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설 추억

바들뫼 문철봉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4-02-26 09:25

바들뫼 문철봉 / (사)한국문협 밴쿠버지부 회원
먼동도 트기 전 미처 눈곱도 닦아내지 못한 아이가 어머니의 치맛자락을 붙들고 따라나선 읍내 방앗간엔 이미 사람들로 북적거린다. 떡시루에선 모락모락 피어오르는 김과 함께 구수한 냄새가 풍겨온다. 어머니는 머리에 이고 온 함지를 진작부터 길게 늘어선 줄 끝에 내려놓으신다. 그리고 아이에게 징긋 눈짓 한번 주시곤 잰 걸음으로 난전으로 나가신다. 아이는 당연한 듯 제집에서 가져온 함지 곁에 꼭 붙어 선다. 한동안 차례를 놓치지 않고 함지를 들이밀고 또 밀곤 한다. 기다림 끝에 만들어져 나온 따뜻하고 말랑한 가래떡을 아이는 한 입 베어먹는다. 그 맛과 기분은 말로 다 표현을 못 한다. 어머니를 따라 나온 덕에 식구들 중 그 누구보다 가장 먼저 맛보는 기쁨이다. 긴 줄서기를 몇 번씩 되풀이해도 좋을 아이의 설 대목 설레는 일감이고 즐거움이다. 

이발소에서도 한참이나 차례를 기다려 머리를 깎는다. 그리곤 곧바로 목욕탕에 가서 목욕한다. 설빔인 새 옷을 입기 위해 반드시 해야만 하는 아이의 설 맞이 절차다. 이런 설맞이의 끝은 섣달 그믐날이다. 이날은 까치 설이다. 멀리 고향을 떠나 타관생활을 하던 아제들이 오고 집 떠나 공부하던 형 누나들이 돌아오는 날, 까치가 둥구나무 가지 사이를 분주히 옮겨 앉으며 시끄럽게 울기 때문이다.

이날 밤 아이는 잠들고 싶지 않다. 섣달 그믐 밤에만 나타나 신발을 훔쳐 간다는 밤불귀신(夜光鬼)이 무섭기도 하고 자정을 지키지 못하면 눈썹이 하얗게 샌다는 말에 겁이 나서다. 다른 마음 한편으로 어머니와 누나가 떡을 썰며 도란도란 나누는 얘기가 더 듣고 싶고 누나가 설 선물로 사다 준 털장갑을 끼고 자랑하고픈 설렘에 더욱더 잠들기가 싫은 것이다. 자정을 넘겨보겠다고 안간힘을 쓰지만 어쩔 수 없이 아이는 잠이 들고 어른들의 일은 자정을 넘긴다.

이튿날 선잠에서 깨어난 아이가 그대로인 눈썹에 안도하며 부리나케 세수하고 새 옷으로 갈아입고 나서면 어제의 분주함과 설렘과는 다르게 모든 것을 근엄하고 정갈하게 맞던 어른들의 정월 초하룻날 아침과 마주한다. 언제 저 많은 음식을 준비하고 큰방과 대청마루를 다 치웠나 싶은 놀라움이 저절로 엄숙함으로 바뀌던 아침. 대청마루에 돗자리를 깔고 활짝 열린 방문 안 방석 위에 정좌하신 어른들을 향해 큰절을 드리면 공부 잘하라며 주시던 세뱃돈. 받아 든 빳빳한 세뱃돈만큼이나 모든 것이 새롭던 그때 그 기분, 그날 아침이 설날이었다. 이렇게 시작한 설 세배는 정월 대보름까지 이어졌고 외가까지 몇 십 리가 넘는 길을 걸어서 다녔지만 그리 힘들어하거나 피곤한 기색 없이 먼 길을 오갔다. 지금도 아버지와 아제들의 흰 도포 자락 행렬이 구불구불 논두렁을 지나던 모습이 눈에 선하다.


그러던 어느 해부터인가 음력 설날은 구정(舊正)이라 명절로 쇠지 말아야 한다는 말들이 나돌기 시작했다. 양력을 쓰고 있으니 신정(新正)을 설이라 해야 한다 했다. 이중과세(二重過歲)는 옳지 않은 것이라 가르치는 바람에 설날 명절이 시큰둥해졌다. 그렇다고 신정(新正)을 쇠는 집은 별로 없었다. 어머니는 그러셨다. “왜정도 아닌데 와 그러라고 하는지 모르겠다. 설은 우리 설을 쇠야지 어쩌자고 왜놈 설을 쇨까?” 하시면서 그전 같지는 않지만 그래도 설빔과 명절 음식들을 장만하셨다. 몇몇은 신정(新正)에 세배를 왔지만 우리는 음력설을 찾아 세배를 드렸다. 이전처럼 문중 일가와 외가까지 일일이 찾아 세배를 드리지는 못하고 제 집안과 꼭 해야 할 곳만 가려서 드렸다.


지금 찾아보니 그때 그 당시의 역사를 이렇게 쓰고 있다.

「1910년 국권침탈 이후 조선문화 말살 정책을 편 일제(日帝)는 조선의 음력설을 없애기 위해 조선인들이 음력설에 세배하러 다니거나 설빔을 차려입은 경우에는 먹물을 뿌려 옷을 얼룩지게 하고 떡 방앗간을 돌리지 못하게 경찰을 동원해 감시하는 등 온갖 탄압과 박해를 가해 우리 설인 음력설 쇠는 풍습을 없애려고 했다.」 그러고는 「광복 이후 대한민국에서도 40여 년간 음력설을 인정하지 않고 양력 1월 1일부터 1월 3일까지를 공휴일로 지정하여 양력설에 차례를 지낼 것을 권장하였다. 특히, 이승만 정부와 박정희 정부는 이중과세(二重過歲)라는 이유로 사기업체의 휴무에 불이익을 주면서까지 음력설을 없애려 했다. 그러나 대부분 가정에서는 여전히 음력설에 차례를 지내는 전통을 유지했기 때문에 음력설도 공휴일로 지정하여 이러한 전통을 존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면서 정부는 1985년부터 민속의 날이라는 이름으로 음력 1월 1일 하루를 공휴일로 지정했고, 6월 항쟁 이후 집권한 노태우 정부는 민족 고유의 설날을 부활시켜야 한다는 여론에 1989년 음력설을 '설날'로 정하는 한편 섣달 그믐(음력 12월 말일)부터 음력 1월 2일까지 3일간을 공휴일로 지정하였다.」


지금은 저 때 저 어렸을 적 추억 같은 기다림과 설렘, 한편으론 엄숙하고 정갈하게 지내던 설날을 쇨 수가 없다. 그리고 음력설을 우리 설이 아니라고 할 사람도 없다. 하지만 세태는 너무나 달라졌다. 우리가 모두 찾아다니며 나누던 설 인사는 손바닥 안 폰 문자와 카카오톡의 오만가지 이모티콘과 카드, 동영상으로 주고받는 세상이다. 설을 쇠는 인사가 정성이 사라진 게임이나 오락의 한 행위로 전락한 듯한 느낌이다. 

세태가 이러니 어린 시절의 저 설 쇠기가 더 그립기만 하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가을의 뒷모습 2022.12.27 (화)
가을 지나간 숲 길에못다 핀 들국화 하얗게 바래져쓸 쓸 하 다벗은 가지에 한 두 잎 남아깃발처럼 펄럭이던 낙엽수북이 쌓인 갈 잎 위로미끄러지듯 떨어져 내린다고운 빛에 다가가 보니검버섯 번진 몸이 온통찢기고 상처가 나 안 쓰 럽 다바람이 분다갈 잎들이 공중을 휘 돌아 흩어진다속절없이 지워지는 계절 앞에서무서리에 시들어 가는 꽃대를가던 길 멈추고 뒤 돌 아 본 다떨어진 갈 잎을 밟으며 밟지 않으며시나브로 걷고 있자니못다 남긴 그들의...
조순배
아셀의 축복 2022.12.19 (월)
  어려서부터 부모님의 말씀을 따라 성경 읽기를 시작하여 여든이 넘어선 지금도 늘 성경을 대한다. 성경을 읽으며 풀리지 않던 미스터리한 구절들과 오직 믿음으로만 이해코자 했던 말씀들이 많았던 것은 사실이다. 특히나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 부분은 더욱 그러하다.     학창 시절 사회과목 시간 교과서를 통해 동, 서남아시아의 기후, 풍습, 지역 등을 배우던 당시를 기억해 보면 이스라엘이 집단 농장 시설인 키부츠...
권순욱
With a Joy to Love Newly     Translated by Lotus Chung                              로터스 정  (번역) We always learnThere are so many things we need to find and doThere are so many thingsThat you are hiding more than we thinkWhen small forces like droplets come togetherWe can achieve a deep and loving seaI learn anew today  We always helpRun to help wherever you needWith the heart of a parent, the heart of a friend, the heart of a loverWith sincere responsibility and a kind...
로터스 정
   매주 토요일 새벽이면 줌으로 기도회를 마치고 등산 준비한다. 며칠 전 내린 첫눈이 보기에는 아름답지만 우리의 마음과 발걸음을 붙들어 놓는다. 시시각각 예보되는 날씨를 점검하면서 과연 이번 주말에 걸을 수 있을까 생각하는 중에 메시지가 날아왔다. 날씨는 쨍하지만 나를 포함해 함께 걷는 회원의 연륜이 높아져서 그냥 카페에서 만나 커피 타임만 갖자는 마음이 쌩하다.   이십 여 년 전에 여러 명의 교우와 건강 이야기를...
김진양
암각화 2022.12.19 (월)
영혼의 뼈 마디 하나 떼 내어만든 피리로불어보는 그리움눈물 있는 대로 빼내빈 적막오장육부썩을 대로 썩고뼈만 남아혼자 내는 인광燐光누군가등불 들고만 년 어둠 밟고 오는가
정목일
하필이면 월드컵 첫 경기 우루과이 전날 어찌 몸이 으슬으슬하니 안 좋았다. 새벽 4시반에 일어나 중계를 본다고 옷을 얇게 입고는 아래층, 위층을 왔다 갔다 한 것이 화근이 되었는지… 골문이 열릴 듯 열릴 듯 결국 게임은 0:0 무승부로 끝이 나고 축구해설가는 절반의 성공이라고 총평을 하였지만, 개인적으로는 총체적 난국의 시발점이었다.사실 이민을 와서 맞게 되는 월드컵은 참 각별하게 다가온다. 아쉽게도 2001년에 캐나다 랜딩을 하게 되어,...
霓舟 민완기
십일월이 가고 어느덧 십이월이 오고또 한해가 기우는 적막 강산 새벽 녘 문득 백설 만건곤(滿乾坤) 한 세상별유천지(別有天地) 비인간(非人間)을만드신위대하신 시성(詩聖) 하나님의 손길 ! 저 눈꽃송이들 난분분(亂粉粉) 난분분서로가 서로의 등에 업고 업혀서지난 날의 모든 염려와 걱정 근심들사랑과 미움의 응어리진 마음의 상처들 마저 토닥 토닥 서로의 등 정답게 두드리며죄다 덮고 지우시라는 듯  ....... 그리하여 밝아 오는...
남윤성
엄마 손은 약손 2022.12.14 (수)
 최근 한동안 감기가 유행했다. 이 감기라는 놈이 얼마나 독했는지, 코로나보다 더 오래 여러 아이가 멈추지 않는 기침과 고열에 괴로운 시간을 보냈다. 그 중에 우리 아이도 포함되어 있었는데, 일주일 내내 기침하느라 학교에 가지 못하고 집에 갇혀 지루한 시간을 보내야만 했다. 그래도 더디게 조금씩 회복되더니 어느새 큰 아이는 깨끗이 나아 다시 학교에 나가고 친구들을 만나는 일상으로 돌아갔다. 반면 좀 더 어린 둘째 아이는 쉽사리 낫지...
윤의정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