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이민, 신세계를 만나다

김유훈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3-01-09 12:55

김유훈 / (사) 한국문협 밴쿠버지부 회원
 신세계 교향곡은 체코 출신 드보르작이 미국으로 이민을 와서 작곡한 곡으로 이민자들의 심정을 음악으로 표현해 주었다고 볼 수 있다. 교향곡의 도입 부분은 약간 공포스러운 연주가 나오고, 중반부에는 평화롭고 사랑스러운 운율로 고향을 그리워하는 심정을 나타내며, 끝부분은 승리를 다루는 듯 장엄한 연주로 마치는 곡이다.

 

 이와 같이 이민은 과거 뿐만 아니라 오늘날까지모두가 신세계를 만나 예상치 못한 일로 당황하며 시작되는 현실이다.  다만 극히 일부의 전문직이거나 아주 부자들에게는 예외일 지 몰라도 대부분의 이민자들은 마치 군대 훈련소에 입소하여 철조망 통과를 하듯이 생존을 위해 삶의 현장 그 바닥에서 몸부림치며 살아가는 방법을 터득해야한다.

 

 나 역시 카나다 생활 30년이 넘는 동안 많은 시행착오를 겪어가며 살아왔다. 한국에서의 신학과 목회경력, Regent의 유학까지 10년의 신학과는 무관하게 이민지의 삶을 살아야했다. 사실 이민자의 현실을 아무것도 모른 채 목회를 한다는 것은 메아리 없는  공허한 설교로 되는 것을 느끼면서 고민이 시작되었다. 그러던 중 유학시절 에 만난 Paul Stevenson교수님의 영향으로 목회자도 자유로워지며 직업을 갖고 시장이라는 생활의 현장에서 목회자가 되라는 강의는 나에게 새로운 충격이였다. 그 후 나는 선임자가 나에게  미자립 교회를 맡기듯이 후임자에게 교회를 부탁하고 진짜 이민자가 되어 가족을 돌보기로 하였다. 그 후 이민자들이 얼마나 힘들게 살아야 하는지를 몸으로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과거 한국에서의 대형교회 목사로서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내 자신이 지금은 대형트럭을 몰고 미국과 카나다 곳곳을 여행하듯이 다니며 수 많은 만남, 그 속에서의 사연들, 그리고 아름다운 경치들을 보며 글감이 되기도 하며, 내 마음속에 파노라마 영상으로 저장되어 있다.

 

또 다른 나의 변화는 현역 축구 선수로 활동하는 것이다. 과거 한국에서는  교인들 심방을 다닐 때 대접을 많이 받아서 집에 돌아오면 소화를 못시켜 고생을 했을 뿐만 아니라 아랫배까지 나와 힘들었다. 그러나 카나다에서는 내가 OB축구부에 가입하여 시간이 될 때마다 운동장에 뛰어나가 열심히 축구를 하는 덕분에 트럭을 운전하는 데 지장이 없고 건강도 지킬 수 있는 힘이 되었다. 이렇게 축구를 한지 벌써 29년 째, 비가 오나 바람이 부나 축구공을 차며 땀을 흘리는 것이 이렇게 좋은 것인 지  한국에 있을 때는 전혀 몰랐다. 지금 내 나이 73이지만 젊은이들에게 뒤지지 않으려 열심히 운동하는 현역 축구 선수이다.                

 

 나의 청소년 시절, 많은 책을 읽을 때 감동이 되어 문학소년의 꿈을 갖은 적이 있었다. 그러나 삶이 녹녹치가 않아 내 속에서 깊이 잠자던 문학의 꿈이 나의 트럭운전 중에 다시 살아나 글을 쓰게 되었다. 운명처럼 반병섭 목사님을 만나 2년 넘게 사사를 받아 새롭게 글을 쓰며 문단에 등단할 수 있었다. 2013년 한국의 순수문학에서 수필집을 출간하였으며, 같은 해 “순수문학 우수상”을 받게 되었다. 지금도 고인이 되신 반병섭 목사님의 은혜와 사랑을 잊을 수 없다.

 

 오랫만에 드보르작의 신세계 교향곡을 들으며 지나온 내 삶을 돌이켜보는 계기가 되었다. 카나다 이민 생활 30년, 교향곡 도입부에 나오는 음악처럼 불안과 공포의 선율처럼 시작된 나의 이민초기 힘든일도 많았지만 가족을 위해 밤낮 없이 열심히 일하며 살아오는 동안 가정이 안정되어 두 자녀를 잘 키울 수 있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과거 한국에서의 목사로서 상상조차 할 수없는 변화는 이민을 통해서 신세계를 만난 내 모습이다. 나의 동문 목사들이 대부분 은퇴한 이 즈음에 나는 지금까지 미국과 카나다 곳곳을 다니는 대형 트럭커로, 푸른 야외 운동장에서 젊을 동료들과 함께 땀흘려 운동하는 축구선수로, 그리고 수필가로서 글을 쓰고 발표 할 수 있는 신문이 있다는 사실에 감사하며 새해를 맞이한다.    

 신세계 교향곡은 체코 출신 드보르작이 미국으로 이민을 와서 작곡한 곡으로 이민자들의 심정을 음악으로 표현해 주었다고 볼 수 있다. 교향곡의 도입 부분은 약간 공포스러운 연주가 나오고, 중반부에는 평화롭고 사랑스러운 운율로 고향을 그리워하는 심정을 나타내며, 끝부분은 승리를 다루는 듯 장엄한 연주로 마치는 곡이다.

 

 이와 같이 이민은 과거 뿐만 아니라 오늘날까지모두가 신세계를 만나 예상치 못한 일로 당황하며 시작되는 현실이다.  다만 극히 일부의 전문직이거나 아주 부자들에게는 예외일 지 몰라도 대부분의 이민자들은 마치 군대 훈련소에 입소하여 철조망 통과를 하듯이 생존을 위해 삶의 현장 그 바닥에서 몸부림치며 살아가는 방법을 터득해야한다.

 

 나 역시 카나다 생활 30년이 넘는 동안 많은 시행착오를 겪어가며 살아왔다. 한국에서의 신학과 목회경력, Regent의 유학까지 10년의 신학과는 무관하게 이민지의 삶을 살아야했다. 사실 이민자의 현실을 아무것도 모른 채 목회를 한다는 것은 메아리 없는  공허한 설교로 되는 것을 느끼면서 고민이 시작되었다. 그러던 중 유학시절 에 만난 Paul Stevenson교수님의 영향으로 목회자도 자유로워지며 직업을 갖고 시장이라는 생활의 현장에서 목회자가 되라는 강의는 나에게 새로운 충격이였다. 그 후 나는 선임자가 나에게  미자립 교회를 맡기듯이 후임자에게 교회를 부탁하고 진짜 이민자가 되어 가족을 돌보기로 하였다. 그 후 이민자들이 얼마나 힘들게 살아야 하는지를 몸으로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과거 한국에서의 대형교회 목사로서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내 자신이 지금은 대형트럭을 몰고 미국과 카나다 곳곳을 여행하듯이 다니며 수 많은 만남, 그 속에서의 사연들, 그리고 아름다운 경치들을 보며 글감이 되기도 하며, 내 마음속에 파노라마 영상으로 저장되어 있다.

 

또 다른 나의 변화는 현역 축구 선수로 활동하는 것이다. 과거 한국에서는  교인들 심방을 다닐 때 대접을 많이 받아서 집에 돌아오면 소화를 못시켜 고생을 했을 뿐만 아니라 아랫배까지 나와 힘들었다. 그러나 카나다에서는 내가 OB축구부에 가입하여 시간이 될 때마다 운동장에 뛰어나가 열심히 축구를 하는 덕분에 트럭을 운전하는 데 지장이 없고 건강도 지킬 수 있는 힘이 되었다. 이렇게 축구를 한지 벌써 29년 째, 비가 오나 바람이 부나 축구공을 차며 땀을 흘리는 것이 이렇게 좋은 것인 지  한국에 있을 때는 전혀 몰랐다. 지금 내 나이 73이지만 젊은이들에게 뒤지지 않으려 열심히 운동하는 현역 축구 선수이다.                

 

 나의 청소년 시절, 많은 책을 읽을 때 감동이 되어 문학소년의 꿈을 갖은 적이 있었다. 그러나 삶이 녹녹치가 않아 내 속에서 깊이 잠자던 문학의 꿈이 나의 트럭운전 중에 다시 살아나 글을 쓰게 되었다. 운명처럼 반병섭 목사님을 만나 2년 넘게 사사를 받아 새롭게 글을 쓰며 문단에 등단할 수 있었다. 2013년 한국의 순수문학에서 수필집을 출간하였으며, 같은 해 “순수문학 우수상”을 받게 되었다. 지금도 고인이 되신 반병섭 목사님의 은혜와 사랑을 잊을 수 없다.

 

 오랫만에 드보르작의 신세계 교향곡을 들으며 지나온 내 삶을 돌이켜보는 계기가 되었다. 카나다 이민 생활 30년, 교향곡 도입부에 나오는 음악처럼 불안과 공포의 선율처럼 시작된 나의 이민초기 힘든일도 많았지만 가족을 위해 밤낮 없이 열심히 일하며 살아오는 동안 가정이 안정되어 두 자녀를 잘 키울 수 있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과거 한국에서의 목사로서 상상조차 할 수없는 변화는 이민을 통해서 신세계를 만난 내 모습이다. 나의 동문 목사들이 대부분 은퇴한 이 즈음에 나는 지금까지 미국과 카나다 곳곳을 다니는 대형 트럭커로, 푸른 야외 운동장에서 젊을 동료들과 함께 땀흘려 운동하는 축구선수로, 그리고 수필가로서 글을 쓰고 발표 할 수 있는 신문이 있다는 사실에 감사하며 새해를 맞이한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겨울 산책 2023.01.16 (월)
뜨락에 노니는 햇살도 그려내고구름이 드리운 달님도 그려대니떠가는 세월에 눈감은 신선이네붓 끝에 고향 뜰 풍월을 달아매니남쪽 창가에 기대선 도연명인가환한 달과 마주 앉은 이백이려나차오른 맘 울림에 거니는 호숫가 제 멋 낸 울음소리 바람에 실리어앞서간 발자국에 켜켜이 쌓이네
우호태
 신세계 교향곡은 체코 출신 드보르작이 미국으로 이민을 와서 작곡한 곡으로 이민자들의 심정을 음악으로 표현해 주었다고 볼 수 있다. 교향곡의 도입 부분은 약간 공포스러운 연주가 나오고, 중반부에는 평화롭고 사랑스러운 운율로 고향을 그리워하는 심정을 나타내며, 끝부분은 승리를 다루는 듯 장엄한 연주로 마치는 곡이다.  이와 같이 이민은 과거 뿐만 아니라 오늘날까지모두가 신세계를 만나 예상치 못한 일로 당황하며 시작되는...
김유훈
새해를 맞으며 2023.01.09 (월)
묵은 달력을 내려놓습니다내 마음처럼 무게가 천근이어요장마다 빼곡한 사연들을 되새겨보니복덩어리가 수북합니다가진 게 없다고 빈손이라고 하늘에 떼쓰던 두 손이 부끄러워집니다가붓한 새 달력을 그 자리에 둡니다내 마음도 새 달력 같습니다오늘또 오늘 쌓일 복 더미 생각에손등에 푸른 핏줄이 더 불거집니다.
임현숙
다시 수필이다 2023.01.09 (월)
  유리병에 개운죽竹을 기르고 있다. 물만 먹고도 싱싱한 잎과 줄기를 내는 모습이 여간 기특하지 않다. 줄기 하나를 집어 들면 나머지 줄기들도 따라 나선다. 서로의 뿌리 속에 뿌리를 내린 채 단단히 엉겨 있기 때문이다.가장 밑바닥에 자리 잡은 묵은 뿌리 위에서 하얀 어린 뿌리들이 걸음마를 익히고 있고, 중간에 가부좌를 튼 뿌리들은 어느 쪽으로 줄기를 낼 것인지 긴 생각에 잠겨있다. 어린 뿌리에 자꾸 마음이 간다. 수필을 쓰면서 어느...
정성화
인생의 변곡점에 힌지를 달아 놓고슬며시 겨울 산을 향하여 문을 열면낯 익은 상흔 하나가 폭설을 짜고 있다어딘가 엄동 속에 울리는 나무들의숨 고름 옹이처럼 힘들어 보이지만목 향이 첨가하는 맛 그 매력에 빠진다또다시 재 너머로 난장을 치는 바람해 오름 달 실속 없는 분주함 홰를 쳐도그렇게 스무 해 성상 눈물 꽃을 피웠다이방인 그에게서 조국은 무엇인가수 없이 그리워한 로키 태평양 넘어무른 곳 말려서 까지 피워내는 눈물 꽃
이상목
  마지막 한 장 달랑 남은 2022년 달력은  더 이상 시간을 버티지 못하고 2023년 새 달력에 자리를 내 주어야만 한다. 월말이면 어김없이 한 장씩 넘기다가 오늘은 12번째 막장을 내린다. 새 달력을 걸어 놓고 이제 막 내려놓은 낡은 한해를 한 장씩 훑어 본다. 크고 작은 일들이 어제 일처럼 펼쳐진다.  내 산책 견이 강원도 강릉에서 비행기를 타고 밴쿠버 공항에 도착하여 마중 나갔던  일, 형제들의 방문, 아이들과 여기저기 여행했던...
김춘희
인생은 생로병사(生老病死)가 윤회하는 고통으로 이뤄져 있다 하고, 공(空)이라고도 하며, 인생무상(人生無常)이란 말도 있지만, 너무 심각하게 여길 필요는 없어. 현실은 생각보다 단순(單純)하니까. 일상(日常)을 살펴보면 누구나 숨 쉬고 옷 입고 먹고 자고 배설하고 일하고 놀고 쉬면서 살다 가잖아. 배고프면 먹고 졸리면 자고 마려우면 싸고 추우면 걸치고 더우면 벗으면 되고, 돈이 필요하면 일해서 벌고 지치면 쉬었다 가면 되는 거니까, 머리...
김토마스
위로 2023.01.05 (목)
 12월이 되면서 수선화 싹이 나왔다. 평평하던 땅이 소복하게 들려 있는 곳은 수선화 싹이 나온 곳이다. 낙엽을 헤치면 아직은 얼마 나오지 않아 세모꼴인 잎들이 무리 지어 솟아나고 있다. 크리스마스 로즈는 11월부터 줄기 분얼이 활발해져 12월 들어서도 새 줄기가 끊임없이 올라온다. 연두빛 새 잎들이 튼실한 줄기 사이에서 고개를 내미는 모습은 언제 봐도 기특하다. 다른 나무와 꽃들이 모두 한 해를 마무리할 무렵, 매서운 추위가 목 전에 닥친...
김선희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