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하와이 왕국의 수도’ 80% 불타··· 바다 뛰어든 사람 대부분 숨져

뉴욕=윤주헌 특파원 워싱턴=이민석 특파원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3-08-11 09:26




8일 새벽(현지 시각) 미국 하와이 마우이섬에서 시작된 산불로 인한 사망자가 55명(11일 오전 2시 기준)까지 늘어났다. 현재 진화 작업에 큰 진척이 없는 데다가 생사가 파악되지 않은 실종자도 다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사망자는 최소 60명을 넘길 것이라고 뉴욕타임스 등 미 언론들은 전했다. 이에 따라 이번 산불은 하와이주의 미국 편입 이듬해인 1960년 5월 몰아닥친 쓰나미로 61명이 희생된 이래 최악의 자연재해로 기록될 전망이다. 불길 속에서 끝내 구조되지 못한 희생자들의 시신이 방파제 주변 바닷가를 떠다니고 있다는 등 참상의 목격담도 잇따르고 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10일 하와이 산불을 ‘중대 재난’으로 선포했다.

이번 화재로 옛 하와이 왕국의 수도이자 대표적 관광지였던 마우이섬의 라하이나는 도시 전체가 잿더미가 됐다. 리처드 비센 시장은 10일(현지 시각) 언론 브리핑에서 침통한 표정으로 “모든 것이 사라져 버렸다(It’s all gone)”고 말했다. 주요 외신들은 이번 산불이 하와이 역사상 최악의 자연재해가 될 수 있다고 했다.

빼어난 자연 절경과 유서 깊은 문화재가 곳곳에 있는 마우이섬은 하와이 제도의 여러 섬 중에서도 반드시 들러야 할 관광지로 꼽혔다. 그런 곳이 아비규환이 되면서 필사의 탈출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관광객들 상당수는 주도(州都) 호놀룰루가 있는 오아후섬으로 대피했다. 하와이주 당국은 마우이섬에서 탈출한 관광객들을 위해 호놀룰루 시내 컨벤션센터에 긴급 수용 시설을 마련했다.
하와이 말로 ‘잔인한 태양’이라는 뜻을 가진 라하이나는 마우이섬 서북쪽 해안에 있는 인구 1만2000여 명의 해안 도시다. 19세기 초까지 하와이 왕국의 수도였고, 소설 ‘모비딕’의 배경지로 유명하다. 매년 200만명 이상의 여행객이 찾는 관광 명소다. 하지만 강풍과 함께 몰아닥친 불길은 아름다운 도시를 순식간에 잿더미로 만들었다. 이번 화재 희생자 대부분이 라하이나에서 나왔다. 조시 그린 하와이 주지사는 10일 언론 브리핑에서 “구조 대원들이 라하이나 지역을 중심으로 주택과 건물을 수색하기 시작해 사망자 수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며 “희생자가 63년 전 쓰나미 때를 넘어설 것 같다”고 했다. 현지 언론은 실제로 그렇게 될 것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주민들에 따르면 불길을 이겨내지 못하고 바닷가로 뛰어든 사람들 중 상당수가 목숨을 잃었을 가능성이 작지 않다.

라하이나의 한 주민은 현지 언론인 ‘하와이 뉴스 나우’에 “바닷가에 있는 방파제에 여전히 시신들이 둥둥 떠 있다”고 했다. 목격자들에 따르면 구조를 기다리던 사람들 중 일부가 도움을 받지 못한 채 불길을 피해 살기 위해 바다로 뛰어들었다. 라하이나 주민 브라이스 바라오이단은 온라인 매체 ‘뉴스네이션’에 “물 위에 떠 있던 배들이 화재로 폭발했고 기름이 흘러 나와 물에 떠 있던 사람들을 덮쳤다”고 전했다. 불길에 휩싸인 주택 옆 길가에 정신을 잃고 쓰러져 있는 사람 등을 담은 영상과 사진이 온라인과 소셜미디어에 퍼지고 있다. 그린 주지사는 이번 화재에 대해 ‘폭탄이 터졌다(a bomb went off)’고 했다.

물적 피해도 막심하다. 라하이나는 오래된 목조건물인 경우가 많아 전체 건물의 80%가 전소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화재 피해를 입은 건물은 최소 1700여 채로 추산되고 있다. 유서 깊은 문화재들도 갑작스레 덮친 불길에 잿더미가 됐다. 마우이에서 가장 오래된 주택으로 1835년에 선교사가 지은 ‘볼드윈 홈 박물관’과 1873년 인도에서 들여온 미국 최대의 반얀나무가 이번 화재로 소실됐다. 1900년대 초반에 지어져 선원들의 모임 장소로 사용되던 여관 ‘파이어니어 인’과 와이올라 교회 등도 불길에 사라졌다. 화재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하와이 산불을 중대 재난으로 선포하고 연방 정부 차원의 복구 지원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주방위군 병력 134명과 해군 3함대 등이 현장에 투입됐다. 주방위군의 헬기는 화재 현장에 15만 갤런(약 56만8000L)의 물을 투하했다.

군경이 소방과 구조에 투입되는 사이 민간 항공사들이 주축이 된 ‘여행객 탈출 작전’이 전개되고 있다. 미국 주요 항공사들이 마우이의 관광객들을 탈출시키기 위한 항공편을 긴급 편성하면서 마우이섬의 항공 관문인 카훌루이 공항은 전시를 방불케 했다. 하와이안 항공은 호놀룰루를 오가는 6개의 추가 비행편을 운항했다. 알래스카와 델타 항공 등도 마우이에 고립되어 있는 여행객들을 나르기 위해 비행편 지원에 나섰다. 그럼에도 표를 구하지 못한 여행객 1400여 명은 공항 청사에서 밤새 머물며 추가 항공편을 기다렸다. 공항 인근 와일루쿠 등에 마련된 대피소 5곳에서도 약 1350명이 밤새 대기했다. 현지 언론들은 “대피소마저 자리가 부족해 대피소 밖 차 안에서 자는 사람들도 허다했다”고 전했다. 하와이 관광청에 따르면 수요일에는 1만4000명, 목요일에 1만4500명이 마우이를 떠났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Getty Images Bank미국의 패스트푸드 업체 버거킹이 햄버거 고기패티 등의 크기를 실제보다 광고에서 크게 묘사했다며 현지 소비자들이 집단소송을 제기했다. 버거킹은 이들의 소송을...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가 오염수(일본은 ‘처리수’로 표기) 방류를 개시한 24일 이후 중국에서 반일(反日) 감정이 고조되고 있다. 중국 내 일본인학교에 중국인이 돌을 던진 사건이 일어났고, 일본 관공서와 식당은 중국에서 걸려온 항의 전화로 업무가...
/일러스트=조선디자인랩·Midjourney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 교사 사망 이후 교권 침해 문제가 사회적 논란인 가운데, 미국에서도 비슷한 어려움을 토로하는 교사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25일 주중 일본대사관이 홈페이지에 올린 공지. /주중 일본대사관 홈페이지후쿠시마 오염수(일본은 ‘처리수’로 표현) 방류로 중국의 ‘반일’ 감정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주중...
위층 집 현관문 아래 틈 사이로 독극물을 살포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 쑤밍 리. /NBC미국에서 화학을 전공하는 중국인 유학생이 독극물 주사기로 윗집에 거주하는 가족을 해치려다...
“지속적으로 하락한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정책 유지”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Federalreserve Flickr)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은 25일(현지 시각) “(필요하면)계속 금리를 인상하겠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이날 미국...
▲Getty Images Bank미국의 한 식당에서 밀크셰이크를 먹은 손님 3명이 사망하고 3명이 입원 치료를 받는 일이 발생했다.20일(현지시각) CNN에 따르면 미국 워싱턴주 보건부는 워싱턴주 타코마의...
러시아가 47년 만에 야심 차게 추진했던 달 탐사 프로젝트가 실패로 끝났다. 20일(현지 시각) 러시아 연방우주공사 ‘로스코스모스’는 이날 루나 25호가 궤도를 이탈한 후 달 표면에 추락해 파괴됐다고 발표했다. 로스코스모스는 “계산된 수치와 실제 충격량...
7.09%… 연준 긴축 통화정책 영향
미국의 모기지(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연 7%대로 오르며 2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17일(현지 시각)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번 주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가 평균 7.09%로 전주(6.96%)보다 0.13%포인트 상승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2002년 4월(7.13%) 이후 최고 수준이다....
▲U.S. Coast Guard미국 하와이 마우이섬에서 발생한 산불로 인한 사망자 수가 100명을 넘어섰다.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조시 그린 하와이 주지사는 15일(현지 시각) 이번 화재로 인한...
▲Getty Images Bank전세계가 7월 한달 극심한 폭염에 신음한 올해가 역사상 ‘가장 뜨거운 해’가 될 확률이 99%에 달한다는 전망이 나왔다.미국 온라인 매체 악시오스는 15일(현지시각) 미국...
대선 예비선거 ‘대이변’ 한몫
▲아르헨티나 중앙은행(출처= Getty Images Bank)아르헨티나 중앙은행은 14일(현지 시각) 기준금리를 97%에서 118%로 21%포인트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외채 문제로 극심한 경제 위기를 겪었던...
▲일러스트=조선디자인랩 이연주인도가 실제 성과를 내기 보다는 상사에게 잘 보이기 위해 ‘보여주기식 업무’를 가장 많이 하는 국가라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같은 조사에서...
▲일론 머스크와 마크 저커버그를 고대 로마 병사에 합성한 사진. /트위터‘세기의 대결’로 관심을 모았던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와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간의 격투 대결이...
하와이 산불로 최소 93명 사망
지난 8일 새벽(현지 시각) 미국 하와이주(州)의 유명 휴양지인 마우이섬에서 발생한 산불로 인한 사망자가 최소 93명(12일 오후 10시30분 현재)으로 늘어났다. 2018년 캘리포니아 북부에서 발생한 사망자 수 85명을 이미 넘어섰다. 이는 소방 체계가 제대로 갖춰지기...
마약 운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한국인 김모씨(왼쪽 네번째)가 지난 10일 공안에 의해 호송되고 있다./ VN익스프레스2년전 베트남에서 한국으로 40㎏ 상당의 마약을 밀반출하려다 적발된 한국인들이 재판 중이라고 현지매체 VN익스프레스가 지난 10일(현지 시각)...
노르웨이의 유명 산악인이 정상에 오르기 위해 죽어가는 짐꾼(포터)을 구하지 않고 두고 갔다는 논란이 불거졌다. 이 산악인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이를 부인하고 나섰다.11일(현지시각) 미 CNN 등에 따르면 산악인 크리스틴 하릴라는 ‘라마’라는 이름으로...
8일 새벽(현지 시각) 미국 하와이 마우이섬에서 시작된 산불로 인한 사망자가 55명(11일 오전 2시 기준)까지 늘어났다. 현재 진화 작업에 큰 진척이 없는 데다가 생사가 파악되지 않은...
미 알래스카 지역에서 빙하 붕괴로 인한 멘덴홀강 홍수로 주택 1채가 유실되는 모습이 거주자에 의해 포착됐다. /ABC 보도화면7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 워싱턴포스트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미국 기상청(NWS)은 5일 밤 주노 인근 멘덴홀 빙하 측면 분지가 붕괴해...
11살 아들에게 경비행기 조종간을 넘긴 뒤 맥주를 마시는 브라질 남성. /엑스(X·트위터)경비행기에 탑승한 브라질의 한 40대 남성이 11살짜리 아들에게 조종간을 내어주더니 자신은 병맥주...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