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김종민 교수, 英 케임브리지대 첫 한국인 명예교수에

파리=정철환 특파원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3-11-19 14:01

나노 디스플레이 분야 석학

나노미터(10억분의 1m) 수준의 초미세 소자 디스플레이(화면 표시 장치) 기술의 세계적 권위자인 김종민(67)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가 한국인 최초로 이 학교 명예교수(Emeritus Professor)가 됐다. 지난 9월 정년을 맞은 지 3개월 만이다. 케임브리지대 명예교수는 현대 물리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천재 과학자 아이작 뉴턴(1642~1727) 등 쟁쟁한 인물들이 오른 명예로운 자리다.

그는 삼성에서 OLED(유기발광다이오드)와 QLED(양자점발광다이오드), 탄소나노튜브 디스플레이 등을 개발한 기업 연구소 출신 과학자다. 국내외에 특허 총 250여 개를 냈고, ‘네이처’ ‘사이언스’ 등 세계적 학술지의 표지를 장식하기도 했다. 2003년엔 김기남 한국공학한림원 회장 겸 삼성전자 SAIT(옛 종합기술원) 회장과 함께 삼성전자 내 노벨상으로 불리는 ‘삼성 펠로’에 뽑혔다. 그러다 2012년 3월, 돌연 사표를 내고 영국 옥스퍼드대 전기공학과 교수가 돼 큰 화제가 됐다. 이어 2016년 케임브리지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로 옮기며 한국인 처음으로 이른바 ‘옥스브리지(Oxbridge)’에서 모두 교수가 되는 진기록도 세웠다. 옥스브리지는 영국 최고 명문 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김 교수는 좌절과 극복, 투쟁과 성공의 스토리가 집약된 드라마 같은 인생을 살았다. 경상북도 청도의 유복한 양조장집 9남매 중 여섯째로 태어나 수재 소리를 들으며 컸지만, 가세가 기울며 철도고등학교에 진학했다. 학비가 공짜인 데다 서울대 등 명문대에 입학할 경우 장학금을 준다고 했기 때문이다. 우수한 성적으로 서울대에 갈 줄 알았지만 예기치 못하게 낙방, 한동안 철도 공무원으로 일했다. “더 넓은 세상으로 가보자” 싶어 한국해양대에 입학했지만 군대식 문화를 견디기 힘들었다. 결국 수험 생활을 다시 시작, 예비고사 기준 전국 500위권의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1976년 홍익대 전자공학과 ‘특별 대우 장학생’이 됐다. 4년 장학금에 매달 생활비까지 주는 조건이었다.

어렵사리 대학에 진학했지만, 폐결핵에 걸려 큰 고생을 했다. 졸업 후 LG전자의 전신인 금성사에 입사했으나 2년 만에 미국 뉴저지 공과대학으로 유학을 떠났다. 유학 첫해 생활비를 벌기 위해 생선 가게에서 일하다 왼손 가운뎃손가락 끝마디가 잘리는 사고도 당했다. 굴곡졌던 그의 인생은 당시 세계적 반도체 권위자였던 윌리엄 카 교수를 만나며 바뀌기 시작했다. 이때 디스플레이 반도체 연구를 시작, 1988년부터 미국 육군연구소 연구원으로도 일했다. 1993년 귀국해 이후 20년 넘게 삼성전자가 세계적 첨단 디스플레이를 잇따라 만들어 내는 데 기여했다.

김 교수는 옥스퍼드로 옮기며 연봉이 5분의 1이 됐다고 한다. 영국은 어렵사리 모셔온 그를 극진히 대접했다. 지난 11년간 받은 연구비는 총 4300만달러(약 560억원)에 이른다. 그는 지난해 발광다이오드(LED) 수천 개와 센서, 배터리 등 디스플레이 모듈 전체를 직물처럼 만든 46인치 크기의 ‘스마트 직물 디스플레이’를 선보였다. 최근엔 ‘테라헤르츠파(THz)’ 발생 장치 연구를 시작했다. 테라헤르츠파는 빛과 전파의 속성을 모두 갖춰 다양한 투시(透視)와 비파괴 검사 기술에 활용될 수 있다. 엑스레이보다 훨씬 안전하면서, 전파나 초음파보다 깨끗하고 정확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김 교수는 “반도체 불량품 검사, 사람 몸의 종양 탐지 등에 두루 쓰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이탈리아 풀리아 정상회담서 합의
13일 이탈리아 동남부 풀리아의 보르고 에냐치아 리조트에서 개막한 G7 정상회담에서 저스틴 트뤼도 총리를 비롯한 G7 정상들이 G7과 EU에 묶여 있는 러시아의 동결 자산을 이용해...
부실 감독 및 유착 의혹 등도 확인 나서
▲이기철 재외동포청장(아래줄 오른쪽에서 네번째)이 지난달 13일 호주한글학교협의회 소속 한글학교 운영자들과 만나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지난해 4월 기준 전세계 114개 국가 총...
키이우에서 G7 정상회담··· 캐나다 30억 달러 지원
▲저스틴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 Justin Trudeau Facebook러시아의 전면 침공으로 발발한 우크라이나 전쟁 2년을 맞은 24일, 서방 G7(7국)과 유럽연합(EU)...
나노 디스플레이 분야 석학
나노미터(10억분의 1m) 수준의 초미세 소자 디스플레이(화면 표시 장치) 기술의 세계적 권위자인 김종민(67)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가 한국인 최초로 이 학교 명예교수(Emeritus Professor)가 됐다. 지난 9월 정년을 맞은 지 3개월 만이다. 케임브리지대...
김대건 신부 성상 축성식
한국인 최초의 가톨릭 사제 성(聖)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1821∼1846)의 조각상이 16일(현지 시각) 로마 바티칸에서 축성식을 마치고 일반에 정식 공개됐다. 이날은 김대건 신부가 순교한 지 정확히 177년이 된 날이었다. 앞서 이 성상(聖像)은 2년여 간의 제작 기간을...
해외 각국 정전 70주년 기념행사
6·25전쟁에 참전해 한국을 도운 자유 진영 국가들은 잇따라 정전협정 70주년 기념 행사를 열고 참전 군인들의 희생을 기렸다.미국 워싱턴 DC 한국전 참전 기념 공원에서 열린 정전 70주년 행사엔 참전 용사 및 유가족, 한미 참전 단체, 유엔 참전국 대표, 미 정부 주요...
“당신들은 지난 70년간 정말 대단한 일을 해냈어요. 한국인 모두를 안아주고 싶습니다.”지난 15일(현지 시각) 프랑스 파리 한국문화원에서 열린 프랑스 참전 용사 사진전 개막식. 6·25전쟁 정전 70주년을 맞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남유럽협의회가 마련한 이...
9일(현지 시각) 튀르키예 앙카라에서 지진 피해 교민들이 따뜻한 밥과 국, 김치를 나누고 있다./정철환 특파원“살아왔구나!”9일 오후 7시(현지 시각) 튀르키예 수도 앙카라 외곽의 호텔...
상한액 넘는 값으론 거래 금지 “G7 국가·캐나다·한국도 동참”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서방의 ‘유가 상한제’ 시행이 최종 확정됐다. 유럽연합(EU) 회원 27국이 만장일치로 합의하자 미국과 영국, 일본 등 주요 7국(G7) 국가들도 즉각 동참을 선언, 모든 서방국가가 대러 단일 전선을 구축했다. 러시아산 유가 상한제는 참여국 간...
해외 정상·왕족들 속속 입국
영국 런던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19일 오전 11시(현지 시각, 한국 시각은 오후 7시) 열리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국장(國葬)을 하루 앞두고 각국 정상과 왕족 수백명이 런던으로 속속 모여들면서 지구촌이 들썩이고 있다. 신종 코로나 사태 이후 전 세계...
지난 8일 서거한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의 장례식 날짜가 19일로 정해졌다고 영국 정부와 왕실이 10일(현지시각) 발표했다.장례식은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열린다. 영국의 왕과 여왕이 대관식을 하는 곳이자,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1947년 당시 필립 왕자와...
파리=정철환 특파원 한예나 기자 최연진 기자
9일(현지 시각) 튀르키예(터키) 이스탄불에서 출발한 인천공항행 대한항공 여객기 KE9956편이 엔진 고장으로 중앙아시아 아제르바이잔 공화국에 비상착륙했다. 당시 이 비행기에는 승객과...
코로나 줄어들던 미·유럽 재확산, 한국선 한달새 검출 비율 5배로
미국⋅유럽에서 스텔스 오미크론이 유행하면서 확진자가 다시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점점 세력을 넓히고 있어 경고등이 켜졌다.영국에서는 지난달 25일 하루 3만1885명까지 줄어들었던 코로나 신규 확진자가 지난 14일 17만814명으로 5.4배가 됐다. 지난 1주일간...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