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가뭄이 불붙이고 태풍이 부채질··· 지상낙원 하와이가 잿더미로

이혜진 기자 문지연 기자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3-08-10 08:52

마우이 산불 확산, 최소 36명 사망



인기 휴양지인 미국 하와이주(州) 마우이섬에서 발생한 산불이 빠른 속도로 번지면서 최소 36명(현지 시각 10일 오전 1시 기준)이 목숨을 잃었다. 한동안 가뭄이 이어진 가운데 불길이 강풍과 만나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해 대규모 재난으로 번졌다. 10일 CNN 등에 따르면 하와이제도를 이루는 섬 중 둘째로 큰 마우이섬에서 난 산불이 최대 섬인 하와이섬(빅아일랜드)으로 번지면서 사상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 미국의 긴급 신고 번호인 ‘911′ 통화에도 장애가 발생해 구조를 기다리다 불길을 견디지 못한 사람들이 바다로 뛰어드는 일까지 벌어졌다.

이번 화재는 8일 새벽 마우이섬 중부 쿨라와 서부 해안 라하이나 지역 등에서 시작됐다.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마우이 소방 당국은 이날 오전 라하이나 지역의 산불을 진압했다고 했지만, 잔불이 하와이로 접근한 허리케인 ‘도라’의 거센 바람을 타고 되살아나면서 상황이 악화했다. 산불은 섬 곳곳으로 확대됐고 불길은 바람을 타고 빅아일랜드까지 옮아붙었다. 이번 산불로 마우이·하와이섬 등지에서는 건물 약 271채가 소실되고 16개 도로가 폐쇄됐다. 다만 하와이 인구의 주도(州都) 호놀룰루가 있는 오아후섬(인구 95만명)은 아직 산불 피해를 당하지 않았다고 알려졌다.

하와이섬과 마우이에는 비상 사태가 선포됐다. 마우이 당국은 위험 지대 주민을 상대로 대피령을 내리고 “방문객들은 가능한 한 빨리 마우이를 떠나야 한다”고 발표했다. 조시 그린 하와이 주지사는 “필수적이지 않은 마우이로의 모든 여행을 중단해달라고 강력히 권고한다”고 했다. 남아 있던 관광객들이 앞다퉈 하와이를 탈출하면서 도로와 공항은 큰 혼잡을 빚었다. 에드 스니픈 하와이 교통부 국장은 9일 “1만1000명 이상이 항공편으로 마우이를 떠났다”며 “수천명이 공항에서 밤을 지새우고 있다”고 전했다.

하와이에 거주하는 한인들의 피해도 속출하고 있다. 현지 언론 등에 따르면 운영하던 상점이 불에 타거나 출입이 통제된 지역에서 미처 빠져나오지 못한 교민이 있다고 알려졌다. 마우이에 사는 한인들은 500여 명으로 추정된다.

피해가 집중된 마우이의 대표적 관광 명소인 라하이나는 오래된 유적들이 크게 훼손되면서 큰 피해를 당했다. 마우이 최고(最古) 주택으로 1830년대에 지어진 ‘볼드윈 홈 박물관’과 1873년 인도에서 들여온 미국에서 가장 큰 반얀트리도 이번 화재로 소실됐다. 실비아 루크 하와이주 부지사는 “수천 에이커(1에이커=4047㎡)가 불에 탔고 집들과 상점을 포함한 수백개 구조물이 파괴됐으며 일부 지역은 학교와 도로가 폐쇄됐다”며 “복구에는 수년이 걸릴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 연방정부는 산불 진압을 위해 가용 인력을 총동원하고 있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9일 “연방정부 자산을 총동원해서 하와이 산불과 싸우라”고 지시했다. 바이든은 미 해안경비대와 해군에 수색과 구조 작업을 명령했고 미 해병대의 블랙호크 헬기들도 산불 진화에 투입했다.

AP에 따르면 산불이 급속도로 번진 데는 허리케인 ‘도라’의 영향이 컸다. 하와이에선 종종 계절성 화재가 발생하는데, 이번 산불은 ‘도라’의 상륙 시기와 맞물리면서 재난 수준으로 커졌다는 것이다. 화재가 최초로 발생한 것은 마우이 중부 쿨라와 서부 해안 라하이나 지역이었지만 허리케인이 일으킨 강풍을 타고 화재는 빠른 속도로 섬 전역으로 번졌다. 폭스뉴스는 “호놀룰루에서 남쪽으로 900마일(약 1450킬로미터)이상 떨어진 곳에 위치한 ‘도라’가 고기압 능선과 함께 하와이 전역에 거센 바람을 불러일으켰다”며 “시속 130㎞에 달하는 강풍이 불길을 키우고 있다”고 했다.

‘도라’가 일으킨 강풍 탓에 구조 작업이 늦어지면서 인명 피해도 커졌다. 소방헬기가 뜨지 못해 주민들은 구조를 기다리다 피해를 당한 경우가 많다고 알려졌다.

워싱턴포스트는 가뭄 또한 이번 산불의 주요 원인 중 하나라고 분석했다. 미 기상 당국에 따르면 이달 1일 기준 마우이의 3분의 1 이상이 가뭄에 시달렸다. 특히 지난 6월에는 평년보다 강수량이 적고 비정상적으로 건조한 상태가 지속됐다. 산불이 인재(人災) 성격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하와이 산불관리기구는 2018년 보고서에서 화재에 취약한 풀과 관목을 인간이 섬에 들여와 곳곳에 심은 이래 하와이 산불 위험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었다.

하와이는 습하고 무덥다고 알려졌지만 최근 몇 년 새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여름철 강우량이 줄고 가뭄이 반복되며 산불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는 보도했다. NYT는 “화재가 발생한 마우이는 현재 하와이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이라고 전했다.

◇마우이섬은

하와이 제도(諸島) 중 하와이섬(빅아일랜드)에 이어 둘째로 큰 섬이다. 화산 용암으로 형성됐다. 거주자는 16만명에 불과하지만 지난해에만 관광객 약 300만명이 방문한 관광 명소다. 신혼여행지로도 인기다. 북서부와 남동부를 가르는 거대한 계곡 때문에 ‘계곡의 섬’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쥬라기 공원’ ‘캐리비안의 해적’ 등 촬영지로도 유명하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3차원 이미지./Fusion Medical Animation새로운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가 출현해 공중보건에 미칠 영향에 전문가들이 촉각을 세우고 있다. 해당 바이러스가 기존 면역...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등 한·미·일 3국 정상은 이번 정상회의 공동성명에 중국을 직접 겨냥한 메시지를 담았다. 한·미·일 정상 공동성명에서 중국을 국제질서를 저해하는 주체로 직접 명시한 것은 처음이다.3국 정상은...
켈로나를 비롯해 BC주 중부에서 발생 중인 산불 연기의 여파로 광역 밴쿠버 지역의 대기질도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BC주 대기질 데이터 지도에 따르면, 18일 오후 3시 현재 광역...
‘노스로드 페스티벌’, 로히드몰서 내달 2일 개최
다문화 공연부터 플리마켓, 푸드트럭 등 즐길거리 넘쳐
▲2019년 코리아 커뮤니티 데이 당시 모습 (밴쿠버조선일보 DB) 노스로드 상권의 최대 축제 ‘노스로드 페스티벌’이 오는 9월 2일 오전 11시부터 저녁 7시까지 로히드시티...
MSCA 접속 통해 확인 쉬워져··· 이민자 편의 확대
앞으로 사회보장번호(SIN)를 온라인에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된다. 연방정부는 18일 성명을 통해 시스템을 더 현대화하기 위한 조치로, 서비스 캐나다의 온라인 서비스인...
컴패스카드 보여주면 할인 가능··· 선착순 5000명
이번주 주말부터 열리는 2023 PNE 페어(PNE Fair)를 맞아 트랜스링크가 특별한 할인 이벤트를 진행한다. 트랜스링크는 오는 8월 25일(금)과 9월 1일(금) PNE 입구에서 컴패스 카드를 보여주는...
한미일 정상, 공동 기자회견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18일 오후 캠프 데이비드에서 3국 공동 기자회견을 열었다. /대한민국 대통령실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강풍 여파에 산불 빠르게 번져··· 대피령 잇따라
켈로나 도시 전체가 연기로 자욱··· 피해 커질 듯
오카나간 호수 인근에서 일어난 산불이 강풍의 여파로 삽시간에 번지면서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이 산불로 인해 BC주 중부 최대 도시 켈로나에서는 비상사태가 선포된 동시에, 수천 여...
10월 초까지 간헐적 부족 예상
체중 감량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당뇨 치료제 오젬픽(Ozempic)이 캐나다에서도 공급 차질을 겪고있다. 18일 해당 약품의 제조업체인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는 글로벌 공급 제약과...
캐나다 노스웨스트 준주 지역만 산불 236건
올해 캐나다 산불 1100건··· 그리스만한 면적 집어삼켜
▲노스웨스트준주 옐로나이프 인근 산불 (NWT Fire Facebook)캐나다 노스웨스트 준주 지역에서 236건의 산불이 발생하면서, 주도인 옐로나이프 주민 2만명 전원에 대피령이 내려졌다. 올해...
▲Getty Images Bank대한항공이 안전 운항을 위한 승객 표준중량 측정을 실시한다.18일 대한항공은 국토교통부 고시에 따라 공항에서 휴대 수하물을 포함한 승객 표준중량 측정을 실시할...
6월 이후 출몰한 곰만 20여 마리
코퀴틀람 소재 공원 3곳에 곰 출몰이 잦아짐에 따라 앞으로 음식물 반입이 금지된다. 코퀴틀람 시당국은 최근 곰들이 공원 내 쓰레기통과 피크닉 장소 주변에 접근한다는 신고가...
캐나다도 새 변이 EG.5 확산 조짐··· 재유행 우려
면역력 약화가 원인··· 정부 “필요 시 방역 실시”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다시 늘고 있는 가운데, 캐나다에서도 재유행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16일 캐나다 공중보건청(PHAC)이 발표한 역학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점진적으로...
강풍·마른번개로 금요일 오전까지 산불 피해 늘듯
웨스트 켈로나 등 오카나간 지역 대피령 잇따라
▲켈로나 인근 맥도걸 크릭 산불 모습(BC Wildfire Service) 덥고 건조한 날씨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강한 바람과 마른번개의 여파로 이미 역대 최악 수준이었던 BC의 산불 피해가 심화되고...
[깨알지식 Q]
‘원자폭탄의 아버지’와 ‘군축(軍縮)의 아버지’라는 정반대의 두 별명을 가지고 있는 미국 물리학자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전기(傳記) 영화 ‘오펜하이머’가 15일 국내에서 개봉했다....
▲Getty Images Bank잦은 음주가 50세 미만 ‘젊은 대장암’ 발병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신철민 교수 연구팀은 젊은 대장암 발병 요인을 파악하고자,...
작년 9월 메이플릿지서 구매··· 100만 달러 당첨
지난해 9월 추첨한 6/49 로또 당첨금의 주인공을 찾고 있다. BC 복권공사(BCLC)는 2022년 9월 28일 추첨한 6/49 로또의 100만 달러 당첨자가 아직까지 당첨금을 수령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내부 시스템서 정보 변경 후 2만불 타가
사기, 배임 등 혐의로 기소
팬데믹으로 직장을 잃어 재정적 어려움을 겪는 국민을 위해 정부가 도입한 지원금을 부정 수급한 전 국세청(CRA) 직원이 적발됐다.   지난 10일 경찰은 유콘준주 도슨시티에 거주하는...
팰리세이드, 엘란트라, 투싼 등
미국서도 5만여대 리콜 진행
기아에 이어 현대 자동차도 화재 위험 문제로 캐나다서 리콜 조치됐다.   연방 교통국은 캐나다에 수입된 총 1만1120대의 현대 차량을 리콜한다고 밝혔다. 당국에 따르면 특정...
밴쿠버 쇼네시 골프클럽서 24일 개막
고진영, 리디아고, 브룩 헨더슨 등 출격
▲2019년 대회 우승자 고진영 (Photo by Mike Stobe/Getty Images) 캐나다 유일의 LPGA 투어인 캐나다 퍼시픽 캔자스시티(CPKC) 여자오픈(이하 CPKC 여자오픈)이 오는 24일부터 27일까지 밴쿠버 쇼네시...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