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당신의 눈을 아끼고 사랑하라

박오은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2-09-26 08:43

박오은 / 캐나다 한국문협 자문위원
  잔디가 제 색을 잃고 맥을 놓아 버렸다.
언제나 비가 오려나. 투명한 하늘이 오늘따라 흐릿하게 보인다. 2년 전에 다중 렌즈를 바꾸었는데 또 다시 바꾸어야 하나. 안 봐도 될 것을 너무 많이 봐서 그런가. 속절없는 세월에 눈이 먼저 신호를 보낸다. 카페를 운영한 지 열 네 해 째이고, 컴 작업을 좀 많이 하는 편이다. 간단한 건 아이패드와 아이폰으로 해결하는데 수시로 신호가 오고 깜빡이고 부르르 떨고… 어디 눈을 가만두는가.

  앞 못 보는 헬렌 켈러 여사는 사흘만이라도 앞을 볼 수 있다면, '동이 터서 낮으로 바뀌는 장대한 자연 현상과 열심히 살아가는 사람들 삶의 현장'을 직접 보고 싶다고 했다. 이러한 것들은 자연과 인간의 영혼 깊숙한 곳을 들여다보는 게 아닌가. 상상력은 자신이 겪은 기억의 그림자이고 간절히 바라는 희망이기도 하다. 느껴 보고 싶은 게 그녀의 소망이었다. 하지만 어느 영화에선 눈을 뜨게 된 소녀가 자신이 상상했던 세상과 너무나 다르고 두렵기조차 해 앞을 보지 못했던 그때를 그리워 했다던가. 4년 전에 타계하신, 우리 문협 고문으로 계셨던, 탄천 선생님은 시력이 약해져 4번이나 눈 수술을 받으셨다. 안경으로 교정하는 게 3번은 가능했지만, 4번째는 불가능했다며 부디 눈을 잘 보호하라고 당부하셨다.

  삶이란 얼마나 깊은 것인가. 몸과 마음으로 느낄 수 있지만 변하는 그 모습을 눈으로 감지한다. 무변 장대한 우주공간의 아름다운 변화도 눈으로 볼 수 있다. 보아야 느낄 수 있고 보아야 마음에 새길 수 있다. 세상에 폼 나는 문장들도 시력이 나쁘면 읽기 어렵고 무슨 암호처럼 날아다닌다. 눈은 마음의 호수이고 마음의 창이고 마음의 거울이다. 모든 감각이 다 소중하지만 그 중에서 보는 것이야말로 가장 값진 것이다. 젖은 스펀지처럼 마음이 무거워도 명문 한줄기를 맑은 눈으로 읽고 나면 마음이 고요하고 가뿐하다.

  중학교 때 종로 광안당으로 안경을 맞추러 갔다. 안경을 쓰기 싫어서 눈을 찡그리고 책을 읽다가, 어느 날 아버지에게 들켜 바로 안경원으로 끌려(?)갔다. 꾀부리지 말고 바로 안경을 쓸 것을, 아버지 손을 잡고 집으로 오는 데 세상이 달라 보였다. 기분까지 맑고 상쾌했다. 시력이 나빠도 안경으로 교정할 수 있으면 다행이다. 지금까지 안경을 쓰고 있지만 눈 관리는 철저히 하는 편이다. 안경 전문의 말이 나이에 비해선 눈 관리가 잘 되고 있다니 그나마 다행이다. 

  요즈음은 지면 신문보다는 e신문이, 책도 e북이, 심지어 다달이 나오는 문학잡지도 웹진을 이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일간지는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예전의 책 읽는 맛이 추억으로나 남으려나. 책장을 넘기며 손가락에 감지되는 책갈피의 촉감을 아는 분은 다 아시리라.

  젊음이 봄을 타듯 세월은 가을을 탄다. 머지않아 초록을 거두고 옹색한 햇볕이 그림자마저 떼어놓을 것이다. 삶은 흐름이고 영원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모두가 한때일 뿐, 쇠(衰)하는 것에 너무 연연해 하지 말고 나름 최선을 다해 사는 것이 삶의 지혜이고 삶의 아름다움이다. 우리는 눈을 뜨고 있으면서도 대충 보거나 잘 못 보는 경우가 허다하다. 눈을 혹사하고 이미 전자기기의 노예가 되었다. 고맙고 소중한 시력을 아무렇 게나 사용하고 함부로 대하진 않는지 눈을 질끈 감고 한번 생각해 보시라. 평생 사용할 당신의 눈을 진정 아끼고 사랑하라.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독고는 다이다! 2022.11.07 (월)
얼마 전 충격적인 일이 있었다. 야간근무 전담인 남자 간호사가 아무 연락도 없이 근무에 나타나질 않았다. 전화를 해봐도 받질 않고, 메시지마저 풀이라 남길 수가 없었다. 7년이란 세월을 함께 일해온 간호사인데, 그가 이랬던 적이 단 한 번도 없었었다. 무슨 사고를 당했나? 불길한 생각이 들었지만, 혼자 사는 간호사라 딱히 연락해 볼 곳이 없었다. 그렇게 걱정스런 밤이 지나고 다음 날, 그의 집으로 달려간 직원이 집 밖에 세워진 그의 차를...
박정은
그래요 2022.11.07 (월)
저 위에서 나를 이 땅에 보내실 때그분만이 아는 예치금이 담긴 통장 하나 목숨에 붙여 주셨어요찾기 싫어도 날마다 줄어드는 통장인데요건강이라는 이자가 붙어 조금 불어나긴 해요 건강하게 살려면 이렇게 하라 이걸 먹어라눈으로 귀로 많은 정보를 접하면서세상만사가 나는 예외란 듯 맘 내키는 대로 살아왔지요나무 한 그루도 잘 돌보지 않으면 푸른 이파리 벌레 먹고 갈변하듯이환갑, 진갑 다 지나온 지금 안일하게 살아온 대가를 치르는...
임현숙
  최근 대학 동창 카톡방에 손주들을 돌보는 할머니들의 어려움과 애로 경험담들이 올려져서 동감하기도 하며 웃음이 나기도 한 일이 있다. 한 동창의 작은 딸네 손자가 너무 버릇없는 말을 해서 분노한 동창은 다시는 딸네 집에 안 간다고 선언했다고 한다. 다른 동창네 손자는 한글을 깨치자마자 자기 방문에 “노인 출입 금지”라는 글을 써 붙였다고도 한다. 이래저래 할머니의 손자 사랑이 아이들과 주파수가 맞지 않아 섭섭증이 생긴다고...
김현옥
모래의 시간 2022.11.07 (월)
이 세상 끝에 와 있다는 느낌그 사이로 강물이 흘러가고발자국들이 지나가고슬픔 같은 이끼가 툭툭 걸음을 멈추게 하는데나는 건너갈 세상을 돌아본다어둠 저 끝에서 몰려오는 바람소리누군가 내 등 뒤에서 마음 한 끝을비수로 꽂고 달아난다이 세상 황량한 이중성의 간판들점멸등처럼 깜빡이는데어제는 바람이 되었다가오늘은 사과가 되고 오렌지가 되고 박제가 되어몸의 꼬리를 감추는 사람들탓하지 마라, 눈동자의 크기만큼 보이는세상 안에서...
이영춘
무주의 맹시 2022.11.01 (화)
여자와 만난 곳은, <상담소>라는 작은 팻말이 붙어있지 않았다면 그저 낡은 오피스텔이었을 공간이었다. 창 너머로 환하게 피어난 백목련 외에는 딱히 눈길을 줄 곳이 없을 만큼 실내는 휑했다.-    어서 오세요. 이메일로 예약하신 윤해진 님이시죠?나는 “혜”를 아무 고민없이 “해”라고 발음하는 눈 앞의 여자를 잠시 가만히 바라보았다. ‘미스코리아 머리’ 에, 취향이 그런 것인지 넉넉한 체구를 가리려는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곽선영
만일 필자가 어느 누구에게 평생 게으름을 피면서 살라고 하면 뺨을 맞을 것이다.10년, 1년 또는 한 달 만이라도 그렇게 살라고 해도 욕을 배가 부르도록 얻어먹을것이다. 그러나 이게 하루가 되면 사정은 달라진다. 그까짓 거 하루 정도야! 새털같이 많은 나날인데 오늘 하루쯤 게으름을 피면서 빈둥거리면 어때? 그게정신건강에도 좋다고 하던데.  그러나 하루가 이틀, 금방 일주일, 일주일이 한달, 한달이 1년...... 그러다 사람의일생이 휙 지나가...
정관일
어느 가을 날에 2022.11.01 (화)
하루를 사는 삶저마다 같은 듯 달라깊은 산속에서도바닷가 외딴 섬마을에서도북적대는 도시에서도같은 시간 다른 하루홍시 같은 낙엽이 나무 끝에 매달려 가을을 재촉한다같은 색같은 모양 낙엽처럼비슷하게 살아도 다른사람들 하루가 간다하늘에 걸린 해가어제 오늘이 비슷해 보이지만 다르듯쌓인 낙엽이 다른 듯 같아 보이는 것처럼흐르는 시간이 강물 위에 떠 가는 낙엽처럼
전재민
몸 속 들여다보기 2022.10.24 (월)
위 대장 내시경이 끝났다. 두려움도 끝났다.얼마나 기다렸던 내시경 검사였던가? 매년 휴가엔 한국에 계신 어머니를 방문하지만,이처럼 절박하게 휴가를 기다린 적이 있었던가? 속은 더부룩하고, 가스는 차고, 입에선냄새가 나고, 배변은 검은색이고, 명치 아래 배는 칼로 찌르는 통증으로 잠을 제대로이룰 수 없었던 날이 얼마였던가? 가정의에게 내시경을 부탁했지만, 위에서 출혈이있어야 전문의를 통해 내시경이 가능하다고 하면서, 제산제 처방만...
박광일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