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로 유엔 무용론과 안보리 개혁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이번 안보리의 대북 제재 무산이 이런 논의를 부채질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과 자유 진영은 77년 전 제2차 세계대전 승전국 중심으로 설계된 현 유엔 안보리 구도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독일과 일본 등의 상임이사국 추가 편입을 물밑 논의 중이다. 실제로 일본은 최근 미·일 정상회담에서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의 일본 상임이사국 진출 지지를 받아냈다.

한편 불법 핵 확산을 주도하는 북한이 오는 30일부터 6월 24일까지 유엔 제네바 군축회의에서 알파벳 순서에 따라 순회 의장국을 맡게 돼 논란이 일고 있다. 유엔 군축회의는 65국이 가입한 세계 유일의 다자간 군축 협상 기구로, 각국 군비 축소와 비확산 의제를 다룬다. 제네바에 본부를 둔 유엔 감시기구 유엔워치는 “북한은 세계 최고의 무기 확산국”이라며 “유엔 사무총장이 북한의 군축회의 의장직 수임을 보이콧하고, 모든 회원국이 군축회의에 대사 파견을 거부해달라”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