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얼굴무늬수막새(人面文圓瓦當)-신라인의 얼굴

정목일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3-01-16 13:46

정목일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국립신라박물관에 가면 관람자의 눈을 환히 밝혀주는 신라인의 미소가 있다. 얼굴무늬수막새(人面文圓瓦當)이다. 기왓장에 그려진 얼굴 한쪽이 깨졌지만 웃음은 깨지지 않고 초승달처럼 웃고 있다. 이 얼굴무늬수막새는 7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름 11.5cm이며 경주 영묘사 터(靈廟寺址)에서 출토되었다.
  
  얼굴무늬수막새는 다듬거나 꾸미지 않은 맨 얼굴이다. 서민들의 진솔하고 담백한 마음의 표현, 가식 없는 무욕의 미소일 듯싶다. 얼굴무늬수막새는 남자 같기도 하고, 여자 같기도 하다. 얼굴에 귀가 없다. 둥근 수막새이기에 귀를 표현하기보다 생략하는 쪽을 택했다. 우뚝 솟은 코는 서양인처럼 매끈하지 않다. 콧 등이 뭉툭하게 솟아 친밀함을 더 느끼게 한다. 코를 중심으로 양쪽에 눈을, 아래쪽에 입술을 그려 넣었다.

  아쉽게도 입술의 삼분의 일이 빗살처럼 떨어져 나간 상태이다. 온전하지 못한 얼굴무늬수막새이지만 신라인의 얼굴을 보여준 유일한 문화재이다. 입술이 웃는 모습이지만, 평범한 웃음이 아니다. 진흙 속의 연꽃처럼 오랜 사유 끝에서 피어난 미소다. 흙으로 주물러 단박에 빚어낸 솜씨이지만 불가사의한 미소를 머금고 있다. 깨달음의 경지에서 피워낸 미소인지, 슬픔의 끝에서 눈물을 다 쏟고 나서 편안히 짓는 미소인지 알 수 없다.
손가락으로 쓰윽 두 눈을 조금 파이게 해 놓았을 뿐인데 표정이 깊어 오묘하다. 입술의 양 끝이 위로 치켜 올라간 것은 맑은 생각이 영원과 만나는 순간일까. 알 듯 모를 듯한 표징(表徵)은 깨달음의 미소와는 다르다. 저자 거리에서 만날 수 있는 백성들의 소박하고 욕심 없는 미소다. 희비애락(喜悲哀樂)을 다 겪고 나서 삶의 이치와 순리를 알게 된 민초들의 표정이 아닐까.
  
오른 쪽 눈은 앞을 보고 있지만 왼쪽 눈은 감겨있는 듯 자신의 내부를 보고 있다. 눈 밑의 두 볼이 도톰하게 올라 미소를 떠 받들고 있다. 절벽에 새겨진 마애불상(磨崖佛像)을 보고 경배를 올리던 신라인들의 신앙심에서 무심결에 떠오른 미소일까. 즉흥적인 감성에 의한 것이 아니라, 삶 속에 얻은 깨달음에서 솟아 오른 마음의 표현이다. 부풀어 오른 볼은 입체감을 드러내며 미소의 깊이를 더해 준다. 신라인들은 얼굴무늬수막새를 통해 하늘과 마음의 대화를 나누려 했나 보다.
기와 장인이 무심결에 담아낸 신라인의 얼굴, 은근하고 정다운 표정 속에 피어오른 미소는 평범한 일상에서 얻은 마음의 꽃이 아닐까. 생각에 잠긴 듯한 두 눈을 새기고 귀 쪽으로 치켜 오른 듯한 입술 끝엔 알 수 없는 미소를 띄워 놓았다. 기와 장인의 순간적인 장난 끼의 발산으로 보기에는 천진한 발상이고 파격이다. 석굴암본존불의 미소는 깨달음의 미소이지만, 얼굴무늬수막새의 미소는 인간의 미소여서 더 정감이 간다. 보통 사람들의 삶과 표정에서 피어난 미소이기 때문이다.

  얼굴무늬수막새는 기와 문양처럼 일정하게 찍어 낸 것이 아니라, 기와 장인이 순식간에 둥근 수막새에 신라인의 얼굴 표정을 표현해 놓고 싶었던 모양이다. 그냥 표현 본능에 따른 것이라기보다 신라인의 마음을 하늘에 보여주고자 한 게 아니었을까. 깊은 생각 속에 잠긴 두 눈, 입술 꼬리가 치 오르며 미소를 머금은 입술, 높지도 낮지도 않은 코, 둥근 수막새의 미소와 여운은 단순함과 소박함이 빚어낸 것이어서 마음에 닿아온다.

  천 년 신라의 역사 속에 석굴암, 다보탑, 석가탑, 에밀레 종, 금관 등 민족 문화의 꽃을 피운 유물들이 남아 있지만, 신라인의 얼굴과 마음을 담아낸 유물은 얼굴무늬수막새 뿐이다.
얼굴무늬수막새를 보면 신라의 얼굴이 보이고 천 년의 미소가 번져나고 있다. 얼굴무늬수막새는 신라 천 년을 뛰어넘어 영원 속에 한국인의 표정과 마음을 보여준다. 우리나라 문화재 중 불가사의한 깨달음의 미소를 보여주는 국보 78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은 신묘한 걸작이다. 얼굴무늬수막새는 삼분의 일이 떨어져 나간 기왓장에 그려진 얼굴 표정이지만, 신이나 부처상이 아닌 백성들의 얼굴 표정에서 피운 미소이기에 더 마음이 닿아 옴을 느낀다. 근심을 지우게 하는 알 수 없는 미소는 광명과 지혜의 세계와 닿아있다.

  얼굴무늬수막새의 표정은 무슨 생각에 잠겨 있을까. 천 년의 미소는 무엇을 말하고 있을까. 그 표정 속엔 찰라 속의 영원과 일상 속의 깨달음이 있다. 평범함 속의 신비를 알려주는 게 아닐까. 유한한 삶을 살 뿐인 인간으로서 시・공간을 뛰어넘어 달관과 초월의 미소를 보여준다. 마음의 때와 얼룩과 먼지를 씻어내어, 순간에서 영원과 만나는 표정이 아닐까.
얼굴무늬수막새 사진을 벽에 붙여 놓고, 그 미소와 만나면 금방 마음이 편안해지고 만다. 얼굴무늬수막새를 보면서 은연중 천 년의 미소를 흉내 내본다. 신라 천 년이 아니라, 영원과 만나고 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섣달 그믐 밤 2023.01.23 (월)
멀리 개 짖는 소리도 정겨운칠흑의 어두움더해가는 겨울 밤이제나 저제나올지 모르는 그리움목이 긴 사슴되어추녀 끝에 등불 밝힌다얼어 붙은 밤 하늘반짝이는 별들의 악보에박자 마추어또 한해를 보내는 가슴열고노래 부르면대지를 박차고떠오르는 태양의 메시지행복이 있고따스한 사랑이 있는 세상에희망의 긴 꿈을꾼다.
리차드 양
  살아가는 동안 사람들은 많은 이별과 작별을 하게 된다. 일시적으로 떨어진 이별이 있는가 하면, 영원한 이별의 아픔과 함께 한 작별도 있다. 김영하의 소설 ‘작별 인사’를 읽고 나서, 함께 했던 사람과의 영원한 이별,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에 대해 많은 것을 떠올리게 되었다. 최근에 가까운 사람들을 멀리 떠나 보내면서, 그 분들과 함께했던 기억들을 되새기고, 추억을 돌아보고, 작별의 의미를 생각했다.  이 책을 접하게 된 것은...
정재욱
세월이 가면 2023.01.23 (월)
세월이 간다는 건 참 좋은 일이다오늘 사는 게 바빠지난 일을 가볍게 잊을 수 있고새로운 삶에 부대끼다 보면지나온 아픔도 비껴 가기 마련이니세월 가는 건 그리 나쁘지도 않다나이가 든다는 건 참 멋져 보인다오늘 많이 늙어 보여도추하게 보인다 욕하지 않고눈물 조금 보여도찬바람 탓하기 좋은 나이이니나이 먹는 게 그리 서럽지도 않다세월이 가니죽을 듯한 내 사랑 바비도텅 빈 가슴만 두고 훌쩍 떠나가기도 하고나이가 드니애 간장...
나영표
 국립신라박물관에 가면 관람자의 눈을 환히 밝혀주는 신라인의 미소가 있다. 얼굴무늬수막새(人面文圓瓦當)이다. 기왓장에 그려진 얼굴 한쪽이 깨졌지만 웃음은 깨지지 않고 초승달처럼 웃고 있다. 이 얼굴무늬수막새는 7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름 11.5cm이며 경주 영묘사 터(靈廟寺址)에서 출토되었다.    얼굴무늬수막새는 다듬거나 꾸미지 않은 맨 얼굴이다. 서민들의 진솔하고 담백한 마음의 표현, 가식 없는 무욕의...
정목일
겨울 산책 2023.01.16 (월)
뜨락에 노니는 햇살도 그려내고구름이 드리운 달님도 그려대니떠가는 세월에 눈감은 신선이네붓 끝에 고향 뜰 풍월을 달아매니남쪽 창가에 기대선 도연명인가환한 달과 마주 앉은 이백이려나차오른 맘 울림에 거니는 호숫가 제 멋 낸 울음소리 바람에 실리어앞서간 발자국에 켜켜이 쌓이네
우호태
 신세계 교향곡은 체코 출신 드보르작이 미국으로 이민을 와서 작곡한 곡으로 이민자들의 심정을 음악으로 표현해 주었다고 볼 수 있다. 교향곡의 도입 부분은 약간 공포스러운 연주가 나오고, 중반부에는 평화롭고 사랑스러운 운율로 고향을 그리워하는 심정을 나타내며, 끝부분은 승리를 다루는 듯 장엄한 연주로 마치는 곡이다.  이와 같이 이민은 과거 뿐만 아니라 오늘날까지모두가 신세계를 만나 예상치 못한 일로 당황하며 시작되는...
김유훈
새해를 맞으며 2023.01.09 (월)
묵은 달력을 내려놓습니다내 마음처럼 무게가 천근이어요장마다 빼곡한 사연들을 되새겨보니복덩어리가 수북합니다가진 게 없다고 빈손이라고 하늘에 떼쓰던 두 손이 부끄러워집니다가붓한 새 달력을 그 자리에 둡니다내 마음도 새 달력 같습니다오늘또 오늘 쌓일 복 더미 생각에손등에 푸른 핏줄이 더 불거집니다.
임현숙
다시 수필이다 2023.01.09 (월)
  유리병에 개운죽竹을 기르고 있다. 물만 먹고도 싱싱한 잎과 줄기를 내는 모습이 여간 기특하지 않다. 줄기 하나를 집어 들면 나머지 줄기들도 따라 나선다. 서로의 뿌리 속에 뿌리를 내린 채 단단히 엉겨 있기 때문이다.가장 밑바닥에 자리 잡은 묵은 뿌리 위에서 하얀 어린 뿌리들이 걸음마를 익히고 있고, 중간에 가부좌를 튼 뿌리들은 어느 쪽으로 줄기를 낼 것인지 긴 생각에 잠겨있다. 어린 뿌리에 자꾸 마음이 간다. 수필을 쓰면서 어느...
정성화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