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최종수정 : 2024-05-22 12:37

정재욱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토요일 오후 퇴근 길에 스타벅스 커피점을 지나면서 음료를 주문하려고 들렀다. 집에 있는 가족들이 생각나서 각자 먹고 싶은 메뉴를 보내라고 메시지를 보냈다. 각자 원하는 음료를 시켰는데, 아내와 큰 아들의 간단한 메뉴 선정과는 달리 딸아이의 기다란 메시지 답장이 왔다.

‘그란데 사이즈로 차가운 차이 라떼 한 잔.
추가 선택 사항으로는 얼음은 약간, 차이 펌프는 2번만, 블론드샷으로 에스프레소 추가, 그리고, 귀리 우유’

메시지를 다 읽고도 한 번에 암기가 되지 않아 주문을 하기 위해 핸드폰 메시지에 쓰여진 주문 내역을 한참 동안 읽어 내려가야 했다. 한 가지 메뉴에 대해 다양하게 선택 사항들을 자신이 원하는 걸로 고를 수 있게 되어있다는 것을 알고는 있었다. 내가 주문을 하면서도, ‘주문을 뭐 이렇게 까다롭고, 자세하게 해야 하나.’ 하는 생각과 함께 ‘요즘 신세대들은 참 자기 취향이 뚜렷하고, 자기가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이 분명하고, 자기가 원하는 것을 상세하고 확실하게 표현을 하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처럼 마시는 음료 하나까지도 세심하고, 꼼꼼하게 따지는 것과는 달리 무조건 복잡하고, 귀찮은 것은 멀리하는 우리 세대와는 극명한 차이가 난다고 느꼈다. 이것이 세대 차인가 싶었다. 내가 고른 메뉴는 그냥 라떼 한 잔이었다.
보통 회식이나 여러 사람들이 모인 모임 같은 데 가면, 주문을 할 때, 뭘 먹을 건지 망설이게 된다. 어떤 메뉴를 선택할 건지 질문을 받으면 내가 먹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딱 집어서 얘기하기 보단 ‘아무거나.’라고 답하거나, 아니면 앞에서 다른 사람이 시킨 메뉴를 가리키며 ‘나도 같은 걸로.’ 란 말로 대답하는 경우가 많았다. 개인적인 성격 탓일 수도 있겠지만 괜히 까다롭고, 유별난 것처럼 보이고 싶지 않아서, 나의 개인적인 취향을 드러내는 데 익숙하지 못했다. 아니면 특별히 먹는데 있어서 가리는 것이 없고, 맛에 대한 섬세하고, 탁월한 미각을 가지지 못한 탓일 수도 있고, 약간의 결정 장애가 있을 수도 있다.
요즘엔 펜데믹 시대를 거치고, 인건비가 상승되어 직접 사람이 주문 서비스를 받는 것보다 키오스크 (터치 스크린 방식의 정보 전달 시스템인 무인 단말기) 나 앉은 자리에서 모니터 화면으로 직접 주문하는 경우가 많다. 예전처럼 단순히 세트 메뉴나 콤보 메뉴를 손으로 가리키면 되었던 시대는 지나갔다. 최근 뉴스에선 나이 드신 분들이나 디지털 매체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이 주문을 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내가 경험한 바로도 화면에서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고, 결제가 이루어지기까지 여러 과정과 단계를 거쳐야 하는 것이 쉽지는 않았다. 중간에 잘못 눌러서 다시 처음으로 가야 하는 경우도 있고, 내가 원하는 메뉴를 찾기 까지 한참 동안 헤매야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선택해야 하는 다양한 추가 선택 사항들도 많아졌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나만의 개성을 추구하기 보단 나 자신에 대해 점점 무덤덤해짐을 느낀다. 내가 좋아하는 것들에 대해 좀 더 깊이 생각해 본 적이 별로 없다. 이제부터 나 자신을 드러내고, 표현하는데 좀 더 신경을 써야 할 것 같다. 딸아이가 했던 주문처럼, 앞으로 당당하게 나의 취향과 개성을 드러내겠다는 주문을 외워본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주문 2024.05.22 (수)
토요일 오후 퇴근 길에 스타벅스 커피점을 지나면서 음료를 주문하려고 들렀다. 집에 있는 가족들이 생각나서 각자 먹고 싶은 메뉴를 보내라고 메시지를 보냈다. 각자 원하는 음료를 시켰는데, 아내와 큰 아들의 간단한 메뉴 선정과는 달리 딸아이의 기다란 메시지 답장이 왔다.‘그란데 사이즈로 차가운 차이 라떼 한 잔.추가 선택 사항으로는 얼음은 약간, 차이 펌프는 2번만, 블론드샷으로 에스프레소 추가, 그리고, 귀리 우유’메시지를 다 읽고도 한...
정재욱
  최근에 두 권의 책을 접하게 되었다. 조정래 작가의 “홀로 쓰고 함께 살다”와 나태주 시인의 “봄이다. 살아보자” 이다. “홀로 쓰고 함께 살다”는 조정래 작가가 문단 50년을 기념하여 독자와의 대화를 쓴 책이고, “봄이다 살아보자”는 시인 세월 50년을 살며 적은 나태주 시인의 산문집이다. 두 권 모두 소설가와 시인으로 50년 간 문인으로 살아오면서 살아온 삶의 이야기를 서술한 공통점이 있다. 50년을 꾸준히 작가로서 한 길을...
정재욱
  살아가는 동안 사람들은 많은 이별과 작별을 하게 된다. 일시적으로 떨어진 이별이 있는가 하면, 영원한 이별의 아픔과 함께 한 작별도 있다. 김영하의 소설 ‘작별 인사’를 읽고 나서, 함께 했던 사람과의 영원한 이별,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에 대해 많은 것을 떠올리게 되었다. 최근에 가까운 사람들을 멀리 떠나 보내면서, 그 분들과 함께했던 기억들을 되새기고, 추억을 돌아보고, 작별의 의미를 생각했다.  이 책을 접하게 된 것은...
정재욱
모방과 표절 2022.08.03 (수)
“예술은 자연의 모방이다.”고대 그리스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가 했던 말이다. 나쁜 의미에서의 모방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창작하기 위한 시작이라고 볼 수 있다. 아무것도 없는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하는 예술적인 작업이 창작이 아닌 우리가 주변에서 접하는 자연을 바탕으로 했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이것이 창작이 아닌 자연에 대한 모방으로 보았던 것이다. 실질적으로도 자연을 바라보면 저절로 감탄을 자아내고, 무언가 표현하고 싶은...
정재욱
퇴근 해서 집으로 향해 가는 버스를 기다릴 때였다. 한국에서 전화가 왔었다는 여러 개의 카톡 메시지가 남겨져 있었다. 왠지 불안한 마음을 뒤로 한 채 바로 큰 형님께 전화를 했다. 코로나 양성판정을 받고 격리 병원시설로 옮기신 후에 별 이상이 없으셔서 일반 병실로 이동하실 거라고 했었다. 이제까지 심장 수술과 혈전 제게 수술등 여러번 위험한 고비를 넘기신 터라 걱정도 많이 했고, 제발 이번 위기도 꼭 이겨냈으면 하고 기도하고 있었다. 제발...
정재욱
한여름날의 정원 2021.08.09 (월)
정재욱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지난 달 열 돔 현상으로 이곳 밴쿠버 날씨가 사상 최고로 45도 이상의 폭염을 기록했다. 에어컨이 있는 곳도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했고, 그늘이 있는 곳에서도 바람 한점 불지 않는 열기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밤에도 제대로 잠을 이룰 수가 없었다. 한국으로부터 더운 날씨에 괜찮냐고 안부를 묻는 전화에 내 생애에 이런 더위는 처음이었고, 밴쿠버가 예년 날씨 같지 않다고 대답했다. 폭염과 비가 내리지 않는 날씨...
정재욱
정재욱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2021년 신축년 새해가 밝았다. 지난 한 해는 어떻게 보냈는지 기억이 나지 않을 정도로 정신없이 지나갔다. 힘들게 보낸 한 해였다. 사람들은 2020년을 최악의 한 해였다고 했다. 코로나가 삶을 송두리째 바꾸어 놓았다. ‘만약 코로나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수없이 많은 가정을 해보기도 했다. 일상의 삶으로 되돌아 갔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이러한 가정은 내 삶 안에서도 일어난다. 우리는 늘 선택의 순간에서...
정재욱
마스크 2020.09.14 (월)
“손님 27명 감염, 직원은 멀쩡, 파주 스타벅스 미스터리”지난 달 한국 신문에 났던 기사제목이다. 파주에 있는 한 스타벅스 매장에서 1 명의 코로나감염자로 인해 방문자 27명이 코로나에 걸린 내용의 기사였다. 충분한 사회적 거리두기를했지만 불과 2시간여만에 많은 확진자가 속출했다. 손님들이 대부분 음료를 마시는 동안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았고, 환기가 되지 않았으며, 에어컨 바람에 의한 비말 확산이 감염원인이었다. 외국 언론들도 비중...
정재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