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살아선 탈출 못 한다는 ‘감옥 섬’, 앨커트래즈를 탈옥하다

조성호 기자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4-02-09 15:21

[세기의 미제사건]
비옷 이어 붙여 고무 보트 만들고
진공청소기 모터 쓴 드릴로 감방 벽 뚫어
시신 발견 안되고 목격담 계속 나와

1932년 1월 찍은 앨커트래즈 교도소의 조감도. 이 교도소는 1934년부터 1963년까지 미국의 최고 보안 연방 교도소로 사용됐다./미 연방수사국(FBI)1932년 1월 찍은 앨커트래즈 교도소의 조감도. 이 교도소는 1934년부터 1963년까지 미국의 최고 보안 연방 교도소로 사용됐다./미 연방수사국(FBI)

앨커트래즈 교도소 내부 모습./미 연방수사국(FBI)앨커트래즈 교도소 내부 모습./미 연방수사국(FBI)


미국 샌프란시스코 앞바다에는 ‘절대 탈출할 수 없는 교도소’라는 별칭을 가진 교도소가 존재했다. 샌프란시스코 내륙과는 2㎞ 밖에 떨어져 있지 않지만 차갑고 거친 바다로 둘러싸인 외딴섬에 만들어진 이 교도소는 튼튼한 철창과 24시간 지켜보고 있는 감시탑, 하루 12번씩 수감자를 확인하는 빡빡한 검문으로 정평이 나 있었다. 일명 ‘더록(이후 동명 영화의 모티브가 됐다)’이라 불린 앨커트래즈 교도소였다.

앨커트래즈는 난다 긴다하는 탈옥범들까지 모두 모아서 수감할만큼 강력한 보안을 자랑하는 교도소였다. 미국의 전설적인 마피아 알 카포네, ‘머신건’ 조지 켈리 같은 위험한 인물들도 이곳에 수감됐다. 수많은 탈옥 경험자들이 이곳에서 또 다시 탈옥을 시도했지만 이들은 대부분 이 과정에서 죽거나 붙잡혔다. 1934~1963년 이 감옥이 운영되는 와중 36명 14차례에 걸친 탈옥 시도가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 물론, 단 한번의 예외는 있었다.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은 세계 탈옥사 최대의 미스터리 ‘앨커트래즈 탈출’ 이야기다.

◇탈옥 경험자들의 만남

프랭크 모리스/미 연방수사국(FBI)
프랭크 모리스/미 연방수사국(FBI)

존 앵글린/미 연방수사국(FBI)
존 앵글린/미 연방수사국(FBI)

클라랜스 앵글린/미 연방수사국(FBI)
클라랜스 앵글린/미 연방수사국(FBI)

이야기는 세 명의 탈옥 경험자들의 만남에서 시작된다. 훗날 탈옥 계획의 ‘머리’ 역할을 맡은 것으로 알려진 프랭크 모리스(탈옥 당시 36세)가 1960년 1월 가장 먼저 앨커트래즈에 수감됐다. 은행 강도와 절도 등 범죄로 앨커트래즈까지 오게 된 모리스는 교도소 기록에 ‘탈옥예술가’라는 기록이 남아있을만큼 탈옥에 진심인 남자였다. 앨커트래즈에 잡혀오기 직전에도 루이지애나 주립 교도소에서 탈옥한 후 은행을 털다가 체포된 것이었다. 그는 지능지수(IQ)가 138로 탈옥 관련 계획을 꼼꼼하게 세우는 것으로 유명했다.

1960년 말 존 앵글린(32)이라는 이름의 죄수가 앨커트래즈로 왔다. 이듬해 초에는 그의 동생인 클라렌스 앵글린(31)까지 같은 곳에 수감됐다. 은행강도였던 형제는 탈옥 경험으로 인해 앨커트래즈라는 최종 단계까지 도달하게 됐다. 이들 세명은 이미 다른 교도소에서 같이 수감된 이력이 있었다. 다시 만난 세 사람의 탈옥 경험자. 18개월간의 치밀한 탈옥 계획은 이때부터 세워졌다.

◇사라진 죄수… 남은 것은 머리 모형

탈옥범들이 만든 머리 모형. 석고, 살색 페인트, 이발소에서 모은 머리카락을 이용해 만들었다./미 연방수사국(FBI)
탈옥범들이 만든 머리 모형. 석고, 살색 페인트, 이발소에서 모은 머리카락을 이용해 만들었다./미 연방수사국(FBI)

클라렌스 앵글린의 감방 사진. 간수의 눈을 속이기 위해 직접 만든 머리 모형을 베개위에 올려뒀다./미 연방수사국(FBI)
클라렌스 앵글린의 감방 사진. 간수의 눈을 속이기 위해 직접 만든 머리 모형을 베개위에 올려뒀다./미 연방수사국(FBI)

1962년 6월 12일 이른 아침. 앨커트래즈의 일상적인 침상 점검은 전혀 다른 결과를 낳았다. 세 명의 죄수가 사라진 상태였다. 그들의 침대에는 석고와 살색 페인트, 이발소에서 긁어 모은 머리카락으로 만든 머리 모형만이 남아 있었다. 교도소는 즉시 폐쇄됐고, 수색이 시작됐지만 이들의 흔적은 없었다.

연방수사국(FBI)이 이들의 흔적을 찾기 시작했다. 탈옥범들의 이전 기록과 이전에 시도했던 탈옥 사례들을 모두 뒤졌다. 탈옥범들의 친척을 탐문 수사하고 신원 기록을 수집했다. 혹여 이들의 시신 등이 샌프란시스코 바닷가까지 떠밀려온 것이 없는지도 찾기 시작했다.

이틀 후 탈옥범들 소유로 보이는 편지가 고무로 봉인된 채 발견됐고, 물속에서 나무 노와 고무 튜브 조각이 발견됐다. 직접 만든듯한 구명조끼도 찾아냈다. 하지만 그것 외에는 아무것도 발견되지 않았다.

◇비옷 50개 이어붙인 구명조끼, 진공청소기로 만든 드릴

비옷으로 만든 구명조끼./미 연방수사국(FBI)
비옷으로 만든 구명조끼./미 연방수사국(FBI)

감옥에서 회수된 수제 노. 엔젤 섬에서도 비슷한 노가 발견됐다./미 연방수사국(FBI)
감옥에서 회수된 수제 노. 엔젤 섬에서도 비슷한 노가 발견됐다./미 연방수사국(FBI)

탈옥범들이 감방 벽의 환풍구를 뚫은 흔적./미 연방수사국(FBI)
탈옥범들이 감방 벽의 환풍구를 뚫은 흔적./미 연방수사국(FBI)

이들의 행방을 알수 없어진 상황에서 탈옥 계획을 상세히 전달해줄 사람이 나타났다. 동료 수감자 앨런 웨스트였다. 당초 셋과 함께 탈옥 계획을 짰지만 제때 감방에서 나오지 못한 수감자였다. 그가 탈옥자들의 계획을 낱낱이 공개했다.

이들의 계획이 본격화된 것은 탈옥으로부터 6개월 전인 1961년 12월이었다. 탈옥범 중 한명이 우연히 낡은 톱날을 발견한 것이다. 이들은 고장난 진공청소기 모터로 만든 수제 드릴을 활용해 감방 뒤쪽의 통풍구를 뚫기 시작했다. 머리 부분이 제거된 숟가락도 도구로 쓰였다. 사람이 빠져나갈 수 있을 정도로 구멍이 뚫리기 전까지 이곳은 여행가방이나 잡지로 숨겼다.

마침내 방에서 탈출한 이들은 교도관이 다니지 않는 복도 끝에 있는 교도소 옥상에 비밀 작업장을 만들었다. 한명은 잠망경을 통해 망을 보고 교대로 작업장에 들어가 탈출에 필요한 재료들을 이곳에서 제작했다. 당시 교도소에선 2차 대전 당시 쓰였던 비옷이 죄수들에게 제공됐고, 이 비옷은 이들에게 최고의 재료였다. 이들은 비옷 50여 벌을 훔쳐 구명조끼와 고무 뗏목을 만들었다. 비옷과 비옷 사이는 교도소 환풍구에서 나오는 뜨거운 증기를 활용해 녹여서 이었다.

재료를 만드는 동안 밖으로 나갈 통로도 찾았다. 옥상 작업장 위의 환풍구가 유일한 길이었다. 환풍구를 뜯어냈고, 탈출의 그날까지 환풍구를 고정하기 위해 비누를 깎아서 볼트처럼 사용했다. 누구도 상상하지 못한 기상천외한 방법이었다. 환풍구에서부터 파이프를 타고 내려가 철조망을 넘어가는 것은 이들에게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탈옥범들이 탈출한 앨커트래즈 교도소 지붕의 환풍기 덮개./미 연방수사국(FBI)
탈옥범들이 탈출한 앨커트래즈 교도소 지붕의 환풍기 덮개./미 연방수사국(FBI)

탈옥범들이 탈옥에 필요한 도구를 제작할 때 사용한 옥상 작업실./미 연방수사국(FBI)
탈옥범들이 탈옥에 필요한 도구를 제작할 때 사용한 옥상 작업실./미 연방수사국(FBI)

◇살았을까 죽었을까

하루 아침에 사라진 이들을 찾기 위해 FBI는 대대적인 수사를 벌였지만 결국 이들을 찾지 못했다. 현재까지는 이들이 거친 파도와 낮은 수온으로 인해 사망했을 것이라는 추측을 하고 있지만 아직 이들이 사망했다는 증거가 아무것도 나오지 않았다. FBI는 사건을 1979년 미 연방보안국(USMS)에 넘겼고, USMS는 이들이 아직 생존해 있을 가능성에 대비해 수사를 계속하고 있다.

무엇보다 이들이 살아있을 수 있다는 주장이 계속해서 나오는 것은 관련 친족이나 지인의 증언이 거듭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2003년부터 이 사건을 맡아 온 미 연방보안관 마이클 다이크는 LA타임스에 “두 달에 한번씩은 이 사건 관련 제보를 받는다”고 말했다.

실제 60여 년의 시간이 흐르는 동안 그럴싸한 제보가 많았다. 무엇보다 앵글린 형제의 또 다른 형제나 누이로부터 나온 증언들이 미스터리를 더욱 키웠다. 이들이 탈옥한지 1년 6개월이 흐른 1963년 12월 앵글린 형제의 막내인 알프레드 앵글린이 형들로부터 가죽 파우치를 받았다고 증언했고, 그의 누이들은 어릴적 고향집에 아무런 카드도 붙여지지 않은 꽃이 매년 배달왔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1975년 브라질 농가에서 앵글린 형제가 찍힌 사진이라며 한 사진이 공개된 이후 형제가 브라질에서 살고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1978년 앵글린 형제 어머니의 장례식엔 여장한 두 남성이 왔다갔다는 증언도 나왔다.

다이크는 LA타임스에 “탈옥 당시 노와 뗏목이 앨커트래즈에서 1km 정도 밖에 떨어지지 않은 엔젤 섬에서 발견됐고, 당시 발자국 소리가 들렸다는 증언도 있다”며 “그날 밤 차량 절도 신고도 세 건이 들어왔다”고 말했다. 미리 조류를 파악해서 2km 떨어진 샌프란시스코 내륙이 아닌 엔젤섬으로 향하기로 정했다는 모리스의 계획이 실제 실행됐을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들이 실제 탈옥에 성공했는지, 그렇지 않다면 상어로 유명한 샌프란시스코에서 상어밥이 됐을지는 이들 세 사람밖에 모를 것이다. 다만 USMS가 이들에 대한 수사를 이어갈 수 있는 시간도 모리스가 99세가 되는 내년이면 끝난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모기지율 상승에··· 15% “상환 매우 어려워”
고금리 시대가 장기화되면서 모기지 상환에 대해 부담을 호소하는 캐나다인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기관 앵거스 리드(Angus Reid)가 23일 발표한 보고서에...
SS24 컬렉션으로 첫 데뷔 무대
지난 20일 밴쿠버 패션위크는 세계적인 디자이너들의 컬렉션을 선보이며 4일차 런웨이 쇼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한국인 디자이너 브랜드 자개(Zagae)를 포함하여 총 9명의 디자이너가...
BC주 남동부 지역에 올 하반기 첫눈이 내릴 것으로 예보됐다.   23일 오전 기상청은 웨스트·이스트 컬럼비아와 요호파크, 쿠트니 파크를 비롯한 BC 남동부 지역에 기상특보를...
암은 치명적이다. 누구에게도 절대 오지 않으면 좋겠지만, 남녀노소를 불구하고 암 환자는 늘어나고 있다. 특히 지난 30년간 전 세계 50세 미만에서 연간 신규 암 환자가 79% 증가한 것으로...
사람의 목소리로 당뇨병을 진단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모델이 개발됐다. 6초에서 10초 정도의 문장을 읽으면 각 목소리의 음향적 특징을 분석해 당뇨병 여부를 알아낼 수 있다는 것이다....
1만 스퀘어피트 이상 매장에서만 판매 가능
조만간 밴쿠버시(City of Vancouver)에 위치한 일부 대형 식료품점에서도 와인을 판매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밴쿠버 시의회는 밴쿠버시의 일부 식료품점에서 와인을 판매할 수 있게...
부족한 의료 인력으로 의료 사고도 늘어
팬데믹 기간 동안 의료진 부족을 비롯한 캐나다 의료체계의 문제로, 병원 내 의료 관련 사고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보건 정보 연구소(CIHI)가 19일 발표한 보고서에...
8월 소매 판매 5개월 만에 감소··· 자동차 판매 부진
연말까지 경기 침체 예상··· 금리 동결 가능성 높아져
캐나다의 고금리·고물가 장기화에 소비 심리가 위축되면서, 경기 침체가 예상되고 금리도 동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20일 연방 통계청은 지난 8월 캐나다의 소매 판매가 전월...
"국제 배송은 최소 2주 전, 국내 배송은 7일 전"
올해 연말 연시를 앞두고 가족이나 지인들에게 택배로 선물을 보낼 계획인 이들은 평소보다 배송 준비를 서둘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캐나다 운송업체 캐나다 포스트(Canada Post)는 올해...
오랜 기간 한국인을 집요하게 괴롭혀 온 병이 있다. 바로 위암이다. 우리나라 위암 발생률은 세계 1위로 미국의 10배 수준에 가깝다. 그렇다면 한국인이 유독 위암에 취약한 이유는...
기업 간 경쟁 줄며 소비자 가격 높아져
경쟁법 개정해 고물가 원인 바로 잡아야
지난 20년 간 캐나다 산업 경제의 여러 부문에서 대기업 독과점 양상이 극심해 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공정 경쟁 감시 기관인 캐나다 경쟁국(Competition Bureau)이 19일 발표한 관련...
불과 3년 전에 1400억 달러 들여 에스컬레이터 교체
지난 9월 그랜빌 스카이트레인역에서 에스컬레이터 사고로 최소 3명이 부상을 당한 것으로 뒤늦게 밝혀졌다.   트랜스링크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그랜빌역의 에스컬레이터가 갑자기...
다음 총선 전 사퇴해야 57%··· 자유당 지지자도 등 돌려
보수당 지지율 굳건··· 총리 선호도 폴리에브 30% 트뤼도 16%
저스틴 트뤼도 총리가 취임한 지 만 8년이 다 되어 가고 있는 가운데, 그에 대한 사퇴 여론이 점차 거세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론조사 기관 앵거스 리드(Angus Reid)가 18일...
그랜빌점 폐점 루머 사실 아니지만, 향후 고려할 수도
팬데믹 후 좀도둑 범죄 300%↑··· 상습범 처벌 법안 절실
BC를 대표하는 약국 체인 런던드럭스(London Drugs)가 밴쿠버 매장 내에서 늘어나는 범죄 피해로 인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18일 런던드럭스의 클린트 말먼(Mahlman) 회장은 최근 떠도는...
핏 메도우서 자전거 타고 가다··· 경찰 조사 중
핏 메도우에서 10대 소년이 등교 중 쓰레기 수거 차량에 치여 사망하는 비극적인 일이 발생했다. 릿지 메도우 RCMP에 따르면 수요일 오전 8시 30분경 116A 애비뉴와 196B 스트리트의 교차로...
캐나다인 51% “미래에도 양국 평화 불가능”
이번 사태 관심 커··· “정부의 이스라엘 지원 충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무력 충돌이 날로 격화되는 가운데, 다수의 캐나다인은 양국 간의 평화는 미래에도 불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여론조사 기관 레제(Leger)가 지난 13일부터...
▲Getty Images Bank영국에는 대한민국에 없는 특별한 정부 부처가 있다. 2018년 세계 최초로 설립된 ‘외로움부(Ministry of Loneliness)’다. 장차관까지 있는 이 부서에는 보편적 감정으로 여겨지던...
최대 3시간·비밀 보장, 전화나 이메일로 손쉽게
이번주부터 BC주 성범죄 피해자들이 무료 법률 자문을 받을 수 있는 상담 창구가 새롭게 마련된다. 비영리 커뮤니티 법률 지원 협회(Community Legal Assistance Society; CLAS)는 17일부터 BC주에서...
9월 CPI 3.8% 상승 기록··· 두 달 만에 안정
“다음주 중앙은행 금리 발표서 동결 기대”
두 달 연속 오름세를 보이던 캐나다 물가상승률이 다시 둔화 기조로 돌아섰다. 연방 통계청이 17일 발표한 월간 물가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9월 캐나다의 소비자물가는 작년 동월...
세계 명문 대학 교육 허브로 발돋움
‘세계 수준의 글로벌 교육 허브’ 인천글로벌캠퍼스   지난 2012년 대한민국 정부와 인천광역시가 뜻을 모아 조성한 인천글로벌캠퍼스(Incheon Global Campus, 이하 IGC)의 2023년 올해 학생...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