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한국인의 여전한 짠맛 사랑··· WHO 기준 1.5배 나트륨 섭취

이슬비 기자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4-05-30 08:43




우리나라 국민이 나트륨을 여전히 세계보건기구(WHO) 권고기준 보다 1.5배 많이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당류는 일부 어린이, 청소년 연령층에서만 과다 섭취하고 있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바탕으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5년간 우리 국민의 하루 평균 나트륨, 당류 섭취량을 분석해 30일 발표했다.

◇나트륨 섭취, WHO 권고기준보다 1.5배 많아

2018~2022년 우리 국민의 나트륨 섭취량과 2022년 성별·연령별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
2018~2022년 우리 국민의 나트륨 섭취량(왼쪽), 2022년 성별·연령별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사진=식품의약품안전처

우리 국민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2018년 3274mg에서 2022년 3074mg으로 약 6.1% 감소했다. 식약처는 국민이 나트륨을 많이 섭취하는 통로인 김치, 국·탕·찌개, 면류를 통한 나트륨 섭취량이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봤다. 실제로 면·만두류를 통해서는 나트륨 섭취량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19%, 김치류는 6%, 국·탕류는 8%, 찌개·전골류는 11%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볶음류로는 8.1% 증가했다.

다만, 여전히 WHO 권고기준인 '2000mg 이하/일'보다는 1.5배 높은 수준으로 확인됐다. 남성이 하루 평균 3576mg으로, 여성(2573mg)보다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나트륨을 섭취하는 장소는 가정이었다. 지난 5년간 음식점에서 섭취하는 나트륨 양은 감소했지만, 가정에서의 나트륨 섭취량은 약간 증가했다. 

2018~2022년 연령별 가정 내 배달·포장 음식을 통한 나트륨 섭취량
2018~2022년 연령별 가정 내 배달·포장 음식을 통한 나트륨 섭취량./사진=식품의약품안전처

특히 가정 내 배달·포장 음식을 통한 나트륨 섭취가 코로나 19 여파로, 2020년부터 큰 폭으로 증가했다. 20대와 50~65세에는 배달, 포장 음식 중 닭튀김, 30대는 떡볶이, 65세 이상은 햄버거가 나트륨 주요 급원 1위 식품이었다. 또 1인 가구에서 배달 음식으로 인한 나트륨 섭취가 다인 가구보다 많은 경향이 뚜렷했다. 배달·포장 음식보다 직접 조리했을 때 나트륨 섭취는 더 많았다. 식약처는 김치, 국·탕·찌개와 같이 나트륨 함량이 높은 음식들을 주로 가정에서 조리해 섭취하기 때문으로 봤다. 식약처는 "가정에서 국·탕·찌개 조리 시 소금, 젓갈 등의 사용을 줄이고 표고·다시마·멸치가루 등으로 대체하는 조리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권한다"며 "음식점에서 배달·포장음식을 주문할 때는 양념을 따로 요청하는 등 일상생활에서 나트륨을 적게 섭취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6~29세 여자, 당류 섭취 줄여야

2022년 성별·연령별 식품군별(4대) 당류 섭취량
2022년 성별·연령별 식품군별(4대) 당류 섭취량./사진=식품의약품안전처

최근 국민이 가공식품을 통해 섭취하는 당류 섭취량은 2018년 36.4g(1일 총 열량의 7.4%)에서 2022년 34.6g(1일 총 열량의 7.6%)으로, 비슷한 추세를 유지했다. WHO 권고기준인 1일 총열량의 10% 이하를 잘 지키고 있었다. 특히 최근 5년간 우리 국민이 당류를 많이 섭취하는 통로인 '음료류' 소비가 약 30% 증가했는데도, 음료류를 통한 당류 섭취량은 증가하지 않았다. 국민이 탄산음료 대신 당류가 적은 탄산수나 제로칼로리 탄산음료 등을, 설탕을 섞은 믹스커피 대신 블랙커피를 섭취하는 최근 소비 패턴 변화의 영향으로 보인다. 

2022년 성별·연령별 1일 총열량 대비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비율
2022년 성별·연령별 1일 총열량 대비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비율./사진=식품의약품안전처

다만, ▲여자 어린이(6~11세) ▲여자 청소년(12~18세) ▲여자 청년(19~29세)은 WHO 당류 권고 기준을 초과해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여자 어린이는 당류를 1일 총 열량의 10.3%, 여자 청소년은 10.9%, 여자 청년은 10.5%를 섭취하고 있었다. 식약처는 하루 식사에서 빵류, 당 함량이 높은 과일·채소음료류, 탄산음료 등을 상대적으로 많이 섭취하는 게 영향을 줬다고 봤다. 식약처는 "당류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는 간식으로 과자·빵·떡류 보다는 신선한 과일을 섭취하고, 커피를 마실 때는 설탕이나 시럽을 줄이며, 탄산음료 보다는 물 또는 탄산수를 마시는 등 일상속에서 당류 줄이기의 노력을 해야 한다"고 했다.

◇'영양성분 확인' 소비자… 나트륨·당류 섭취 적어

한편, 식품을 구매하기 전 '영양성분' 표시를 확인하는 게 나트륨·당류 섭취량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조사에서 영양표시를 보는 사람은 보지 않는 소비자보다 나트륨은 187mg, 당류는 3.3g 적게 섭취했다. 이를 고려해 식약처는 나트륨·당류 저감 표시 대상 식품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영양표시 확인방법 등에 대한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밍글스세계적인 레스토랑을 꼽는 ‘세계 50대 레스토랑’(World’s 50 Best Restaurants, W50B)이 최근 열린 가운데, 모던 한식당 ‘밍글스’가 국내에선 최초로 순위권 안에 들었다.16일(현지 시각)...
▲송편버섯/ 국립생물자원관국내에 자생하는 송편버섯이 근육세포를 보호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근감소증이 우려되는 중노년이나 근손실에 민감한 헬스인들에게...
캐나다 상원, 4일 만장일치로 발의안 채택
“캐나다 한인사회의 문화·다양성 알리기를”
첫 한국계 캐나다 상원의원인 연아 마틴 의원이 주도한 ‘한국 문화유산의 달’(Korean Heritage Month) 발의안이 지난 4일 상원에서 채택됐다. 마틴 의원은 5일 보도자료를 통해 아미나...
우리나라 국민이 나트륨을 여전히 세계보건기구(WHO) 권고기준 보다 1.5배 많이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당류는 일부 어린이, 청소년 연령층에서만 과다 섭취하고 있었다....
[아무튼, 주말]
[정상혁 기자의 행각]
국내 최장수 만화 ‘열혈강호’
운명의 콤비 전극진·양재현
강호(江湖)가 어지럽다. 악당이 너무 많다. 더러운 욕심으로 문파(門派)를 조직하고, 위세에 취해 법도를 유린하고, 대의를 들먹이며 착취하는 자들. 오호통재라, 일거에 쓸어버릴 방도가...
감자칩 레이즈 허니버터맛. 봉지에 한글로 '신제품' '허니버터'라고 적혀있다./Loblaws미국 유명 감자칩 브랜드 ‘레이즈’(Lay’s)가 해태제과의 허니버터칩과 유사한 맛의 제품을 최근...
한국 축구 대표팀의 차기 사령탑 후보 1순위로 꼽혔던 제시 마시(51) 감독이 캐나다 지휘봉을 잡는다.캐나다 축구협회는 14일 마시 감독이 북중미 월드컵이 열리는 2026년 7월까지 캐나다...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로얄 캐네디언이 가정의 달을 기념하여 오는 4월 22일(월)부터 100달러 효도세트 한국 무료 배송 기획전을 진행한다.로얄 캐네디언은 파이토젠, 알부민 골드, 다이어트...
법무법인 태승 ‘한국 상속 상담회’ 밴쿠버·LA서 개최
상속세 절세부터 해외 송금까지 친절한 1:1 상담
▲법무법인 태승 더 스마트 상속의 이우리 변호사(왼쪽)와 허한욱 변호사해외 거주자의 한국 상속 문제 해결에 전문화된 ‘법무법인 태승 더 스마트 상속’이 이달 캐나다...
국민의미래 비례대표 6번으로 국회의원 당선
영국대사,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등 역임
▲김건 전 주밴쿠버총영사 (외교부 제공) 대한민국 제22대 총선에서 비례대표 후보로 출마한 김건 전 주밴쿠버총영사가 국회에 입성한다.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투표에서...
4월 11일~14일, 밴쿠버 컨벤션센터서 열려
한국 30~40대 유망 작가 해외 무대 첫 선
캐나다 서부 최대 국제아트페어 ‘아트밴쿠버(Art Vancouver) 2024’에 한국 화랑 및 주목 받는 한국 작가들의 작품이 대거 참여해 눈길을 끈다. 아트컨설팅 및 전시 프로젝트를 주축으로...
한국 호감도 61%··· BC 주민·55세 이상서 높아
상위 국가는 영국·일본·이탈리아 순··· 최악은 북한
캐나다인의 한국에 대한 호감도가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기관 리서치코(Research Co.)가 7일 발표한 캐나다인의 국가 호감도 조사에 따르면, 61%의...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로얄 캐네디언이 5년 연속 브랜드 대상 수상을 기념하여 24일(수)부터 고객 감사제를 진행한다.로얄 캐네디언은 파이토젠, 다이어트 3총사 등의 스테디 셀러로 한국과...
[아무튼, 주말]
[이혜운 기자의 살롱] 골든글로브·에미상 휩쓴 ‘성난 사람들’ 이성진 감독
▲이성진 감독은 어릴 적 영화 'E.T'를 보며 꿈을 키웠고, 첫 연출작 '성난 사람들'로 에미상을 휩쓸며 미국 할리우드에 혜성처럼 등장했다. 그는 "성난 사람들 시즌 2의 기회가 주어진다면...
[WEEKLY BIZ] [Cover Story] 근무 형태 20년 연구한 스탠퍼드大 니컬러스 블룸 교수 인터뷰
그래픽=김의균·DALL E2023년은 글로벌 기업들이 이른바 ‘근태(勤怠) 전쟁’으로 골머리를 앓은 한 해였다. 코로나 사태가 물러가고 엔데믹에 접어들자 재택근무를 폐지하려는 경영진과 사무실 복귀를 거부하는 직원들 사이의 줄다리기가 연중 이어졌다.지난 5월...
내년 1월 11일부터 아포스티유 협약 시행
유학생·임시 근로자·이민자 공증 부담 덜어
내년 1월 11일부터 아포스티유 협약이 전국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공문서 인증이 보다 간소화될 것으로 보인다. BC주에서는 1월부터 국제 문서 인증 방법이 새롭게 개시, BC주민들은 곧...
NYT 칼럼 “한국 사회 위기에 빠질 것”
뉴욕타임스는 2일(현지 시각) 칼럼에서 한국의 합계출산율이 현재 수준으로 낮게 유지될 경우 흑사병이 유럽 전역을 휩쓸었던 시기보다 더 빠르게 인구가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림은 1735년 이탈리아 화가 주세페 크레스피가 그린 '역병의 퇴치'./브리태니커미국...
NYT 칼럼 “한국 사회 위기에 빠질 것” ‘‘정규 교육 위에 학원, 저출산 주 원인”
뉴욕타임스는 2일(현지 시각) 칼럼에서 한국의 합계출산율이 현재 수준으로 낮게 유지될 경우 흑사병이 유럽 전역을 휩쓸었던 시기보다 더 빠르게 인구가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림은 1735년 이탈리아 화가 주세페 크레스피가 그린 '역병의 퇴치'./브리태니커미국...
캐나다 최초의 스파클링 소주··· 청량함과 달콤함 동시에
한인 주류 유통기업 ‘코비스’, 자체 개발 레시피로 차별화
청정지역 캐나다에서 생산된 국내 최초의 스파클링 소주가 등장해 화제다. 주류 전문 수입 및 공급사 (주)코비스 엔터프라이즈(CoBees Enterprise Ltd. 대표 황선양)는 코비스 자체 브랜드인...
나노 디스플레이 분야 석학
나노미터(10억분의 1m) 수준의 초미세 소자 디스플레이(화면 표시 장치) 기술의 세계적 권위자인 김종민(67)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가 한국인 최초로 이 학교 명예교수(Emeritus Professor)가 됐다. 지난 9월 정년을 맞은 지 3개월 만이다. 케임브리지대...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