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삶을 위한 사유

권은경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4-02-26 09:24

권은경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시간이 흐를수록 삶이란 고통의 터널을 통과하는 과정이며 인간은 그 속에서 쉽게 넘어지고, 상처 받는 나약한 존재라는 것을 인정하게 된다. 누구나 늙고, 병들며 결국 죽음에 직면한다. 종종 불안과 절망으로 가득한 실존 적 두려움을 피해보려 하지만, 매스컴을 통해 매일 아침 인류의 고통을 새롭게 마주할 뿐이다. 언제 덮칠지 모르는 고통과 재난을 등지고 서서 어떻게 하면 이 존재의 한계와 가혹한 현실 속에서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을지 생각한다.

창밖을 내다보니 밤새 내린 눈이 집과 나무, 도로와 자동차를 덮어 새하얀 풍경을 펼쳐 보이고 있었다. 평범하고 낡은 것들이 대체되어 마치 천상의 아름다움을 연상시켰다. 순간적으로 이렇게 황홀한 광경을 볼 수 있고, 살아있는 세계의 일부가 되어 존재한다는 것이 행운이라고 느껴졌다. 그러나 머지않아 눈을 치우느라 분주하게 움직이는 이웃들의 모습을 보게 되었다. 커다란 삽을 들고 눈을 치우는 사람들은 하얀 입김을 내뱉으며 거친 숨을 몰아쉬었다. 세상을 아름답게 하려던 누군가의 노력이 역사 속에서 희미해졌 듯이, 조금 더 보기를 바라던 그림 같은 풍경도 서서히 지워졌다. 장면은 빠르게 바뀌고 잠에서 깨듯 현실로 돌아왔다. 눈 덥힌 풍경을 보며 감상에 젖었던 순간을 잊고, 눈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교통 혼잡과 차량 사고, 치워야 한다는 번거로움, 녹으면서 더러워질 진창 길과 녹은 눈이 얼어 미끄러울 빙판길을 떠올리며 짜증 섞인 불평을 늘어놓았다. 나는 부끄러웠다.

삶이 고통이고, 인간이 존재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안간힘을 쓴다고 해도 앞으로 닥칠 불행에 완벽히 대비하거나, 필멸의 운명을 피할 수는 없다. 부조리하고, 불평등한 세상을 비난하고 분개하는 것으로 세상의 진로를 바꿀 수도 없다. 그렇다면 어떻게 살아야 할까? 온통 눈에 덮인 세상 속 신비에 빠져 더 오래 머물러야 했다. 생명의 원천이 되는 한 끼 식사에도 감격하고, 천천히 음식을 씹으며 맛을 깊이 음미해야 했다. 집안 곳곳에 쌓인 먼지를 털어내고, 내가 속한 공간을 따뜻하게 만들어야 했다. 불안에 떨며 숨어있기보다는 고독한 순간에 기도하며 침잠해야 했다. 음악을 듣고, 책을 읽고, 자연을 벗 삼아 기울어진 정신을 일으켜야 했다. 할 수 있는 작은 일에 집중하며 주어진 상황 속에서 의미를 찾고 어제보다 나은 내가 되기 위해 노력해야 했다.

인생이 항상 계획대로 되지 않고, 결국 죽음에 이르러 비극으로 끝난다고 해도 지금을 허투루 보내고 누리지 못한다면 그야말로 지옥문을 스스로 여는 꼴이다. 고귀한 꿈을 꾸고 더 나은 세상을 바라며, 충실하게 사는 것이 내가 할 일이다. 세상에는 우리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위험과 공포가 도사리고 있지만 그 이상으로 행복과 기쁨도 함께 존재한다. 어쩜 행복이라는 것은 높은 세상 적 지위나 성취가 아닌 평범한 일상 속에 스며들어 있기에 잘 인식되지 않는 것일지도 모른다. 결국 인간적인 나약함으로 인해 생의 반갑지 않은 손님을 맞이하게 되더라도 선한 마음을 가지고 오늘을 의미 있게 산다면 그것으로 족하지 않을까? 다정한 마음으로 눈 덮인 세상을 더 오래 감상하지 못한 아쉬움이 쌓여가는 아침이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암각화 2022.12.19 (월)
영혼의 뼈 마디 하나 떼 내어만든 피리로불어보는 그리움눈물 있는 대로 빼내빈 적막오장육부썩을 대로 썩고뼈만 남아혼자 내는 인광燐光누군가등불 들고만 년 어둠 밟고 오는가
정목일
하필이면 월드컵 첫 경기 우루과이 전날 어찌 몸이 으슬으슬하니 안 좋았다. 새벽 4시반에 일어나 중계를 본다고 옷을 얇게 입고는 아래층, 위층을 왔다 갔다 한 것이 화근이 되었는지… 골문이 열릴 듯 열릴 듯 결국 게임은 0:0 무승부로 끝이 나고 축구해설가는 절반의 성공이라고 총평을 하였지만, 개인적으로는 총체적 난국의 시발점이었다.사실 이민을 와서 맞게 되는 월드컵은 참 각별하게 다가온다. 아쉽게도 2001년에 캐나다 랜딩을 하게 되어,...
霓舟 민완기
십일월이 가고 어느덧 십이월이 오고또 한해가 기우는 적막 강산 새벽 녘 문득 백설 만건곤(滿乾坤) 한 세상별유천지(別有天地) 비인간(非人間)을만드신위대하신 시성(詩聖) 하나님의 손길 ! 저 눈꽃송이들 난분분(亂粉粉) 난분분서로가 서로의 등에 업고 업혀서지난 날의 모든 염려와 걱정 근심들사랑과 미움의 응어리진 마음의 상처들 마저 토닥 토닥 서로의 등 정답게 두드리며죄다 덮고 지우시라는 듯  ....... 그리하여 밝아 오는...
남윤성
엄마 손은 약손 2022.12.14 (수)
 최근 한동안 감기가 유행했다. 이 감기라는 놈이 얼마나 독했는지, 코로나보다 더 오래 여러 아이가 멈추지 않는 기침과 고열에 괴로운 시간을 보냈다. 그 중에 우리 아이도 포함되어 있었는데, 일주일 내내 기침하느라 학교에 가지 못하고 집에 갇혀 지루한 시간을 보내야만 했다. 그래도 더디게 조금씩 회복되더니 어느새 큰 아이는 깨끗이 나아 다시 학교에 나가고 친구들을 만나는 일상으로 돌아갔다. 반면 좀 더 어린 둘째 아이는 쉽사리 낫지...
윤의정
눈 내리는 풍경 2022.12.14 (수)
참나무는 참나무에게대추나무는 대추나무에게소나무는 소나무, 까치는 까치에게소리 없이나누는빛나는 속삭임보아라시방법계(十方法系) 가득 찬순결한 이 사랑의 밀어(密語)를
임완숙
사는 집을 떠나 가장 편안한 장소를 꼽는다면 단연코 목욕탕이 아닐까. 타국에서 오래 머물다 고국에 들어가면 어색한 부분들이 많은데, 그런 이질감을 금시 씻어 주는 곳이 목욕탕이 으뜸이다. 가장 한국적인 정서를 피부로 느끼고 한국문화에 금방 동화되어버리기 때문이다. 한가한 시간, 적당히 뜨거워진 탕에 목만 내 놓은 채, 한 사람씩 들어오는 모습을 관찰해 보는 것이 여간 흥미롭지 않을 수 없다. 사람 얼굴만큼이나 신체 부분도 제 각각이고...
자명
후회 2022.12.05 (월)
나 아주 어렸을 적에 한 번수수밭 가에서 놀다가수숫대 위에 쉬는 잠자리 한 마리 잡아서발버둥질 치는 가녀린 꽁지에강아지풀* 한 줄기 꽂아주고는휙ㅡ 먼 하늘로 날려 보낸 적 있었네.오랜 세월 흘러가고이따금 찾아와 내 가슴을 콕콕 찌르는시간 저 너머의 기억 하나ㅡ그날그 필사의 발버둥질 아, 나 정말로옛날의 그 수수밭 가에 돌아갈 수만 있다면!  *강아지풀: foxtail: 볏과의 한해살이 풀   Remorseful         ...
안봉자
감 잡았다 2022.12.05 (월)
  오랜만에 알버타에 사는 언니와 얼굴을 보고 통화를 했다. 언니와 나는 20년 전, 밴쿠버에 와서 처음으로 만나 서로의 마음을 위로하고 웃고, 울면서 외로운 타지 땅에서 아름다운 기억을 쌓았었다. 언니는 참 재밌는 사람이다. 웃는 모습이 너무도 아름다운 언니의 얼굴은 세월이 흘러도 그대로다. 본인은 늙었다고 환한 대낮에도 내가 선물해준 핑크색 극세사 잠옷을 입고 입을 하마처럼 벌리고 감을 먹으며 눈을 동그랗게 뜨고 야! 라고...
허지수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