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돈으로 살 수 있는 행복

권은경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3-02-27 08:46

권은경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거대한 돈의 위력을 등에 업고 세상의 부조리는 날로 커지고 있다. 자본주의 시장경제는 우리 삶의 고유한 영역까지 파고들어 돈으로 살 수 없는 것이 있기나 한 건지 의문을 품게 한다. 그런데도 마이클 샌델 교수는 그의 저서 ‘돈으로 살 수 없는 것’에서 여전히 우리의 삶과 사회 속에는 돈으로 가치를 측정하고 거래할 수 없는 영역이 존재하며 그것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옳은 말이지만 사랑도 우정도 돈이 있어야 표현할 수 있고, 증명되는 세상에서 가진 것이 많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의 갈등은 커질 수밖에 없다. 돈 없이 어떻게 우린 안의 소중한 것들을 꿋꿋이 지키고 가꿀 수 있을까?

동학 개미 운동에 불을 지피고, 모든 국민이 금융 문맹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하던 금융 전문가 존 리는 ‘커피 대신 주식을 사라’고 말했다. 돈을 잠재우지 말고, 투자해서 돈이 일하게 하라는 것이다. 확신에 찬 그의 강의를 들으며 일리가 있다고 생각하면 할수록 밀려오는 무력감은 더욱 커졌다. 돈이 돈을 번다는 세상에서 투자할 돈이 없는 사람들은 알아도 뭘 어찌할 도리가 없다. 그런데 커피 한 잔도 아끼란다. 네가 가난한 건 없는 주제에 커피를 사 마시는 사치에서 비롯된 거라고 누군가 조소를 보내고 있는 것만 같았다. 오늘 커피 한 잔을 아껴서 내가 살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내가 불멸의 존재라고 한다면 나는 커피 값을 아껴 미래의 더 나은 삶에 투자할 것이다. 내게 가까운 내일이라도 내다볼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오늘의 행복을 기꺼이 내려놓고 수고를 감수할 것이다. 그런데 생각해 보면 나는 유한한 한 생을 살며 가까운 미래조차 감히 예측할 수 없는 불완전한 존재이다. 코로나 팬데믹을 겪었고, 갑자기 시장에 많은 돈이 풀리면서 집값이 하루아침에 천정 부지로 오르는 것을 봤으며, 현재 사람들은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의 고통 속에서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상황에 놓여있다. 최근 ‘캐나다의 삶의 질과 생활비 실태’를 조사한 연방 통계청은 캐나다 주민의 상당수가 재정적으로 불안한 상황을 견디고 있으며, 5명 중 1명은 생활 지출이 5백 달러만 늘어나도 생계 유지가 어렵다고 밝혔다.

경제적 발전과 풍요 속에서 돈의 힘을 보고 경험한 우리는 암울한 현실에 적잖이 긴장하게 된다. 쌀 한 톨 동전 한 닢도 허투루 쓰지 않고 근검 절약하는 것이 미덕이던 부모님 세대를 보고 자란 나로서는 어려운 작금의 경제 상황 속에서 허리띠를 졸라 매고 더 아껴야 함이 마땅할지 모른다. 그러나 나는 유한하고 불완전한 인간의 실존에 주목하고 오늘을 기쁘고 명랑하게 살 방법을 선택하기로 했다. 돈으로 살 수 있는 행복이 있다면 취하여 얻기로 했다.

예년에 비해 빨리 찾아온 봄 기운에 이끌려 노란색 들꽃이 그려진 화사한 쿠션을 사고, 장미 한 송이를 사서 꽃병에 꽂았다. 좋아하는 방탄소년단의 콘서트 실황을 영화로 만들어 상영한다는 소식에 표를 예매하고, 그들을 상징하는 보라색 티셔츠를 주문했다. 잠시 이민자의 삶 속에 드리워진 그늘에서 벗어나 극장에서 우리말 노래를 따라 부르고, 함성을 지르며 한국인이라는 자긍심에 도취되었다. 가족들의 환한 웃음 속에서 오늘 내가 돈으로 산 행복의 가치는 금전으로 매겨질 수 없음을 알았다. 걷잡을 수 없이 커져 버린 돈의 위력 앞에서 보잘것없어진 삶의 소중한 순간과 가치들을 떠올리니, 돈으로 살 수 있는 작은 행복이나마 사수하자 다짐하게 된다. 그것이 내가 돈을 버는 이유 중 하나이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거대한 돈의 위력을 등에 업고 세상의 부조리는 날로 커지고 있다. 자본주의 시장경제는 우리 삶의 고유한 영역까지 파고들어 돈으로 살 수 없는 것이 있기나 한 건지 의문을 품게 한다. 그런데도 마이클 샌델 교수는 그의 저서 ‘돈으로 살 수 없는 것’에서 여전히 우리의 삶과 사회 속에는 돈으로 가치를 측정하고 거래할 수 없는 영역이 존재하며 그것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옳은 말이지만 사랑도 우정도 돈이 있어야 표현할 수...
권은경
세상에 내린 눈물 2023.02.27 (월)
눈물은 슬픔이요 사랑이라눈물은 감사요 용서라눈물은 빛이요 생명이라눈물은 가슴이요 바다라세상 욕심 하늘을 찔러거짓 속임 빗발쳐울분과 분노의 고열로불신과 절망이 목을 죄검은 세력 헤집는 세상어둠은 슬픔에 얼룩져눈물의 강가를 출렁이더라이제 금저 만치용서의 바다에 내려사랑의 바람 타고감사의 노를 저어생명의 눈물로 헹궈시든 세상을 건져 내가슴의 바다에 눈부셔 가리라
백혜순
빵빵 군번의 수난 2023.02.24 (금)
      사람이 늙어 가면서 살림을 줄이는 것이 좋다. 그래서 오랫동안 모아 놓은 서류함을 정리하던 중 파일 틈에 끼어 잘 보이지 않아 휴지통으로 버려질 뻔했던 까만 수첩을 발견했다. 대한민국 국민으로 국방의 의무를 필 했음을 증명해 주는 "예비군인 수첩" 이다. 60년 전 한국을 떠날 때 여권과 함께 꼭 소지해야만 했던 귀중한 물건이다. 하마터면 영원히 잃어버릴 뻔 했던 이 수첩을 대하니 그 때 내가 만난 인연의 얼굴들이 영상처럼...
심정석
진실로신은 존재하시는가땅이 꺼지고하늘이 무너질 제,아무 죄 없는 생명이 묻히고평생 쌓아온 생존의 기물이 무너질 제진실로,신은 어디에 계셨단 말인가건물 잔해에 묻혀 있다간신히 살아난 어린 소년,검은 가방 속 저금통을 찾아달라 한다저금통 찾아 그 돈으로 집을 사야 한단다소년의 상실감이 창이 되어 가슴을 찌른다시멘트 덩어리, 굽은 철근을 뒤집는 손길에불끈 힘이 솟는다듣는 이, 보는 이의 가슴 속에희망이 노을처럼 번진다신은사람의...
김해영
나는 클래식 문외한이다. 평생 즐겨 들은 클래식은 바흐의 무반주 첼로 곡과 비발디의 사계 정도를 꼽을 수 있다. 하지만 봄, 여름, 가을, 겨울을 따로 들려주고 어느 계절이냐고 묻는다면 ? …. 베토벤의 운명 교향곡과 합창 교향곡은 구분하지만, 베토벤의 곡과 모차르트의 곡은 가르지 못하는 귀를 가졌다. 이렇게 듣는 귀가 없는 사람을 “막귀”라고 한다. “클알못”은 ‘클래식을 알지 못하는 사람’을 일컫는 신조어다. 클래식 듣기에 입문한...
김보배아이
어젯밤엔 싸늘한 별 속을 장님처럼 더듬거렸고 오늘 밤은 텅 빈 굴 속에 석순처럼 서 있습니다 내일 밤은 모릅니다 쫀득한 세상이불 속두 다리 뻗고 코나 골고 있을지 딱딱한 궤짝 속 팔다리 꽁꽁 묶인 채 솜뭉치 악물고 있을지 아무도 모릅니다
백철현
  캐나다에서 살며 가장 많이 하는 일 중 하나는 운전이지 않을까 싶다. 아이들 학교, 운동, 종교 그 모든 활동은 집에서 쉽게 걸어갈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다. 대중교통도 한국에서 경험했던 것처럼 다양한 수단이나 노선이 준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 자동차를 타고 가야 한다. 특히 운동을 하는 둘째는 다른 도시로 여기저기 원정 경기를 가기 때문에 꽤 장거리를 운전할 때가 잦은 편이다.먼 거리를 운전하다 보면 졸리거나 지루한 시간이...
윤의정
잠 못 드는 이유 2023.02.21 (화)
살 껍질 비집고수천 마리 두더지가 소풍을 한다열 손가락 써래질로 밤은 꺾이고들쑤신 탑세기*에 벌건 꽈리 꽃 피었다아프면 퍽퍽 울고나 말지삶 속에 얼기 설기 열 꽃 물집타인과 나 사이 시소를 타고허공만 빠꼼대는 물고기하늘로 오르려만 말고두 발 땅에 있을 때 사뿐 내리면 될 걸허공에 한숨 물고 삿대질 만 하고 있나상념 헤집고 두더지시소 타고 온 밤을 하작인다* 탑세기 : 솜먼지의 충남 방언
한부연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