풍설에도 봄은 어김없이 찾아온다. 헐벗은 나뭇가지들은 눈바람 속에서도 새순을 틔우고, 뿌리들은 더 깊게 땅속으로 내려가 생명의 물을 길어 올린다. 적막한 숲속, 고목 우듬지에서 날아오르던 레이븐 몇 마리가 동굴 밖 기척에 놀란 곰의 단잠을 깨운다. 들숨과 날숨을 고르던 곰의 그루잠 속에, 연어들의 마른 눈물 자국과 홀씨를 띄우지 못한 노란 민들레꽃 무리가 나타났다 사라진다.    새해 들어 곰과 동병상련의 정을...
조정
매미....2 2022.03.21 (월)
할머니가채 팔지 못한 야채보따리를 이고 시골길을 간다땀이 목 줄기를 타고 흘러내린다흙먼지를 날리며용달차 한 대 휙 지나가자  목구멍이 칼칼하다쓰 ~발 쓰 ~발자지러지게 울던 매미소리 멈췄다 아직 고개 하나는 더 넘어야 되는데한바탕 소낙비 퍼붓자할머니 나무 밑으로 비를 피한다나뭇잎에 떨어진 소낙비도토리 알만큼 제 몸을 키웠고 할머니 그 비를 맞는다소낙비가 그친다쓰 ~발 쓰 ~발할머니 흙탕물 홀랑 뒤집어씌운...
김회자
사춘기(思春期)는 한자의 뜻 그대로 ‘생각이 봄처럼 시작하는 시기’ 또는 ‘봄을 생각하는 시기’ 이다. 사계절의 시작이 봄이듯 한 사람의 인생에서 사춘기는 성인이 되어가는 첫 단계이다. 이런 단계 없이 아이에서 어른으로 바로 점프해서 가지는 못한다. 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이 시기는 누구나 성장통을 겪는다. 영어로 사춘기(Puberty)라는 의미는 라틴어의 Pubertas(꽃피우다)에서 유래되었다. 육체적, 정신적으로 어린이에서 성인이 되는...
박혜정
봄비 오시네 2022.03.14 (월)
봄비 오시네 사납게 파고들던 겨울비 저만치보드라이 흐르는 봄비의 손결회색빛 마을 화사해지리 다정한 빗살에파랗게 일어서는 풀 내음거칠었던 숨 다스리며나도 한껏 푸르러지리 봄비는 저물녘 마음 강가도란도란 흐르는너의 목소리 겨울 그림자 길어진 날엔새파란 봄비여어서 오소서.  -림(20210506)
임현숙
책장 앞에서 2022.03.14 (월)
도킨스와 하라리, 베르베르와 이정모가 사이좋게 어깨를 밀착하고 있다. 사이좋게?인지는 사실 모르겠다. 시비를 걸거나 영역다툼을 하지않고 시종 점잖게 어우러져 있으니 나쁜 사이는 아닌 것 같달 뿐.   책들은 과묵하다. 포개 있어도 붙어 서 있어도 일생 서로 말을 걸지 않는다. 책들은 다 수줍음을 탄다. 자리를 바꿔 달라 보채지도 않고 어디로 데려가 달라 꼬리치지도 않는다. 즉각적인 피드백을 양산하는 다중 미디어들이 창궐하는...
최민자
봄이 오는 숲길 2022.03.14 (월)
3월의 바람은 아직 차갑다숲속은 알 듯 모를 듯 연두빛 번지고구구 슝, 뺏쫑 슝, 까악 슝, 꾸이꾸이 슝새들의 울음소리와 바람소리가 서로 장단을 맞춘다마른 갈잎은 숲길에 누워꽃샘바람에 흔들리고마르고 까칠한 나무둥치 안으니따뜻한 온기 전해온다솔 나무 푸른 잎에 생기가 돌고골짜기 작은 풀꽃이 고개 숙이고성질 급한 진달래 꽃망울 하나저 혼자 고개 쑥 내밀고 세상에 나와그 꽃망울 머리 위에 사알짝 올라앉는다
조순배
 나의 어린 시절 이야기를 떠올려 본다. 나는 서울 마포구 아현동에서 태어나, 세 살 때쯤 되었을 때 부모님께서 서울 용산구 후암동으로 이사를 했다고 한다. 초등학교를 (내가 다닐 적에는 국민학교라고 지칭했다) 후암동에서 다녔다. 그 시절에는 거주 지역에 따라 초등학교를 배정받는 것이 중요했는데 지역별로  학교 차이가 있었다. 나는 평판이 좋고 역사가 있는 삼광초등학교에 입학해 졸업하게 되었다. 어렸을 때 운동회가 열리면...
이종구
한 차례 함박눈 펄펄했던2월 오후가지마다 탐스럽게 걸터앉은 봄 마중들 환생한 꽃들의 뽀얀 영혼 눈부시다 그래, 기다림은 종종죽은 시간 위를 달려와서둘러 꽃을 피우기도 하지아스름 실려 오는 너의 목소리눈가 주름골 따라 촉촉이 스며드는데 길섶엔한나절 허연 뱃살 양껏 부풀린 눈덩이들다시 겨울의 깊은 속살을 애무한다 이제 더는 구르지 않을 것 같은내 그리움의 수레바퀴는 목련 나무 눈꽃 멀리집 잃은 낮달로 걸려...
백철현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