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캐나다, 1차 의료 위기 심화됐다

손상호 기자 ssh@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4-03-22 13:18

1차 의료 접근성, 10개 서방 선진국 중 ‘최악’
부족한 투자에··· 의료 체계 10년간 ‘거북이걸음’
디지털 의료 기술 활용도 부족··· 총체적 난국


캐나다의 1차 의료(Primary health care)에 대한 접근성이 주요 서방 선진국 중 최악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의 보건재단인 코먼웰스 펀드(Commonwealth Fund) 21일 발표한 ‘2023년 국제 보건정책 설문조사에 따르면, 캐나다 성인의 86%가 의료 서비스를 받기 위해 주로 방문하는 1차 의료 시설이 있다고 답했다.

 

이 조사는 캐나다를 비롯한 주요 서방 선진국 국가 10곳을 대상으로 진행됐는데, 캐나다가 기록한 86%는 이들 국가 중 최하위였다. 1차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고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은 국가는 네덜란드(99%)였으며, 그 다음은 뉴질랜드, 영국(이하 97%), 독일(96%), 오스트레일리아(94%), 스위스(92%), 프랑스(91%), 스웨덴(88%), 미국(87%), 캐나다 순이었다. 캐나다는 지난 2016년만 해도 93%를 기록해 10개 국가 중 7위였지만, 2020 90%(8)로 떨어진 데 이어 이번 조사에서는 최하위로 추락했다.


 

캐나다의 1차 의료 위기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토론토 의대 연구진은 작년 11월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지난 10년 동안 캐나다의 1차 의료 서비스는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리게 발전했으며 이에 대한 투자도 턱없이 부족하다고 꼬집은 바 있다. 특히 지난 수년에 걸쳐 젊은 의대생들 사이에서 가정 의학과를 기피하는 현상이 이어지면서, 전국이 가정의 부족난에 시달리는 상황이다.

 

게다가 코로나19 팬데믹과 인플레이션 등의 연이은 악재로 성인의 29%가 우울증과 불안 증세를 비롯한 정신건강 관련 증상을 호소하면서, 캐나다의 의료 위기가 심화됐다고 코먼웰스 펀드는 지적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캐나다의 의료 위기는 더욱 심각하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몸이 편치 않은 당일 혹은 다음날 진료를 받을 수 있다고 한 캐나다인은 2016 46%에서 무려 20%포인트 하락한 26%, 10개국 평균(42%)에 한참 못 미쳤다. 밤·주말·휴일에 응급실을 제외한 곳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다고 한 캐나다인은 23%, 이 역시 10개국 평균(32%)보다 낮았다.

 

캐나다인의 의료 접근성은 소득·연령·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가계 소득이 15만 달러 이상인 캐나다인의 93%1차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고 한 반면, 소득이 3만 달러 이하인 경우에는 단 81%였다. 또한 65세 이상(93%) 18~34(78%)보다, 여성(90%)이 남성(82%)보다 1차 의료 서비스 접근성이 쉬웠다.

 

또한 캐나다는 디지털 의료 기술에 대한 활용도 다른 선진국들에 미치지 못했다. 캐나다 의료진이 진료를 할 때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는 38%, 10개국 평균인 57%와 큰 차이를 보였다.

 

이에 보고서는 캐나다에서는 비대면 진료를 포함한 다양한 기술 사용이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이러한 기술을 개선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디지털 의료 기술은 의료 서비스의 효율성과 효과를 강화하고, 치료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했다.

 

손상호 기자 ssh@vanchosun.com

사진출처= Getty Images Bank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미국에선 화상 사고 43건 보고돼
일본 전자제품 제조사 ‘도시바(Toshiba)’의 어댑터가 화재 및 화상 위험으로 인해 캐나다 전역에서 100만 개 이상 리콜된다. 22일 캐나다 보건부는 캐나다에 수입된 130만 개에 가까운...
특정 인물 겨냥 '타겟 슈팅' 추정
지난 목요일 새벽 화이트락에서 총격이 발생해 4명이 중상을 입고 병원으로 이송됐다. 화이트락 RCMP에 따르면 22일 밤 12시 30분경 로퍼 애비뉴와 파커 스트리트의 교차로 인근에서 총기...
양국 외교장관 회담··· ‘포괄적 전략 동반자관계’ 재확인
러북 군사협력 중단 강조··· 북 인권 문제 협력 약속
▲21일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한 멜라니 졸리 캐나다 외교장관(왼쪽)과 조태열 한국 외교장관이 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 외교부 제공)...
“3가지 교통수단이 하나의 플랫폼으로”
밴쿠버의 대중교통 공사인 트랜스링크(TransLink)가 대중교통, 차량공유 및 자전거공유 서비스가 모두 통합된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앱) 출시를 앞두고 베타 테스트를 진행한다. 21일...
▲지난해 출시된 주요 갤럭시 모델에서 '갤럭시 AI' 기능을 사용하는 모습. /삼성전자삼성전자가 ‘갤럭시 AI’의 기능을 작년에 출시한 갤럭시 S23을 포함해 주요 모델에 추가 지원한다....
[장수의학자 박상철의 노화혁명]
백세인을 매년 찾아가 봤을 때, 일상생활을 언제나 꼭 같은 시간대에 하며 사는 걸 보고 놀란 적이 많았다. 일어나고 외출하고 잠자는 시간만 일정한 것이 아니라, 밥 먹는 시간도 철저했다...
국내외 경찰기관에 1500만 달러 투자
도난 차량 관리 및 범죄 수사 강화
캐나다 정부가 날이 갈수록 증가하는 차량 절도를 방지하기 위해 1500만 달러를 투자한다.   도미닉 르블랑 연방 공공안전부 장관은 21일 기자회견을 열고 도난당한 차량에 대한...
BC 워크인 클리닉 진료 대기시간 ‘전국 최장’
노스밴쿠버 187분··· 칠리왁 44분 가장 짧아
지난해 BC주의 워크인 클리닉(Walk-in Clinic) 진료 대기시간이 전국에서 최장 시간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워크인 클리닉 대기시간 조회 사이트 ‘메디맵(Medimap)’이 공개한 최신...
일부 제품에 과도한 환경처리비 부과
집단소송 웹사이트 이메일 등록해야
환경처리비(Environmental Handling Fee, 이하 EHF) 관련 집단소송을 당한 달러라마(Dollarama)가 고객 1인당 15달러를 보상할 계획이다.   20일 LPC 법률사무소 측은 몬트리올에 본사를 둔...
인구 집단서 베이비부머 세대 첫 추월
“고령화·이민자 유입으로 세대 교체”
캐나다의 밀레니얼 세대(1981~1996년생) 인구가 베이비부머 세대(1946~1965년생) 인구 수를 역사상 처음으로 넘어섰다는 통계 결과가 나왔다. 연방 통계청이 21일 발표한 인구 센서스 자료...
나이 인증 의무화 지난해 상원 통과··· 야당 찬성표
인증 절차에 대해 논의 중··· 개인정보 유출 우려도
캐나다 내 미성년자의 포르노 웹사이트 접근이 불가능해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피에르 폴리에브 보수당 대표는 21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성인용 동영상 웹사이트의 성인...
BC 개원 연설··· “발전 있었지만 아직 할 일 많아”
단기 보유 양도소득세 도입··· 부동산 투기 방지
산불 등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공공안전도 강화
BC주의 총선이 8개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BC NDP 정부가 올 한 해 동안 주택난 해결과 의료 서비스 강화, 재정난을 겪는 개인 및 중소기업 지원에 방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20일...
연방 통계청 캐나다 국민 사회조사(CSS) 결과
주거 불안정에 재정 압박··· 정신건강도 나빠
세입자이면서 대도시에 거주하고 나이가 젊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현저히 낮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9일 연방 통계청이 발표한 캐나다 국민 사회조사(CSS) 결과에 따르면, 밴쿠버와...
해당 제품 갖고 있다면··· 지역 약국에서 교환
캐나다 제약회사 아포텍스(Apotex Inc)의 비강 스프레이(nasal spray)가 박테리아 오염 가능성으로 리콜에 들어간다. 20일 캐나다 보건부는 알레르기 증상이나 축농증 및 비용종 치료에...
부상 당한 경찰 생명엔 지장 없어
지난 패밀리데이 연휴 기간 델타 고속도로 갓길에서 차량을 단속하던 경찰이 뺑소니 사고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델타 RCMP는 지난 17일 오전 10시 30분경 72번가 91번 하이웨이에서 교통...
작년 6월 이후 처음··· 금리 인하 기대감 ↑
기름값 하락이 큰 요인··· 주거비 안정은 아직
캐나다의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7개월 만에 2%대로 내려왔다. 연방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월간 물가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월 캐나다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2....
한식당들 입주 쇼핑 플라자서 발생
용의자 범행 후 달아나··· 경찰, 제보 당부
써리 길포드 인근 보석상에서 총기 강도 사건이 발생해 1명이 중상을 입었다.   RCMP에 따르면 일요일이었던 지난 18일 오후 6시 30분쯤 써리 152 스트리트 인근 101 애비뉴 선상에 위치한...
여성에게 남편이나 남자친구의 냄새가 약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 2건을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가 최근 잇달아 발표했다.연구팀은 첫번째로 스트레스 호르몬 테스트. 커플 96쌍을...
BC주가 증오 범죄를 경험했거나 위험에 처한 단체를 지원한다.   15일 마이크 판워스 BC 공공안전부 장관은 “분명히 이야기하겠지만 BC주에 증오가 설 자리는 없다”며 “우리 정부는...
BC주 상업용과 주거용 재산세 차이 불평등
세금 오르니 가격 인상, 폐업률 증가 ‘악순환’
이미 인플레이션 장기화로 어려움에 처해있는 BC주의 소상공인들이 치솟는 재산세(property tax)에 대한 부담으로 이중고를 겪고 있다.   캐나다자영업자협회(CFIB)가 15일 발표한 2024...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