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러 달탐사선, 궤도 이탈해 추락 파괴돼··· 47년만의 도전 실패

김지원 기자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3-08-20 13:36

러시아가 47년 만에 야심 차게 추진했던 달 탐사 프로젝트가 실패로 끝났다. 20일(현지 시각) 러시아 연방우주공사 ‘로스코스모스’는 이날 루나 25호가 궤도를 이탈한 후 달 표면에 추락해 파괴됐다고 발표했다. 로스코스모스는 “계산된 수치와 실제 충격량 사이의 편차가 발생해 루나 25호가 궤도를 벗어나 통제 불능 상태가 됐고, 추락 후 소멸했다”고 했다. 앞서 19일 로스코스모스가 “착륙 전 궤도 진입 명령을 내렸으나 루나 25호에 이상이 발생해 계획대로 가동하지 못했다”고 발표한 지 하루 만에 완전한 실패가 확정됐다.

루나 25호는 러시아가 1976년 이후 47년 만에 쏘아 올린 달 탐사선이다. 지난 11일 러시아 극동 보스토치니 우주센터에서 발사됐다. 문제가 없었다면 21일 달 남극 표면에 내려 1년간 달 내부 구조와 자원을 탐사하는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었다. 달의 남극은 물과 얼음층이 존재할 가능성이 제기돼 과학자들 사이에 앞으로 달 탐사에 중추적 역할을 할 중요한 지역으로 여겨져 왔지만 아직 탐사선이 착륙한 적은 없다. 달 남극은 핵융합의 연료가 되는 헬륨 동위원소(헬륨-3)와 희귀 광물 티타늄 등도 많아 경제적 가치도 높다고 알려졌다.

러시아는 루나 25호가 인류 역사상 최초로 달 남극에 도착하는 탐사선이 되리라는 기대를 감추지 않아 왔다. 발사 당시 관영 타스통신 등 러시아 언론은 “이번 달 탐사선 발사는 (옛 소련 시절인) 지난 1976년 루나 24호를 달에 보낸 지 47년 만”이라며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과 유인 우주선을 쏘아 올린 러시아의 새로운 우주 탐사 역사가 시작될 것”이라고 했었다. 루나 24호는 1976년 8월 18일 달에 착륙해 토양 샘플을 채취했고 나흘 후에 성공적으로 지구로 귀환했다. 루나 24호는 2013년 중국의 창어 3호가 달에 내릴 때까지 달에 착륙한 마지막 우주선이기도 했다.

루나 25호의 처참한 실패로 우주 기술에 대한 러시아의 자존심은 큰 상처를 받을 수밖에 없게 됐다. 로이터는 “(루나 25호의 추락은) 1957년 첫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 1961년 유리 가가린의 인류 최초 우주비행 등 냉전시대 전성기를 맞았던 러시아의 우주 기술이 쇠퇴했음을 보여주는 사건”이라고 했다.

한편 루나 25와 함께 달 남극 착륙 경쟁을 벌여온 인도의 달 탐사선 ‘찬드라얀 3호’의 성공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인도는 러시아보다 4주 앞선 지난달 14일 ‘찬드라얀 3호’를 먼저 쏘아 보냈지만 전문가들은 루나 25호가 앞서 달에 내릴 것으로 예측했었다. 찬드라얀 3호가 지구 주변을 긴 타원 궤도로 몇 차례 공전하고서 달 궤도에 진입하는 우회 경로를 택한 반면, 루나 25호는 달로 비교적 곧게 가는 경로를 채택했기 때문이다. 찬드라얀 3호는 오는 23일 달 남극 지역 착륙을 시도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미 항공우주국(NASA)은 유인 달 탐사 프로그램인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을 통해 2025년 우주 비행사 두 명을 달의 남극에 보내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의 구상은 더 원대하다. 2024~2027년 달 남극에 착륙할 우주선을 잇달아 발사한 후 2030년 이후엔 달 남극에 기지를 만들어 ‘달 패권’을 선점하겠다는 계획이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Getty Images Bank미국의 패스트푸드 업체 버거킹이 햄버거 고기패티 등의 크기를 실제보다 광고에서 크게 묘사했다며 현지 소비자들이 집단소송을 제기했다. 버거킹은 이들의 소송을...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가 오염수(일본은 ‘처리수’로 표기) 방류를 개시한 24일 이후 중국에서 반일(反日) 감정이 고조되고 있다. 중국 내 일본인학교에 중국인이 돌을 던진 사건이 일어났고, 일본 관공서와 식당은 중국에서 걸려온 항의 전화로 업무가...
/일러스트=조선디자인랩·Midjourney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 교사 사망 이후 교권 침해 문제가 사회적 논란인 가운데, 미국에서도 비슷한 어려움을 토로하는 교사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25일 주중 일본대사관이 홈페이지에 올린 공지. /주중 일본대사관 홈페이지후쿠시마 오염수(일본은 ‘처리수’로 표현) 방류로 중국의 ‘반일’ 감정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주중...
위층 집 현관문 아래 틈 사이로 독극물을 살포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 쑤밍 리. /NBC미국에서 화학을 전공하는 중국인 유학생이 독극물 주사기로 윗집에 거주하는 가족을 해치려다...
“지속적으로 하락한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정책 유지”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Federalreserve Flickr)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은 25일(현지 시각) “(필요하면)계속 금리를 인상하겠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이날 미국...
▲Getty Images Bank미국의 한 식당에서 밀크셰이크를 먹은 손님 3명이 사망하고 3명이 입원 치료를 받는 일이 발생했다.20일(현지시각) CNN에 따르면 미국 워싱턴주 보건부는 워싱턴주 타코마의...
러시아가 47년 만에 야심 차게 추진했던 달 탐사 프로젝트가 실패로 끝났다. 20일(현지 시각) 러시아 연방우주공사 ‘로스코스모스’는 이날 루나 25호가 궤도를 이탈한 후 달 표면에 추락해 파괴됐다고 발표했다. 로스코스모스는 “계산된 수치와 실제 충격량...
7.09%… 연준 긴축 통화정책 영향
미국의 모기지(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연 7%대로 오르며 2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17일(현지 시각)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번 주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가 평균 7.09%로 전주(6.96%)보다 0.13%포인트 상승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2002년 4월(7.13%) 이후 최고 수준이다....
▲U.S. Coast Guard미국 하와이 마우이섬에서 발생한 산불로 인한 사망자 수가 100명을 넘어섰다.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조시 그린 하와이 주지사는 15일(현지 시각) 이번 화재로 인한...
▲Getty Images Bank전세계가 7월 한달 극심한 폭염에 신음한 올해가 역사상 ‘가장 뜨거운 해’가 될 확률이 99%에 달한다는 전망이 나왔다.미국 온라인 매체 악시오스는 15일(현지시각) 미국...
대선 예비선거 ‘대이변’ 한몫
▲아르헨티나 중앙은행(출처= Getty Images Bank)아르헨티나 중앙은행은 14일(현지 시각) 기준금리를 97%에서 118%로 21%포인트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외채 문제로 극심한 경제 위기를 겪었던...
▲일러스트=조선디자인랩 이연주인도가 실제 성과를 내기 보다는 상사에게 잘 보이기 위해 ‘보여주기식 업무’를 가장 많이 하는 국가라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같은 조사에서...
▲일론 머스크와 마크 저커버그를 고대 로마 병사에 합성한 사진. /트위터‘세기의 대결’로 관심을 모았던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와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간의 격투 대결이...
하와이 산불로 최소 93명 사망
지난 8일 새벽(현지 시각) 미국 하와이주(州)의 유명 휴양지인 마우이섬에서 발생한 산불로 인한 사망자가 최소 93명(12일 오후 10시30분 현재)으로 늘어났다. 2018년 캘리포니아 북부에서 발생한 사망자 수 85명을 이미 넘어섰다. 이는 소방 체계가 제대로 갖춰지기...
마약 운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한국인 김모씨(왼쪽 네번째)가 지난 10일 공안에 의해 호송되고 있다./ VN익스프레스2년전 베트남에서 한국으로 40㎏ 상당의 마약을 밀반출하려다 적발된 한국인들이 재판 중이라고 현지매체 VN익스프레스가 지난 10일(현지 시각)...
노르웨이의 유명 산악인이 정상에 오르기 위해 죽어가는 짐꾼(포터)을 구하지 않고 두고 갔다는 논란이 불거졌다. 이 산악인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이를 부인하고 나섰다.11일(현지시각) 미 CNN 등에 따르면 산악인 크리스틴 하릴라는 ‘라마’라는 이름으로...
8일 새벽(현지 시각) 미국 하와이 마우이섬에서 시작된 산불로 인한 사망자가 55명(11일 오전 2시 기준)까지 늘어났다. 현재 진화 작업에 큰 진척이 없는 데다가 생사가 파악되지 않은...
미 알래스카 지역에서 빙하 붕괴로 인한 멘덴홀강 홍수로 주택 1채가 유실되는 모습이 거주자에 의해 포착됐다. /ABC 보도화면7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 워싱턴포스트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미국 기상청(NWS)은 5일 밤 주노 인근 멘덴홀 빙하 측면 분지가 붕괴해...
11살 아들에게 경비행기 조종간을 넘긴 뒤 맥주를 마시는 브라질 남성. /엑스(X·트위터)경비행기에 탑승한 브라질의 한 40대 남성이 11살짜리 아들에게 조종간을 내어주더니 자신은 병맥주...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