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한국에 신세” 日, 이스라엘 파견 韓수송기에 박수보낸 이유

이혜진 기자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3-10-14 11:00

13일(현지시각) 저녁 이스라엘 텔아비브 공항에서KC-330(시그너스) 군 수송기에 탑승한 우리 교민 어린들이 태극기를 들고 환하게 웃고 있다./국방부 제공
13일(현지시각) 저녁 이스라엘 텔아비브 공항에서KC-330(시그너스) 군 수송기에 탑승한 우리 교민 어린들이 태극기를 들고 환하게 웃고 있다./국방부 제공

“솔직히 한국에 경의를 표하고 싶다. (이스라엘 교민 대피는) 인명과 직결된 일이며 인도적 지원의 관점에서도 이번 한국 정부의 대응은 훌륭하다고 생각한다.”(야후 재팬 댓글)

팔레스타인 무장 단체 하마스의 기습 공격을 받은 뒤 전쟁 중인 이스라엘에 교민들을 태우기 위해 군수송기를 보낸 한국 측의 대응에 일본인들이 박수를 보내고 있다. 일본인 51명을 함께 태운 한국 정부의 조치에 감사를 표하며, 일본 정부의 늦은 대응에 아쉬움을 드러냈다.

외교부와 국방부는 14일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13일 군수송기 및 신속대응팀을 이스라엘에 파견하기로 결정하고 우리 국민의 안전 귀국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군수송기에 탑승한 한국인은 163명이다. 정부는 현지에 체류 중이던 일본인, 싱가포르인도 함께 철수시켰다. 정부는 “군수송기를 통한 우리 국민의 귀국 지원 계기에 인도적 차원에서 일본 국민 51명과 싱가포르 국민 6명을 함께 탑승시켜 이스라엘을 출국할 수 있도록 협력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이런 일이 많아질수록 한일 관계도 좋아질 것.
이런 때는 나라 불문하고 서로 도울 수 있다면 좋은 일.
야후재팬 뉴스 댓글

일본 언론도 이 소식을 전하면서 일본인들이 댓글로 뜨거운 반응을 보이고 있다. 야후 재팬에 올라온 요미우리 신문이 쓴 관련 기사는 이날 현재 가장 많은 댓글이 달린 기사로 랭크됐다. 여기에는 이날 오후 9시30분 기준 댓글 3900여건이 달렸다.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일본인을 동승시켜 준 한국 정부에 대한 감사를 표하는 반응이 주를 이뤘다. 이들은 “한국 정부의 호의에 감사하다. 이런 일이 많아질수록 한일 관계도 좋아질 것” “신세를 졌다. 일본인 51명의 목숨을 구한 것이나 마찬가지” “조금이라도 빨리 돌아가고 싶은 일본인들이 있었을 텐데 배려해줘서 감사하다” “이런 때는 나라 불문하고 서로 도울 수 있다면 절대적으로 좋은 일이다. 저도 일본에서 곤란한 일을 겪는 외국인이 있다면 도와주고 싶다”는 반응이었다.

공군 제5공중기동비행단 소속 KC-330 조종사 박종현 소령이 우리 교민들에게 탑승을 안내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공군 제5공중기동비행단 소속 KC-330 조종사 박종현 소령이 우리 교민들에게 탑승을 안내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한국의 발빠른 대응이 일본의 대응 지연을 드러냈다.
일본의 정치적 결정은 융통성이 없고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
야후재팬 뉴스 댓글

발빠른 한국 정부의 대응에 부러움을 표하는 동시에 일본 정부의 조치가 아쉽다는 반응도 많았다. 이들은 “한국의 발빠른 대응은 일본 정부의 대응 지연을 드러내는 모습이 됐다” “역시 징병제를 하고 있는 한국은 이런 때에 대응이 빠르다. 일본은 재해 대응은 빠르지만, 이런 사태에 대해서도 곧바로 대응할 수 있도록 대비해야 한다” “한국과 정치적 문제가 있지만, 긴급 상황에서 한국이 솔선수범 대응하는 이미지가 강하므로 배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일본 정부의 늦은 의사 결정에는 진절머리가 난다” “일본의 정치적 결정은 완고하고 융통성이 없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4월 수단 내 무력충돌에서 고립됐던 현지 교민들을 철수시킨 이른바 ‘프라미스 작전’ 당시에도 일본인 등 일부 외국인들을 수송기에 함께 태웠다. 외교부 당국자는 “수단 교민 탈출 ‘프라미스’ 작전 때처럼 한국과 일본이 해외 위급상황에서 상호 협조를 제공한 사례가 많았다”며 “여유 좌석이 있다면 도움을 줄 수 있겠다는 차원에서 제안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한편, 일본 정부는 이날 이스라엘의 텔아비브에서 UAE 두바이로 향하는 전세기 1편을 준비해 이스라엘에 체류 중인 일본인의 출국을 지원한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입력 2020.11.14 10:45영 김(한국 이름 김영옥) 연방 하원의원 당선인./영 김 선거캠프미국 대선과 함께 치러진 연방 하원의원 선거에서 한국계 영 김(58·한국이름 김영옥) 후보가 당선을...
한국계 여성 미셸 박 스틸(65·한국명 박은주) 미국 공화당 후보가 연방 하원의원에 당선됐다고 AP통신이 10일(현지 시각) 보도했다.미셸 박 스틸 당선인 홈페이지스틸 당선인은 이날 미국...
역사상 최초로 한국계 여성이 미국 연방 의회에 입성하게 됐다.매릴린 스트릭랜드 연방 하원의원 후보. /트위터3일(현지 시각) 실시된 연방 하원의원 선거에서 워싱턴주 제10선거구에...
11월 3일(이하 현지 시각) 치러지는 미국 대선에서 한국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재선(再選)을 바라는 데 반해 한국 국민은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를 지지하는 경향이 보인다고...
한-미 정상회담을 하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왼쪽)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조선일보 DB미국인의 한국에 대한 호감도가 상승했다는 미국 싱크탱크의 조사 결과가 나왔다.미국의 외교...
입력 2020.07.27 01:39 수정 2020.07.27 01:4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연합뉴스"우리의 군은 한국군과 나란히 자랑스럽게 계속 복무할 것이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홍콩 보안법 시행 첫날] 백악관 "中·홍콩, 한 체제로 취급"미 백악관이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 강행에 대해 "앞으로 홍콩을 중국과 한 체제로 취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영국과 일본 등 27국도 유엔에서 성명을 내고 "홍콩의 자유를 보장하라"며 비판했다.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달 말로 예정됐던 주요7개국(G7) 정상회의를 9월로 연기하고, 이때 한국도 초청하겠다고 30일(현지 시각) 밝혔다.30일(현지 시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케빈 매카시 하원 원내대표와 함께 미국 플로리다주...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