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어떤 눈물

최원현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3-11-20 13:33

최원현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벌써 14년 전이다. 한 방송사가 47주년 특별 기획이라며 보여주던 다큐멘터리는 참 충격적이었다. 우연히 채널을 돌렸다가 보게 된 프로였는데 지금도 장면들이 눈에 선하다. 지구 온난화로 사냥터를 잃어가는 북극곰의 눈물, 빨리 녹아 사라져버리는 작은 유빙流氷에 갇힌 바다 코끼리, 사라지는 툰드라에서 이동하는 순록 떼의 모습은 결코 아름다운 영상이 아니었다. 하지만 그때만 해도 그럴 수도 있겠다 정도로 그리 심각하게 생각지는 않았다. 하지만 최근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기후 현상에 그 프로의 내용을 연관시켜 보니 짐짓 가슴이 서늘해진다.
2018년 여름엔 서울의 기온이 40도까지 올랐었다. 2020년 여름에는 55일 간이나 중부 지방에 장마가 계속되었다. 지난해 3월엔 경북 울진에서 열흘 간이나 산불이 지속되었다. 8월에는 강남 지역에 엄청난 폭우가 쏟아져 강남 역 일대가 다 침수되었다.
이것은 단순한 현상으로 보기 어렵다. 물론 환경적 시설의 배수 설계 등 잘못도 있겠지만 이렇게 많은 비나 기온 상승은 사람이 어찌해 볼 수 없는 자연현상이 아닌가. 국내 뿐 아니라 파키스탄에선 무려 3개월이란 긴 대 홍수로 영토의 1/3 이 잠겨 1,700명이 사망하고 3 천만 명이 수해를 입었다고 한다. 이러한 이상 기후는 물 부족을 낳아 흉작을 만들어 식량 위기로 많은 사람들을 죽게 한다. 기후 위기가 사회 위기, 경제 위기를 만드는 것이다.
  지난해에도 우리 문인들이 나무 심기에 나섰었다.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 온실가스와 숲의 파괴에 있다는 인식에서 였다. 온실가스는 지구로 들어오고 나가는 복사 에너지의 균형을 깨뜨리는데 제조, 교통, 난방 등 인간 활동의 결과로 생겨나는 것들이다. 산업혁명 전 수천 년 동안은 자연적 순환과 균형이 이뤄지던 것이 인류의 생활 환경이 과학 문명 편의주의 화 하면서 산업화의 발달은 지구의 위기를 가져온 것이다.
캐나다 남부 리턴 지방의 50도라는 100년 만의 최고 기온이나 미국 서부 데스 밸리의 56도라는 140년 만의 폭염, 동토凍土인 러시아 모스크바가 35도를 기록하는 등 기후 이상은 2021년의 지표면 온도가 16.73도로 142년 관측 이래 최고가 되게 했다.
뿐인가. 호주에선 6개월 동안이나 산불이 나서 우리나라 면적의 83%에 달하는 산림 면적이 불타버렸고, 북극 온도는 최근 10년 새에 1도 나 상승하여 바다 수온 상승으로 플랑크톤이 다 죽는가 하면 천 년을 유지해 왔던 해수면이 최근에는 45분마다 축구장 면적만큼 침수되어 2050년이면 방글라데시 국토의 17%가 침수될 것이라 한다.
  이제 전 세계는 이런 기후 현상으로 심각한 가뭄과 사막화에 영구 동토凍土의 해빙으로 고대 냉동 바이러스를 부활시켜 코로나19 이상의 팬데믹이 예상된다. 이러한 기후 및 기상 이변으로 동식물이 멸종될 수 있고 사람도 거기서 예외가 될 수는 없다고 한다. 그래도 나이 든 우리야 어찌 살다 죽는다 해도 우리 후손들은 어쩌란 말인가. 지구 상에서 없어져 버린 멸종 동물이나 식물처럼 우리 후손들이 그렇게 되도록 해선 아니 되지 않겠는가. 그럼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한단 말인가.
  크게는 이런 재앙이 오지 않도록 세계가 함께 위기감을 갖고 대처하는 일이 급할 것 같다. 온실가스를 줄이고 재생 에너지의 사용을 늘리는 국제적 협력이 우선 되어야 할 것이다. 사계절이 아름답던 우리나라도 봄은 2주로 줄어들었고 가을은 채 사흘도 안 된다는 데 무어라도 해봐야지 않겠는가. 모든 것이 산업화의 결과라면 최소한의 불편은 감수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 같다. 무엇보다 버려지는 것을 줄이려면 새것을 줄이고 재 사용을 늘리며 친환경 기업, 친환경 정책에 힘을 보태주는 것도 솔선해야 할 것 같다. 잘 먹고 잘 쓰고 더 편하게 가 가져온 오늘의 이 현상은 부메랑이 되어 돌아왔다.
  100년 후 우리 후손을 생각하면 눈앞이 캄캄해진다. 얼어서 눈으로 내려야 할 수증기가 온난화로 비가 되어 내리면 빙하는 더 빨리 녹을 수밖에 없다. 난방·온실가스·탄소 배출 증가는 우리를 죽이는 마약 같은 것이다. 오늘 내가 한 행동들 하나하나를 돌이켜본다. 하지 않아야 할 것, 고칠 것을 먼저 생각하고 나무를 심던 마음으로 지구 환경을 푸르게 만들어 우리의 미래인 후손들이 잘 살아갈 수 있도록 내 눈물 어린 줄임과 고침과 막음이 필요할 것 같다.
  자꾸만 오래전에 보았던 북금 곰의 눈물이, 바다 코끼리의 슬픔이, 툰드라에서 이동하는 순록들의 모습이 눈에 어려 나도 모르게 눈물을 머금게 한다. 지구의 위기는 곧 나의 소멸이 아니겠는가.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여섯 손가락 2021.04.27 (화)
백 철 현 / 사) 한국문인협회 밴쿠버지부 회원뒷마당 한 귀퉁이, 낡은 플라스틱 화분 하나 나는 겨우내 내팽개쳐진 고아였다   긴 겨울밤 혼자인 게 외로웠고 버려진 게 무서웠다   그러나 나는 모성으로 견뎌왔다   나는 자궁이다 내 피와 살을 삭혀 만든 흙빛 양수로 가득 찬 잉태의 곳간이다   절벽 끝 어미 새처럼 나는 죽을 힘을 다해 얼음덩이 같은 알갱이를 맨살로 품었다   3월, 오랜 산통 끝에 연둣빛 옥동자가...
백철현
두 친구 2021.04.27 (화)
김춘희 / ( 사 ) 한국문협  밴쿠버지부 회원  그의 생애의 기쁨은 어떤 것들이었을까 ?  가정을 이루었을 때, 첫 딸 아기를 안았을 때, 캐나다로 이민 온 후 아들이 태어났을 때... 그의 마음을 살펴본다.  낯선 남의 땅에 살면서도 소소한 기쁨이 많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친구와의 만남의 인연을 첫 째 로   꼽아  본다 .     1979 년 이민 5 년 차 되던 그해 연말 부부 동반 동창회가 어느 동창 집에서 열렸다....
김춘희
할아버지의 봄 2021.04.27 (화)
박성희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어느 해 봄이었다. 할아버지는 햇볕만 찾아다녔다. 안마당, 바깥마당을 오가며 먼 하늘과 산을 바라보고, 새로 소생한 나무와 풀, 꽃 따위를 유심히 들여다보곤 긴 한숨을 토했다. 그 눈빛은 너무 아득해 아무도 말을 붙일 수 없었다. 여름에도, 가을에도 그랬다. 말 수도 줄고, 왕성한 식욕도 떨어지고, 웃음도 잃어갔다. 말을 건네고 맛난 음식을 해다 바쳐도 영 반응이 없다. 그저, “물 한 대접과 요강이나 갖다 놔라.”...
박성희
걸어야 얻는 것들 2021.04.27 (화)
조규남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걷는 것은흙과 바람과 도란 거리는발길과 눈길의 속삭임입니다생의 변두리를 겉도는듯지루한 일상을 흔들어 깨워낯 설은 듯 눈 크게 뜨게 하는소생의 심호흡이지요 걸어 가노라면치매처럼 증발된지난 것들의 흔적들이 일깨워지고걷는 길은 어느새조금 앞선 내일과어깨 부딪으며 콧노래 부릅니다 걸으면 매 걸음은반복의 일상을 비질하듯 쓸어내고물을 뿌린 후의 정갈한 내음 같은한겨울 산사의 청아한...
조규남
김해영 / (사)한국문협 밴쿠버지부 회원사월은설레임으로 온다 서툰 걸음으로 다가와울타리 너머 소담히 피어난연지꽃에 눈맞춤하고 사월은헤매이며 온다 낯선 걸음으로 서성이다들녘에 흩날리는 민들레 홀씨따라 꿈 나래짓하고 청춘이 그러하다서툰 헤매임과 낯선 설레임으로환상의 늪을 서성이고  인생이 또한 그러하다희미한 별빛, 사위는 달빛에 기대어사막의 샘을 찾아 헤매인다
김해영
권 순 욱 / (사)한국문협 밴쿠버지부 회원   어린 두 아이의 손을 잡고 밴쿠버에 처음으로 도착했을 때가 1982년 5월 17일이었다.  아들은 초등학교 6학년이었고 딸 아이는 4학년으로 한국에서는 새 학기 초였다. 밴쿠버 국제공항에 도착했을 때만 해도 어리둥절해 한 시도 엄마 아빠의 손을 놓고 곁을 떠나지 못하던 아이들이 40여 년간 이 땅에서 장성하여 슬하에 자녀를 둔 50대의 어엿한 부모가 되었다. 그러는 중 우리 부부도 나이가...
권순욱
최민자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사랑은 교통사고와 같다.'라고 누군가 말하였다. 예고도 없이, 마음의 준비도 없이 방심하고 있는 순간, 별안간 맞닥뜨리게 된다는 뜻이다. 우연을 가장한 필연처럼 느닷없이 찾아 드는 드라마틱한 사랑은 아닌 게 아니라 사고라 할 만하다.피할 수도, 거부할 수도 없어 혼란스러워하는 사이, 알 수 없는 운명의 휘둘림 속에 속수무책으로 이끌려 들게 된다. 느닷없이, 아무런 준비도 없이, 봄도 그렇게 사랑처럼 온다....
최민자
헤어지는 이유 2021.04.19 (월)
강영아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제9회 한카문학상 운문(시)부문 버금상)설렘이 익숙함으로 여겨지는 순간편안함이 무례함으로 여겨지는 순간고마움이 당연함으로 느껴지는 그 순간 그런 순간들을 인지하지 못하고그냥 지나치게 될 때모든 반짝이는 것들에 녹이 슬기 시작하지 처음엔 반짝거림에 가려잘 보이지 않았던 그 녹이조금씩 조금씩 빛을 집어삼키고 결국 이별의 순간은 다가오지그 순간순간을 무시한 대가로 너와 나의 삶도...
강영아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