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캐나다, 임시 거주자에도 빗장 건다

최희수 기자 ch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4-03-21 13:59

3년간 임시 외국인 거주자 5% 규모로 제한
5월 초 주·준주와 유입 수준 논의 계획키로
LMIA 유효기간 12개월→6개월로 단축 예정



연방정부가 올해 신규 유학생의 유치 규모를 재조정한 데 이어 캐나다에 입국하는 임시 외국인 거주자 수도 추가로 제한할 전망이다. 

마크 밀러 이민부 장관은 21일 기자회견을 열고 앞으로 3년간 임시 거주자 수를 현재의 6.2%(250만 명) 규모에서 5% 규모로 줄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캐나다가 임시 거주자를 대상으로 유입 규모를 설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부는 올 9월부터 캐나다의 이민 수용 계획(immigration levels plan)에 임시 거주자와 영구 거주자를 모두 포함시키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발표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5월 초 주 및 준주 담당 장관들과 회의를 소집해 임시 거주자의 유입 수준을 어떻게 설정해야 할 지 논의할 예정이다. 각 주의 고유한 노동 수요와 노동력에 따라 필요한 인원 수가 배분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연방정부는 캐나다 기업들이 외국인 노동자들을 고용하는 방식도 바뀔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랜디 보이소놀트(Boissonnault) 고용부 장관은 "앞으로 캐나다에 입국하는 임시 외국인 노동자의 수가 줄어들게 되면, 임시 외국인 노동자 프로그램을 통한 인력의 최대 규모도 약 30%에서 20%로 축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러한 외국인 임시직 근로자 수의 감소는 건설 및 의료 부문에는 적용되지 않을 전망이다. 보이소놀트는 "건설 및 의료 분야 사업체의 경우 적어도 올해 8월 31일까지는 임시 외국인 근로자 프로그램의 저임금 부문(low wage stream)을 통한 인력 고용이 30%까지 허용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정부에 따르면 캐나다인 노동자 채용이 어려운 경우 기업이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노동시장 영향평가서’(LMIA)는 기존 12개월이 아닌 6개월 동안만 유효할 것으로 짐작된다. 

보이소놀트는 “LMIA의 목적은 고용주가 외국인 노동자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캐나다인 노동자나 영주권자, 난민 또는 망명 신청자가 그 일을 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라며 “LMIA 유효 기간을 단축함으로써 우리는 임시 외국인 노동자 프로그램이 가장 최신의 정확한 노동 시장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되었는 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이번 조치는 캐나다의 임시 거주자 수가 매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막대한 유치가 전국의 주택난 심화로 이어진다는 지적에 따라 발표된 것이다. 앞서 지난 1월 연방정부는 주택난 완화 대책의 하나로 캐나다 내 임시 거주자의 42%를 차지하는 유학생 수를 제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지난해 11월 발표된 정부의 3개년 이민 계획에 따르면, 연방 정부는 올해 48만5000명의 이민자를 맞이하고, 2025년에 50만 명의 신규 이민자를 수용하되 2026년까지 이 수준을 유지할 방침이다. 

최희수 기자 chs@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전문인력이민제 언어 평가 기준 강화 움직임
캐나다 정부가 전문인력(federal skilled worker) 이민을 위한 점수 평가제 개정을 예고한 가운데 언어평가 기준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돼 논란이 예상된다.   지난 2일 캐나다 이민부는 캐나다 이민 컨설턴트 교육 기관인 CMI(Canadian Migration Institute)의 이민 전문가들과...
날짜·서명 제외한 모든 항목 컴퓨터로 기재해야
주한 캐나다 대사관이 비자 신규 및 연장 신청에 대한 새 양식을 1일 도입했다. 새 신청 양식을 살펴보면 과거 직접 기재해왔던 국가, 성별, 언어, 혼인 여부 등의 항목이 목록에서 선택할 수 있게끔 바뀌었다. 면밀히 검토 후 ‘확인(Validate)’ 버튼을 눌러야만...
신규 이민자와 캐나다 국민 소득 격차 꾸준히 증가
정부의 이민정책이 캐나다 납세자들의 부담을 증폭시키고 있다는 보고서가 나와 논란이 일고 있다. 캐나다의 보수성향 싱크탱크 프레이저 연구소(Fraser Institute)는 18일 이민과 캐나다인...
한동안 주춤했던 이민 정책 다양한 변화 예고
캐나다 총선이 보수당의 승리로 막을 내리면서 한동안 주춤했던 이민 정책 개정이 다시 활기를 띨 전망이다. 제이슨 케니(Kenney) 캐나다 이민 장관은 5일 열린 컨퍼런스에서 “이미 공개한 바 있는 전문인력 이민 제도 개정과 배우자 이민 제도 규제 강화는 차질...
4월1일부터 적용…2015년4월1일 만료
캐나다 이민부는 4월1일부터 대부분 임시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허가 기간을 최대 4년으로 제한하고 있다. 4월1일부터 임시 외국인 근로자 제도로 입국한 또는 이미 입국해있는 외국인근로자는 앞으로 최대 4년간 캐나다에서 근로허가를 받을 수 있고, 이 기간이...
加이민부, 고용주 정직성 확인 중
최근 밴쿠버에서 사업하는 A씨는 캐나다 인력자원개발부(HRSDC) 직원이라며 새로 고용한 B씨의 출∙퇴근 시간과 근무분야, 급여수준을 묻는 전화를 받았다. B씨는 한국에서 갓 온 직원이었다. 한국에서 요리사로 취업차 온 C씨는 공항에서 입국 수속 중...
피해자 최소 10명… 추가 피해 조사 중
토론토에서 취업과 이민을 빌미로 사기행각을 벌인 40대 남성이 19일 경찰에 체포됐다. 토론토 시경에 따르면 체포된 남성은 토론토에 거주하는 매리온 밸디즈(Valdez·46세)로 2009년 8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취업과 이민을 빌미로 피해자들로부터 알선비를 챙긴...
교제 기간 2년 미만이면 조건부 영주권 발급
캐나다 정부가 배우자 초청 이민 제도로 인한 사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관련 규제를 강화한다. 이민부는 26일 캐나다 연방관보(Canada Gazette)를 통해 배우자 초청 이민 제도의 남용을 막고 위장 결혼 등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배우자 초청 이민 제도의...
처벌 강화 법안 내달부터 시행…적발 시 최고 10만달러
캐나다 이민을 준비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사기 행각을 벌이는 무면허 이민 대행인에 대한 처벌 강화 법안(Bill C-35)이 23일 왕실 재가(royal assent)를 받아 내달부터 시행된다.이 법안은 지난해 6월 이민부가 상정한 것으로 이민 변호사나 이민부가 인정하는 이민...
이민부, 외국인 근로자 보호 프로그램 4월 1일부터 발효
캐나다 이민부가 외국인 임시 근로자 보호 프로그램(TFWP)을 강화해 4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이슨 케니(Kenney) 이민부 장관은 24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짧은 기간동안 캐나다에 체류해 근무하는 외국인 근로자가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도록 정부가 나서서 보호할...
25일부터 우편·팩스로만 접수 가능
캐나다 인력 자원 및 기술 개발부(HRSDC)가 25일부터 온라인 노동허가(LMO) 신청 서비스를 중단한다. 캐나다 인력 자원 및 기술 개발부는 웹 보안 프로그램 설치를 위해 오는 6월까지 온라인 노동허가 신청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온라인 서비스는 중단되지만...
이민 컨설턴트 규제 위원회 출범 예고
캐나다 이민부가 18일 캐나다 이민 컨설턴트 협회(CSIC)를 대체할 새로운 이민 감독 기관의 출범을 예고했다. 캐나다 이민 컨설턴트 협회가 공정성 부족하다는 이민부 상임위원회의 지속적인 지적에 따른 것이다. 제이슨 케니(Kenney) 이민부 장관은 “이민 신청자의...
정부, 시민권 교재 기반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 배포
정부가 캐나다의 전반적인 지식을 퀴즈로 풀어보는 교육 프로그램(How Canadian are You Eh?!)을 개발해 3일 배포를 시작했다. 캐나다 이민부가 공개한 이번 프로그램은 지난해 4월 발표한 온라인...
전문인력 이민 기피 현상 심화될 듯
캐나다 이민부가 전문인력 이민을 위한 점수 평가 제도의 변화를 예고한 가운데 이 변화가 도입되면 한인의 이민은 더욱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제이슨 케니(Kenney) 이민부 장관은 “직종에 따라 요구되는 언어 구사력이 다른 것처럼 현행 평가 제도에서...
부모 초청 이민, 취업 비자 등 지체 심화…
이민 신청 및 비자 연장을 위한 수속 기간이 크게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이민부가 2일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민과 비자 신청 전반에 걸쳐 수속 기간이 지난해와 비교해 늘어났다.  가장 지연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항목은 부모 초청...
유창한 영어 실력, 35세 이하에 다년간 전문직 경험 요구
캐나다 정부가 전문인력 이민을 위한 점수 평가제를 제고하고 있다. 본보가 입수한 연방하원 이민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전문인력 이민 신청자 평가시 100점 만점에 67점 합격인 점은 변하지 않지만, 언어, 연령, 경력에 따른 배점이 바뀔 전망이다. 확정된 내용은...
처벌 강화 의지 재차 표명
스티븐 하퍼(Harper) 캐나다 총리가 21일 밴쿠버에 방문해 불법 밀입국 알선업자와 불법 체류자의 처벌 강화에 관한 의지를 재차 표명했다. 하퍼 총리는 지난해 8월 스리랑카 소수민족인 타밀족 난민 492명을 태우고 밴쿠버에 정박한 ‘시 선(Sea Sun)’호를 직접...
“부모 초청 감축은 사실무근… 전문인력은 정비 계획 中”
제이슨 케니(Kenney) 이민부 장관은 18일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부모초청 이민의 수속 기간 지체와 전문인력 이민자 수 감축에 대해 해명했다. 앞서 공개된 이민부 계획안에서는 이민부가 부모 초청 최대 허용 인원을 1만6800명에서 1만1200명으로...
이민부 발표에 산업계 거세게 반발
캐나다 이민부가 전문인력 이민자(federal workers)를 20%까지 줄이겠다는 계획안을 발표하자 산업계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캘거리 경제 발전 연구소의 엘스베스 머러(Mehrer) 박사는 16일 캐나다 공영방송 CBC와의 인터뷰에서 “정부가 외국인 근로허가 비자 발급 수를...
이민부, 허용 인원 감축 발표
캐나다 이민부가 부모 초청 최대 허용 인원을 감축한다고 밝힘에 따라 부모 초청이민의 총 수속 기간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민부는 부모 초청 허용 인원을 1만6800명에서 1만1200명으로 줄이겠다고 밝히고, 주한 캐나다 대사관은 연간 부모 초청 이민자...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