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팔자를 생각하다

정성화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4-04-08 14:49

정성화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가져가야 할 짐들을 거실 가득히 늘어놓은 채, 남편은 가방에
짐을 챙겨 넣고 있다. 그가 짐 싸는 모습을 보고 있으면, 그가 다
시 떠난다는 게 실감 난다. 가방의 지퍼가 고장 났는지 닫히지 않
는다고 남편이 말한다. 그를 붙잡고 싶은 내 마음이 염력을
부린 듯하다.
남편은 파도 치는 바다로 고생하러 가면서도 아내의 눈치를 본
다. 뭘 사다 주면 좋겠느냐고 자꾸 묻는다. 대답 대신 고개를 흔드
는데 눈물이 또 주책을 부린다.

 냉장고 문을 열고 낮에 사온 고등어를 꺼낸다. 마음이 허둥댈
때는 무슨 일이라도 하고 있는 게 낫다. 고등어 배를 갈라 내장을
훑어내고 소금을 치면서, 내 속에도 누가 이렇게 소금을 쳐주었
으면 좋겠다 싶다. 속이 상하지 않게 한 움큼 뿌려주었으면.

  그가 떠난 지 일주일 쯤 될 무렵이 가장 견디기 힘들다. 그리움
에 대한 항체가 생기려고 그러는지, 거실 한쪽에 앉아있던 햇살
몇 줄기도 이 공간의 적요를 견디기 힘든지 엉덩이를 뒤로 빼
며 슬금 슬금 빠져나간다. 한나절이 지나도록 오는 이 하나 없고
걸려오는 전화 한 통 없는 날이면, 주방 문을 열었을 때 간장병이
라도 하나쯤 넘어져 있기를 바라게 된다.

  해질 무렵이 더 쓸쓸하다. 누구나 집으로 돌아오는 시간이며
맞이하는 시간이라서 그럴까. 나도 다른 아내들처럼 저녁상을 마
주하고 앉아 남편에게 이것 맛있지요 저것도 맛있지요 하며, 생
선살도 발라주며, 그렇게 오순도순 살아가고 싶다.

  이승에서의 삶이 전생의 엎을 갚기 위한 것이라면, 나의 전
생은 어떤 것이었을까. 아마도 나는 전생에 나의 배우자를 무척
기다리게 했던 모양이다. 나였더라면, 변방을 지키느라고 일 년
에 서너 번밖에 고향에 갈 수 없는 졸병이었던지, 아니면 전국 방
방곡곡을 돌아다니는 보부상이었던지, 아니면 우국충정으로 만
주 벌판을 헤매고 다닌 독립군이었는지도 모르겠다.

 팔자(8)는 뒤집어도 같은 모양이며, 아무리 발버둥을 쳐도 처
음 출발한 점으로 다시 되돌아올 수밖에 없다. 그래서인지 사람
의 팔자 또한 뒤집히지 않으며, 벗어나 보려고 애를 써도 벗어날
수 없는 게 아닐까.

 팔자(8)는 옆으로 뉘여보면 00모양이 되어 편안해 보인다. 그
런데 00는 수학에서 무한대를 의미하는 기호다. 나의 팔자를 모
로 뉘여서 행여 지금의 외로운 팔자로 무한히 이어지게 될까봐
얼른 도로 세워 놓는다. 숫자 8을 보고 있으면, 길게 눕지도 못하
고 우두커니 앉아서 누군가를 기다리고 있는 모습이다. 그렇게
느끼는 것도 아마 나의 쓸쓸함 때문일 것이다.

 편안하고 아늑하며 외롭지 않은 자리일 수는 없었을까. 그러나
철저하게 외롭다는 느낌이 들 때 나는 오히려 신의 눈길을 느낀
다. 시험지를 내주고는 뒷짐을 진 채 나를 내려다보고 있는 선생
님 같은, 신, 내가 마음에 쓰이는지 나의 등 뒤에서 꽤 오래 머물러
있는 신이다. 그래서였을가. 내 삶의 시험지 칸을 적당히 메우는
것만으로는 부족할 것 같았다. 무엇인가 더 채워 넣어야한다는
생각이 봄풀처럼 돋아났다.

 내 속을 뚫고 삐죽이 튀어나오는 외로움과 아픔을 벼려줄 그
무엇이 있었으면 싶었다. 내 삶의 모서리를 공글려 줄 그 무엇, 수
필은 내게 그런 의미로 다가왔다. 수수하면서도 단아해 보이고
온순하면서도 심지가 강한 여인, 반듯한 이마를 가진 어느 조
선의 여인 같은 이미지로 , 수필에 귀를 대고 있으면 등을 토닥여 주
는 소리가, 마음을 씻어주는 소리가, 그리고 흐트러진 마음을 내
려치는 죽비 소리가 들려올 것 같았다.

 어느 판화가는 자신의 그림이, 두고두고 가까이 지내고 싶은 사
람들과 닮았으면 좋겠다고 했다. 나의 글도 그랬으면 좋겠다. 떠올
리기만 해도 그냥 기분이 좋아지는 사람, 볼 때마다 또 다른 나를
보는 듯이 느껴지는 사람, 손 흔들며 헤어질 때는 비질 비질 눈물이
날 것 같은 사람과 닮았으면 좋겠다. 내게 있어 글쓰기란 쓸쓸함에
서 벗어나는 탈출구가 아니라, 넘어져 있는 간장병을 세워주는 것
에서 시작되고 부박한 삶들을 껴안는 게 되었으면 한다.

 그래서 가슴 속에다 그리움으로 빚은 콩나물 시루를 하나 안쳐
두었다. 그 시루 위로 하루에도 몇 번 씩 물을 붓는다. 때로는 조급
한 마음이 일어 한꺼번에 몇 바가지 씩 퍼붓기도 한다. 어떤 콩 알
갱이는 눈을 뜨고 내다보는데 어떤 것은 야속하게 기척도 없다.
또 어떤 것은 순하게 싹을 내는데 어떤 것은 잔발만 무성하다.
나는 기다린다, 내 가슴속 콩나물 시루에 소복하게 콩나물이 자
라 오르기를. 그래서 어느 날 한 움큼 솎아 낸 콩나물이 내 삶에
아름다운 시가 되고 수필이 되기를.
아, 기다림으로 이어지는 나의 팔자여!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밟아라 2024.04.15 (월)
 서울에 사는 영적 동반자가 문자를 보내왔습니다. 영화 <사일런스>를 꼭 보라며 청주 상영관까지 알려줍니다. 그때부터 제 머릿속은 영화에 대한 생각으로 가득 찼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오래전에 그 영화의 원전인 『침묵』이라는 소설을 감명 깊게 읽고 가끔씩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간절히 원하면 이루어진다더니 충북 내 영화관이 똑같이 종영하는 날, 가까스로 진천에 가서 영화를 보았습니다.실화를 바탕으로 한 엔도 슈사쿠의 소설...
반숙자
셀카 증명 시대 2024.04.15 (월)
세상은 변했어기우뚱 거리다 기울어 지다 엎어졌어마음을 나타내려 해도 이제는환적의 경유지를 밝혀야 하고무게의 중량을 홀수선에 남겨야 하는"마음 속으로" 는 사라지고"보시다시피"로 증명 해야 하는 세상마음을 찍을 수 없는 셀카에 의존하는증명사진 유행의 시대, 증명사진 요구의 시대여보시게나자네들과 나 사이에는이심전심의 토양에서우정 이라는 길을 돋우고 다지며믿음을 넓히고 오해를 메우는, 마침내무엇이든 실어 나르는 큰 길모여...
조규남
1.23세. 대학을 마치고 지도교수의 추천으로 들어간 나의 첫 직장은 강북구 미아동 소재 S여중이었다. 첫 출근 날 아직 군대도 미필인 시절, 솜털이 뽀얀 홍안의 청년이 여중생의 수업을 들어간다는 사실이 못내 마음에 걸리셨는지 교감선생님은 나를 따로 불러 세워 다짐을 하신다.“민 선생, 오늘 수업을 들어가게 되면 무조건 민 선생은 딸이 하나 있는 애 아빠라고 자기 소개를 하시고, 학생들이 딸 이름을 혹시 묻거든 ‘들레’라고 하세요.”라며...
민완기
삼겹살 2024.04.08 (월)
아들이 군대 간다고 둥지를 떠나고문 선생은 중첩된 설움을 곰 삭이며외롭다는 말 대신삼겹살 한 절음 불판에 그슬렸다사방에 튀는 기름 파편을 손등이 접수하며그렇게, 모르는 듯 타들어가고 있다 나무젓가락 사이 낑긴 고기가숨이 붙어 더 살아갈 날을 깨우고 있다참기름장에 발라 입에 넣고떠난 가족을 씹어 그렇게 삼켜 버렸다외로움은 콧날에 상큼하다는 말겨자 한입 넣지 못한 사람은 모른다혼미한 푸념을 담배 연기처럼 뱉어버리고앉았던...
김경래
팔자를 생각하다 2024.04.08 (월)
 가져가야 할 짐들을 거실 가득히 늘어놓은 채, 남편은 가방에짐을 챙겨 넣고 있다. 그가 짐 싸는 모습을 보고 있으면, 그가 다시 떠난다는 게 실감 난다. 가방의 지퍼가 고장 났는지 닫히지 않는다고 남편이 말한다. 그를 붙잡고 싶은 내 마음이 염력을부린 듯하다.남편은 파도 치는 바다로 고생하러 가면서도 아내의 눈치를 본다. 뭘 사다 주면 좋겠느냐고 자꾸 묻는다. 대답 대신 고개를 흔드는데 눈물이 또 주책을 부린다. 냉장고 문을 열고...
정성화
봄밤 2024.04.08 (월)
부활절 날 밤겸손히 무릎을 꿇고사람의 발보다개미의 발을 씻긴다연탄재가 버려진달빛 아래저 골목길개미가 걸어간 길이사람이 걸어간 길보다더 아름답다
정호승
가로등 2024.04.02 (화)
어둡고 긴긴 밤을그대 왜 서 있는가 길고 긴 세월 동안지칠 법도 하건만은 가신 님 오시려나행여 떨며 기다리나 어두워 못 오실까 눈 밝혀 길 비추나 이 밤도 아니 오면이제 그만 쉬소서
늘샘 임윤빈
떠도는 섬 2024.04.02 (화)
사방이 물로 둘러싸여 고립되어 있는 지역을 우리는 섬이라 말한다. 어느 곳은 썰물이면 육지와 맞닿아 있다가 밀물 때면 수면위에 떠 있는 섬으로 변신하기도 한다. 망망대해에 고고히 떠 있는 섬을 외로움과 고독에 비유하는가 하면 인고를 견디는 삶을 대변하기도 한다. 물이 아니라도 우리 주변에는 섬처럼 떠 있고 고립된 모습들을 자주 보게 된다. 수많은 친구들이 있다고 하면서도 혼자가 되면 금방 외롭다하는 모습이 그렇고, 사과밭 한가운데...
자명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