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추사 고택(秋史古宅)에서

정목일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4-05-27 09:50

정목일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오월 화창한 봄날에 충남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에 있는 추사고택秋史古宅을 찾아갔다. 조선 후기 대표적인 주택일 뿐 아니라, 조선 말의 문신으로 실학자, 서화가였던 추사 김정희를 마음으로 만나고 싶었다.
 
옛 주택은 배산임수背山臨水를 염두에 두고 지어졌다. 앞으로 펼쳐진 넓은 평야에 낮게 솟은 740m의 용산이 배산背山이 되고, 삼교천을 임수臨水로 삼은 추사 고택은 충남유형문화재 제43호로 지정돼 있다. 이 집은 추사의 증조부 김한신金漢藎이 영조의 사위가 되면서 하사 받은 저택이다. 추사는 이곳에서 유년기와 청년기를 보냈다.
 
추사 고택에서 조선 말 당대 최고의 지식인이자 명필名筆로 문화계의 중심에 있던 김정희의 삶을 생각한다. 추사의 일생은 파란만장한 삶이었다. 1840~1848년간 제주도에서 9년, 1851년 함경도 북청에서 2년 간을 유배지에서 보내야만 했다. 벼슬살이와 유배생활로 이어지는 영예와 비탄이 뒤섞인 일생이었다.
 
추사의 명작인 <세한도歲寒圖>를 본다. 초당 앞에 소나무는 어깻죽지가 꺾어져 있다. 뒤편의 잣나무는 고개를 들고 청청하다. 귀청을 울리는 바람 속에 어깨 무너져 내린 소나무는 구부정하지만 푸른 기세는 여전하다. 일체의 수식과 과장을 떨쳐버렸다. 가진 것을 다 내놓아야 혹독한 눈보라와 혹한을 견뎌낼 수 있나 보다.
 
<세한도>는 더 이상 축약할 수 없는 세계이다. 초당과 앞뒤 편에 소나무 두 그루와 잣나무 두 그루로 삼각구도를 이룬다. 세 개의 공간 분할로 생겨난 여백은 침묵 속에 빠진 산의 모습이며, 자신의 사색 공간임을 보여준다. <세한도>는 고도의 압축과 감정의 절제를 보여준다. 유배 생활의 삶과 풍경을 담아 놓은 마음의 자화상自畵像이 아닐까.
 
추사는 제주 유배지에서도 청나라의 최신간 서적을 읽을 수 있었다. 제자인 역관 이상적李尙迪이 중국에서 구해와 보내주었다. 그는 제자로부터 120권 79책에 달하는 《황조경세문편皇朝經世文編》을 받고는 크게 감격했다. 추사는 답례로 작은 집 옆에 벼락 맞아 허리 꺾인 낙락장송이 겨우 한 가지 비틀어 잔명을 보존한 형상을 그린 <세한도>를 이상적에게 주었다.
 
추사는 중국 서체를 흉내 내온 자신의 모습을 떠올려보곤 했다. 중국 문화권에 빠져서 남의 문화를 답습하고 흉내 내던 모습이 부끄러워졌다. 추사는 우리나라의 산, 강, 들판, 한국인의 성격에 맞는 선과 형태와 느낌을 글씨에 담아내고 싶었다. 우리 자연과 민족의 마음이 담긴 서체를 찾고 싶었다. 당대의 명필이란 허울과 명성을 벗어버리고, 우리나라 자연과 기후와 민족의 마음으로 빚어낸 글 체로 써보고 싶었다.
 
산 능선, 강물의 유선流線, 기와집 초가지붕의 선들이 이루는 온화하고도 힘찬 맥박과 감정을 서체에 담아보고 싶었다. 추사 서체는 제주도 등 유배 생활에서의 고독과 삶의 성찰과 자각의 발견이며 소산이었다. 대화자도 없는 유배지에서 절대 고독과 명상으로 얻은 깨달음의 필법이었다.
 
추사 고택 마당에서 40대의 아버지와 중학생쯤 돼 보이는 아들이 대화를 나누고 있다. 기둥에 붙여 놓은 주련의 글씨를 보며, "우리나라 최고의 글씨를 자세히 보아라."고 말한다. "아버지, 현대는 글씨가 소용없어요. 문자판을 치기만 하면 돼요." 중학생 아들이 가볍게 대답한다. '글씨' '서예'라는 개성의 예술이 인터넷 시대를 맞아 사라져 버렸음을 느낀다. 어느덧 개인 서체가 사라지고, 필요하지 않은 시대가 되었다.
 
추사 고택에서 당대 최고 명필을 바라본다. 붓으로 표현되는 '서예書藝'는 인터넷 시대에 진입하고 부터 사라져가고 있다. 현대는 손가락으로 문자판을 치면서 자신의 일과 생각을 기록하는 시대이다. 개인의 서체가 필요하지도 않다. 개인의 독창적인 생각과 감성이 더 필요할 뿐이다.

추사 고택에서 조선시대 후반기 최고 지식인이었던 김정희의 붓과 독창적인 깨달음의 필법을 본다. 중국의 필체에서 벗어나 우리나라 산, 바다, 강 등 자연 모습과 마음을 담아낸 추사체를 본다. 추사 고택에 와서 '붓'의 시대가 가고 '만년필'이나 '펜'의 시대도 사라졌음을 느낀다. 현대인들은 인터넷에 문자판을 치면서 자신의 삶과 생각을 기록한다. 
 
당대의 명필 김정희가 일생의 체험과 삶의 깨달음으로 얻어낸 추사체 글씨를 본다. 한자이지만, 우리 자연의 멋과 마음이 담겨 있음을 느낀다. '추사 고택'에 민족의 얼과 마음이 담긴 추사체 글씨가 기둥마다 환하게 밝혀져 있음을 본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천국의 삶 2024.05.27 (월)
 매일 아침 잠에서 깨어 일어나는 시간은 오전 6시경이다. 일어나자마자 수영가방을 챙겨 들고 가까운 스포츠센터인 짐(Gym)으로 운동과 수영을 하러 간다.   봄이 무르익어 어느덧 가로수들이 짙은 연녹색이며 꽃나무들이 한창이다. 1시간 30분 정도 체력운동과 수영을 마치고 나오는데, 주차장 한켠에 인도인으로 보이는 가족들이 차에서 내리는 것을 무심코 바라보았다. 그중 한 명이 30~40대로 보이는데 자그마한 체구에 얼굴은 좀 예리하게...
이종구
  오월 화창한 봄날에 충남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에 있는 추사고택秋史古宅을 찾아갔다. 조선 후기 대표적인 주택일 뿐 아니라, 조선 말의 문신으로 실학자, 서화가였던 추사 김정희를 마음으로 만나고 싶었다. 옛 주택은 배산임수背山臨水를 염두에 두고 지어졌다. 앞으로 펼쳐진 넓은 평야에 낮게 솟은 740m의 용산이 배산背山이 되고, 삼교천을 임수臨水로 삼은 추사 고택은 충남유형문화재 제43호로 지정돼 있다. 이 집은 추사의 증조부...
정목일
풍경 소리도 기도 2024.05.27 (월)
절 집 처마 끝물고기 한 마리느릿느릿 헤엄치고대웅전에 든 나의 벗엎드려 드리는 기도그 염원 깊고 깊은데앞 산 푸른 허공에걸렸다흩어지고흔적도 없다다시 밀려오는 구름에자맥질하는 물고기허공이 물속인 듯물속이 허공인 듯달강달강 기도하는달강달강 풍경소리
정금자
보리누름 2024.05.22 (수)
감꽃 피는 긴 해에새털구름 깔리고봄 가뭄 길어지니냇물허리 잘록한데찔레꽃향기 퍼지는하얀 봄날 어신 때아지랑이 현기증을풋보리로 넘은 고개풀칠 힘든 살림에해는 어찌 더디던고애틋한 배고픈 설움서로 기대 씻은 봄
문현주
어느날 갑자기 2024.05.22 (수)
2024년은 나에게 특별한 해이다. 캐나다 생활 32년만에 정말 꿈같은 일이 이루어졌다.  오랫동안 알고 지내던 지인이 한국 생활 9년만에 캐나다로 돌아와서 당분간 지내보겠다고 연락이 왔다. 그 후 나와 아내는 그분들에게 “금방 거주할 곳이 없으면 호텔 대신 우리집으로 오면 어떻겠느냐?”고 제안을 하였더니 서로 좋겠다고 하여 우리 두 가정은 7개월 동안 서로 집을 바꾸어 살기로 하였다.  이렇게 이야기가 된 지 보름만에 그들 부부는...
김유훈
주문 2024.05.22 (수)
토요일 오후 퇴근 길에 스타벅스 커피점을 지나면서 음료를 주문하려고 들렀다. 집에 있는 가족들이 생각나서 각자 먹고 싶은 메뉴를 보내라고 메시지를 보냈다. 각자 원하는 음료를 시켰는데, 아내와 큰 아들의 간단한 메뉴 선정과는 달리 딸아이의 기다란 메시지 답장이 왔다.‘그란데 사이즈로 차가운 차이 라떼 한 잔.추가 선택 사항으로는 얼음은 약간, 차이 펌프는 2번만, 블론드샷으로 에스프레소 추가, 그리고, 귀리 우유’메시지를 다 읽고도 한...
정재욱
할머니의 우산 2024.05.22 (수)
얼룩진 우산 만큼 제각기 사연을 가지고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무거운 짐도 마음의 짐도 잠시 내려 놓는다낯선 할머니 한 분버스를 타려는 한 아주머니 우산을 챙겨주고비 옷 입고 서 있는 내게도 자꾸만 기우려 주신다하나 둘 씩 버스는 떠나가고할머니는 누군 가를 기다리는지내리는 사람들 눈치를 살핀다부슬 부슬 내리던 비는 그치고저녁 햇살이 정류장을 비추자불그레진 할머니는 갑자기 환하게 웃으신다구부정한 할머니가 손자와 함께우산을...
유우영
어느 해안가 풍경 2024.05.13 (월)
고양이는 그늘에서 잠자고 아저씨는 점심 준비로 분주하다 태양은 하늘 위에 걸려있고 바람은 머릿결을 살랑살랑 딸랑거리는 자전거 소리 멀리서 들려오는 하얀 파도 소리 할머니는 집 앞에 나와 담벼락에 스치는 나뭇가지에 얘기를 걸고 오랜만에 놀러 온 손녀는 살금살금 고양이 쪽으로 까만 고양이 눈 초승달처럼 커지고 아이는 아닌 척 시치미를 땐다 밥 먹어 하는 소리에 고양이가 쪼르르...
박락준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