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방뇨 논란’ 칭따오 맥주 매출 급감··· 日·美 맥주 ‘반사이익’

방재혁 기자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3-10-29 10:41

중국 칭다오 맥주 현지 생산공장에서 직원이 맥주 원료에 방뇨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영상이 공개된 이후 국내에서 매출이 급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일본과 미국 등 다른 국가에서 생산된 수입 맥주는 이번 논란의 반사이익을 누리고 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1일 ‘방뇨 맥주’ 논란이 확산한 이후 편의점에서 칭다오 매출은 전주 대비 20∼40%씩 급감하고 있다. 21∼26일 기준으로 한 편의점에서는 칭다오 맥주 매출이 전주 대비 41.3% 줄었고, 다른 한 편의점에서도 30.6% 감소했다.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9월 칭다오 등 중국 맥주 수입액은 2728만달러(약 370억원)로 일본과 네덜란드에 이어 3위를 기록했지만, 이번 사태로 타격이 불가피해 보인다.

한 편의점에서는 칭다오가 수입 맥주 가운데 매출 3위를 지켜오다가 21일 이후 7위로 떨어졌다. 대신 미국의 버드와이저, 네덜란드의 하이네켄 등이 이 자리를 차지했고, 2위인 일본 아사히 매출도 증가했다.

다른 편의점에서는 같은 기간 미국 버드와이저(33.1%)와 벨기에 스텔라(35.8%) 등의 매출이 늘었다.

또 다른 편의점에서도 미국 버드와이저(3위)와 네덜란드 하이네켄(4위)의 순위가 올랐고 아사히 매출도 늘었다.

최근 중국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웨이보에 한 남성이 맥주 원료 맥아가 쌓여 있는 곳에 소변을 보는 듯한 영상이 올라오면서 중국 맥주에 대한 소비자 우려가 커졌다. 중국 현지 매체들은 해당 영상이 중국 산둥성 핑두시에 유명 중국산 맥주 브랜드 칭따오 제3공장에서 촬영된 것으로 추정했다.

이 영상이 공개되자 칭따오 맥주 수입사와 관련 당국은 해당 맥주가 국내로 들어오지 않았다고 진단했지만, 소비자 반응은 싸늘해진 상태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중국 칭다오 맥주 현지 생산공장에서 직원이 맥주 원료에 방뇨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영상이 공개된 이후 국내에서 매출이 급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일본과 미국 등 다른 국가에서 생산된 수입 맥주는 이번 논란의 반사이익을 누리고 있다.29일 업계에...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