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추사 고택(秋史古宅)에서

정목일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4-05-27 09:50

정목일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오월 화창한 봄날에 충남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에 있는 추사고택秋史古宅을 찾아갔다. 조선 후기 대표적인 주택일 뿐 아니라, 조선 말의 문신으로 실학자, 서화가였던 추사 김정희를 마음으로 만나고 싶었다.
 
옛 주택은 배산임수背山臨水를 염두에 두고 지어졌다. 앞으로 펼쳐진 넓은 평야에 낮게 솟은 740m의 용산이 배산背山이 되고, 삼교천을 임수臨水로 삼은 추사 고택은 충남유형문화재 제43호로 지정돼 있다. 이 집은 추사의 증조부 김한신金漢藎이 영조의 사위가 되면서 하사 받은 저택이다. 추사는 이곳에서 유년기와 청년기를 보냈다.
 
추사 고택에서 조선 말 당대 최고의 지식인이자 명필名筆로 문화계의 중심에 있던 김정희의 삶을 생각한다. 추사의 일생은 파란만장한 삶이었다. 1840~1848년간 제주도에서 9년, 1851년 함경도 북청에서 2년 간을 유배지에서 보내야만 했다. 벼슬살이와 유배생활로 이어지는 영예와 비탄이 뒤섞인 일생이었다.
 
추사의 명작인 <세한도歲寒圖>를 본다. 초당 앞에 소나무는 어깻죽지가 꺾어져 있다. 뒤편의 잣나무는 고개를 들고 청청하다. 귀청을 울리는 바람 속에 어깨 무너져 내린 소나무는 구부정하지만 푸른 기세는 여전하다. 일체의 수식과 과장을 떨쳐버렸다. 가진 것을 다 내놓아야 혹독한 눈보라와 혹한을 견뎌낼 수 있나 보다.
 
<세한도>는 더 이상 축약할 수 없는 세계이다. 초당과 앞뒤 편에 소나무 두 그루와 잣나무 두 그루로 삼각구도를 이룬다. 세 개의 공간 분할로 생겨난 여백은 침묵 속에 빠진 산의 모습이며, 자신의 사색 공간임을 보여준다. <세한도>는 고도의 압축과 감정의 절제를 보여준다. 유배 생활의 삶과 풍경을 담아 놓은 마음의 자화상自畵像이 아닐까.
 
추사는 제주 유배지에서도 청나라의 최신간 서적을 읽을 수 있었다. 제자인 역관 이상적李尙迪이 중국에서 구해와 보내주었다. 그는 제자로부터 120권 79책에 달하는 《황조경세문편皇朝經世文編》을 받고는 크게 감격했다. 추사는 답례로 작은 집 옆에 벼락 맞아 허리 꺾인 낙락장송이 겨우 한 가지 비틀어 잔명을 보존한 형상을 그린 <세한도>를 이상적에게 주었다.
 
추사는 중국 서체를 흉내 내온 자신의 모습을 떠올려보곤 했다. 중국 문화권에 빠져서 남의 문화를 답습하고 흉내 내던 모습이 부끄러워졌다. 추사는 우리나라의 산, 강, 들판, 한국인의 성격에 맞는 선과 형태와 느낌을 글씨에 담아내고 싶었다. 우리 자연과 민족의 마음이 담긴 서체를 찾고 싶었다. 당대의 명필이란 허울과 명성을 벗어버리고, 우리나라 자연과 기후와 민족의 마음으로 빚어낸 글 체로 써보고 싶었다.
 
산 능선, 강물의 유선流線, 기와집 초가지붕의 선들이 이루는 온화하고도 힘찬 맥박과 감정을 서체에 담아보고 싶었다. 추사 서체는 제주도 등 유배 생활에서의 고독과 삶의 성찰과 자각의 발견이며 소산이었다. 대화자도 없는 유배지에서 절대 고독과 명상으로 얻은 깨달음의 필법이었다.
 
추사 고택 마당에서 40대의 아버지와 중학생쯤 돼 보이는 아들이 대화를 나누고 있다. 기둥에 붙여 놓은 주련의 글씨를 보며, "우리나라 최고의 글씨를 자세히 보아라."고 말한다. "아버지, 현대는 글씨가 소용없어요. 문자판을 치기만 하면 돼요." 중학생 아들이 가볍게 대답한다. '글씨' '서예'라는 개성의 예술이 인터넷 시대를 맞아 사라져 버렸음을 느낀다. 어느덧 개인 서체가 사라지고, 필요하지 않은 시대가 되었다.
 
추사 고택에서 당대 최고 명필을 바라본다. 붓으로 표현되는 '서예書藝'는 인터넷 시대에 진입하고 부터 사라져가고 있다. 현대는 손가락으로 문자판을 치면서 자신의 일과 생각을 기록하는 시대이다. 개인의 서체가 필요하지도 않다. 개인의 독창적인 생각과 감성이 더 필요할 뿐이다.

추사 고택에서 조선시대 후반기 최고 지식인이었던 김정희의 붓과 독창적인 깨달음의 필법을 본다. 중국의 필체에서 벗어나 우리나라 산, 바다, 강 등 자연 모습과 마음을 담아낸 추사체를 본다. 추사 고택에 와서 '붓'의 시대가 가고 '만년필'이나 '펜'의 시대도 사라졌음을 느낀다. 현대인들은 인터넷에 문자판을 치면서 자신의 삶과 생각을 기록한다. 
 
당대의 명필 김정희가 일생의 체험과 삶의 깨달음으로 얻어낸 추사체 글씨를 본다. 한자이지만, 우리 자연의 멋과 마음이 담겨 있음을 느낀다. '추사 고택'에 민족의 얼과 마음이 담긴 추사체 글씨가 기둥마다 환하게 밝혀져 있음을 본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프랙탈 2024.06.07 (금)
“오늘의 헤드라인 뉴스입니다. 어제 오후, 속칭 <버뮤다 연쇄살인>의 여섯 번째 희생자가, 다섯 번째 희생자 이후 불과 7주만에 발견되면서 사회를 다시 충격에 빠뜨린 가운데, 오늘 경찰은…” 고준호 씨는 인상을 찡그렸다. 그는 양손으로 뼈채 들고서 발라 먹던 고기를 잠시 내려놓고, 왼손 약지와 새끼손가락으로 TV 리모컨을 집어올려 홈쇼핑으로 채널을 돌려 버렸다. 고기를 먹으면서 연쇄살인 어쩌구 하는 얘기를 듣기에 고준호 씨의...
곽선영
이민자의 특징 2024.06.07 (금)
  ‘동양의 도학은 약육강식을 부도덕이라고 하지만 서양의 철학은 이기는 자만이 생존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 글을 인용한 것은 과거엔 이민을 운명, 팔자, 역마라 치부했다면 현재는 용기 있고 강한 자의 결단과 도전이라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민의 방법은 초기엔 간호사나 재봉사 등의 기술이민이 주였다면 지금은 독립이민, 기술이민. 투자이민, 초대 이민 등 다양한 통로가 있다. 초기엔 전문직이 일반적이지 않았는데 이민의...
이명희
나물 캐는 아낙의 시선 피하여길섶 풀숲 속숨어 핀 샛노란 민들레해를 사랑하여환한 꽃 피우고임 온기 느끼며 길가에 서 있다가흰 나비 애무하고 떠나간 뒤날개 단 홀씨 한 다발 들고초원 지나갈 바람 기다린다오! 바람이여저 멀리 하늘 끝에 계신 내 임에게로Please! send seeds beyond the cloudsto the end of the sky
김철훈
강물을 보네깊어지며 흐르는 거역 없는 몸짓을 보네하루를 다 날아온 고단한 태양을 눕히고어느 산기슭 떠나온 나뭇등걸도 함께 눕히고강물은 어디로 흘러가고 있는가?나를 보네팔랑이는 잔물결들 사이로 얼핏 설핏 보네정(精) 때 묻은 부모 형제 다 두고태평양 큰물 건너오던 반세기 전 그날비단결 검은 머리 스물여섯 살 새아씨여!세월을 보네꿈, 좌절, 인내들이 들락거린 한 세월을 보네일곱 번 넘어지면 여덟 번째 일어서면서고향 떠나 멀리 또...
안봉자
세 번의 외과수술 2024.06.03 (월)
우리는 지금 100세 시대를 살고 있다. 과학이 발달하여 새롭게 나날이 달라지는 세상을 산다고 했더니 어느 날 주위를 살펴보니 100세 이상 사시는 노인들을 흔하게 만날 수 있게 되었다. 60세 환갑잔치를 요란하게 치르던 때도 있었는데 언제부터인가 슬그머니 환갑잔치가 사라졌다. 그렇다고 예전처럼 100세 잔치를 성대하게 치르는 것도 아니다. 수명이 늘어난 것은 의료과학이 눈부시게 발달한 덕분이다. 이런저런 수술로 죽을 사람이 죽지 않고...
심현섭
감자 꽃 향기 2024.06.03 (월)
“할무니, 왜 이쁜 감자 꽃을 다 따분당께라우?” “꽃을 따내 줘야 밑이 쑥쑥 든다고 안 그러냐?” 초등학교 4학년 때쯤이었을까. 할머니를 따라 밭에 나갔다. 할머니는 밭을 한 바퀴 휘 둘러보시더니 감자 밭으로 가 감자 꽃을 따기 시작했다. 꽃은 꽃이고 밑은 밑일 텐데 어린 나는 잘 이해가 되지 않았다. 그런데 “니 어미가 감자 꽃을 참 이뻐했느니라.” 하시더니 눈물을 훔치셨다. 엄마가? 순간 흐린 기억으로 어머니가 감자 꽃을 바라보고...
최원현
오 월 찬가 2024.06.03 (월)
상큼한 산들바람 손등 스치고 지나가면나무를 건너뛰던 다람쥐 나도 보아 달라하고 작은 무도회를 연캐나다 구스 공연 햇살도 왜 나는 안 봐주냐며무릎에 앉았다 눈으로 보아도 들리는 님의 소리처럼
전재민
엄마의 빨랫줄 2024.05.27 (월)
그 시절 엄마는아침 설거지 마치고이불 홑청 빨래를 하곤 했다커다란 솥단지에 폭폭 삶아돌판 위에 얹어 놓고탕탕 방망이질을 해댔다고된 시집살이에마음의 얼룩 지워지라고부아난 심정 풀어보려고눈물 대신 그렇게 두드렸을까구정물 맑아진 빨래를마당 이편에서 저편으로말뚝 박은 빨랫줄에 널어놓으면철부지는 그 사이로 신나서 나풀댔다부끄러운 옷까지 대롱대롱 매달린울 엄마 늘어진 빨랫줄은 마음의 쉼터옹이 지고 구겨진 마음이훈풍에...
임현숙
사람이 사람을 피한다. 오고 가는 사람들끼리 나누던 정다운 인사는 사라졌다. 맞은 편에서 사람이 오면 ‘누가 먼저 비껴서나’ 기 싸움을 한다. 대부분 옹고집으로 뭉친 의지(?)의 한국인이 이긴다. 그러나 덩치가 검은 곰만한 사람이 전방 1미터까지 접근하면서도 비껴 설 생각조차 하지 않는다면 도리 없이 내가 양보한다. 그리고는 중얼거린다. 이것 봐라. 젊은 놈이 예의도...
이원배
아프리카 대자연의 푸른 초원과 그 속에서 자유롭게 뛰노는 온갖 야생 동물들과 그들의 사냥 장면을 지프를 타고 관찰하는 사파리 여행은 아프리카의 상징이다. 아프리카에는 남아공의 크루그, 나미비아의 에토샤, 오카방고 델타,...
정해영
푸른 달빛이 앞마당에 내려앉은 추운 겨울이에요. 턱밑에 앞발을 모은 프린스는 은별이 누나와 헤어지던 때를 생각하고 있었어요. ‘비행기를 타기 전 누나는 나를 꼭 껴안고 약속했었지, 우린 다시 만날 거라고.’프린스는 며칠 전부터 시골 은별이 누나 외할머니댁에서 살게 됐어요. 오래된 한옥 마루 밑에서 살아야 하는 믿지 못할 일이 시작됐지요. 함께 살게 된 바우는...
조정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