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나이는 94세, 건강검진 몸은 36세···60년을 되돌린 할머니

이와테현=성호철 특파원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4-06-17 08:01

일본 사토 할머니
애독하는 월간지를 든 사토 히데씨. 2024년 5월/이와테현=성호철 특파원
애독하는 월간지를 든 사토 히데씨. 2024년 5월/이와테현=성호철 특파원

올해 초 일본 아사히신문은 94세인 사토 히데씨 사례를 소개하면서 “경이롭다”고 보도했다. 작년 9월 일본 동북 지방의 이와테현 한 보건소 건강검진에서 기초 대사량으로 측정하는 체내(體內) 연령이 36세로 나온 것이다. 혈관 연령은 20세였다. 그는 키 163㎝, 체중 63.5㎏으로 평균적인 체형이지만, 그의 생체 나이는 결코 평범하지 않은 것이다.

사진=성호철, 그래픽=김의균
사진=성호철, 그래픽=김의균

사토씨의 평균 체질량 지수(BMI)는 23.9, 체지방률 25%, 근육량은 44.6㎏이다. 건강한 30대 여성의 신체다. 보건소 측은 기계 이상을 의심하고 서너번 체크했다고 한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 지난달 30일 도쿄에서 동북쪽으로 500㎞ 떨어진 이와테현에서 사토 히데씨를 만났다.

‘구구팔팔(99세까지 팔팔하자 살자)의 비밀을 묻기 위해 왔다’는 이야기에 사토씨는 “아직 백 살도 안 됐다”면서 웃었다. 그는 매일 아침 6시에 일어나, 라디오를 들으며 체조하고 낮에는 재봉틀에서 손을 움직이며 인형을 만들거나 옷을 리폼한다. 몸을 움직이지 않을 때엔 글씨가 빼곡한 잡지를 나안(裸眼)으로 읽는다. 엘리베이터는 안 타고 계단을 걸어 다닌다. 매일 고기·생선 같은 단백질을 섭취한다. 튀김은 싫어하지만 야채·과일을 좋아한다. 밤 11시쯤 자는데, 그 직전 목욕하면서 물속에서 발차기를 500회씩 한다.

사토씨는 “동일본 대지진 때 10미터 넘는 쓰나미가 동네를 덮쳐 친척 7명이 죽었다”면서 “소녀 시절이던 1945년엔 폐허가 된 도쿄에서 풀죽도 먹어봤고, 삶의 처참함을 겪어봤다. 이를 통해 난 삶의 고귀함을 배웠다”고 했다.

그래픽=김의균
그래픽=김의균

일본 이와테현 리쿠젠타카타시(市)의 한 아파트. 초인종을 누르자 “하~이” 하고 높은음의 목소리가 들렸다. 1930년 7월생인 사토 히데씨다. 올해 나이가 94세지만, 체내 연령은 36세로 측정돼 올해 초부터 일본에서 큰 화제를 모았다.

그가 혼자 사는 임대아파트엔 먼지 하나 없었다. 사토씨는 “매일 혼자 세 끼 식사를 차리고 설거지하고 청소한다”고 했다. 그는 또한 “가족과 사는 70·80대 노인들을 보면, 가족들이 자꾸 대신 뭔가 해주니 본인은 움직이지 않게 되고 금방 쇠약해진다”면서 “나는 혼자 다 해야 하다 보니 계속 움직여서 덕분에 건강한 게 아닐까”라고 했다. 두 시간가량 인터뷰하는 동안에도 사토씨는 쉴 새 없이 말하며 다과를 내놓고, 사진이나 잡지를 보여주는 등 끊임없이 움직였다.

-94세인 당신에게 인생이란.

“81세에 동일본대지진을 만났다. 이때 삶을 찬찬히 다시 생각했다. 당시 (쓰나미로) 친척만 7명이 죽었다. 조카딸도 죽었는데 뭔가 하고 싶었다. 헝겊을 꿰매 인형을 만들어 죽은 조카의 엄마에게 건넸더니, 펑펑 울더라. 인형을 딸로 본 것이다. 이후엔 줄곧 인형을 만들어 주변에 나눠주고 있다. ‘다른 사람과 함께 사는 것’, 그 자체가 인생이다. 즐겁다. 주변 사람들과도 항상 즐겁게 살고 있다. 그러니 나중에 나 죽어도, 제발 고독사(孤獨死)라고 쓰지 마라. 왜 그게 고독사냐.

1945년 2차 세계대전 폭격으로 불에 타 폐허가 된 도쿄를 봤다. 큰 냄비에 풀죽을 끓여 그릇에 나눠 먹었다. ‘산다는 것’의 참담함을 봤고, 산다는 것의 고귀함도 동시에 느꼈다.”

-하루 일과는.

“매일 6시에 일어난다. 방 침구를 정리하고 아침 식사를 미리 준비해 놓곤, 6시 반에 NHK 라디오방송에 맞춰 ‘라디오 체조(우리나라의 국민체조와 유사)’를 한다. 천천히 아침 먹고, 꼭 NHK 아침 드라마를 본다. 9시 30분부턴 인형 만들기를 시작한다. 집 안 정리는 매일 한다. 2~3일에 한 번 청소기도 돌린다. 식사는 매일 세 끼를 직접 만들어 먹는데, 꽤 많은 양을 먹는다(웃음). 매주 두 번씩 장을 볼 때마다 채소를 무척 많이 산다. 아침엔 밥·국에 생선·고기를 먹고, 낫토(콩 발효식품)도 먹는다. 잠은 밤 11시쯤에 잔다. 자기 직전인 밤 10시쯤 목욕하면서 물속에서 발차기를 500회 정도 한다.”

-단백질을 매일 먹나.

“생선과 고기는 꼬박꼬박 먹는다. 생선은 말린 걸 사서 냉동해 놓는다. 보통은 구워서 먹는다. 기름으로 튀긴 생선은 별로 안 좋아해서다.”

-별도로 하는 운동은.

“특별한 운동은 하지 않지만 여기가 2층이기 때문에 계단을 오르내리고 있다. 내과 의사 선생님은 100세까지 살려면 6층 정도의 계단은 올라가야 한다는데, 집은 2층이라서 그건 무리다. 산책은 집 근처를 왔다 갔다 한다. 큰길로도 산책을 가고 싶은데, (그곳엔) 중간에 앉아서 쉴 벤치가 없어서 못 가고 있다. ‘나의 늙음’을 이럴 땐 조금 실감한다.”

-병원은 정기적으로 가나.

“매주 금요일 데이 서비스(주간 보호 서비스)에 간다. 70세 때 치매가 온 조카며느리를 데리고 다닌다. 데이 서비스에선 체온을 재주고 가벼운 체조도 하고, 종이접기 같은 뇌 운동도 하고 많이 배운다. 낮엔 자유 시간인데, 다른 노인들은 낮잠 자거나 수다를 떨지만, 난 시간이 아까워서 이 시간엔 옷 리폼을 배운다. 88세쯤부터 새롭게 시작한 일이다.”

사토씨는 방에 가지런히 걸린 열 벌가량의 현대식 기모노를 가리켰다. “기모노를 리폼한 것이다. 옛날 재봉틀은 발을 사용하는데 요즘 재봉틀은 그게 없더라. 지인들이 놀러오면 꼭 입어본다. 달라고 하면 준다. 재밌어서 이렇게 자꾸 새로운 걸 배운다. 리폼한 옷은 간혹 팔아서 커피 값 등에 쓴다.”

-잠은 금방 드나.

“이불 속에서 깊게 들이마시고 내쉬는 호흡을 5번씩 한다. 체형 교정 선생님이 가슴을 활짝 펴는 게 좋다고 해서,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호흡하자마자 곧장 잠든다. 밤에 간혹 깨기도 하지만 화장실에 갔다와서 다시 잠에 잘 드는 편이다. 하루 7시간쯤 잔다. 자기 전 휴대폰은 하지 않고, 커튼을 쳐서 어둡게 해놓고 잔다.

-신문·잡지 읽는 것도 좋다던데.

“지치(致知)라는 월간지를 정기 구독한다. 배달 오면 그 자리에서 다 읽고, 나중엔 한가할 때 다시 읽는다. 재봉질할 마음이 없을 때, 조금 피곤할 때도 글을 읽는다. 잡지를 읽는 이유는 지식을 보충해 지인들과 즐겁게 대화하기 위함이다. 주변 사람들과 자주 만나고, 전화도 자주 한다. 이야기 상대가 10명은 넘는다.”

-술·담배는 하는지.

“젊은 사람들과 종종 맥주 마시는 것도 좋아한다. 젊은 사람들이 맛있게 맥주를 마시니, 나도 마셔봤다. 요즘은 일주일에 2~3번 정도 저녁에 드라마 보며 한 캔씩 마신다.”

-몸무게는 일정한가. 건강 보조제도 먹는지.

“평생 60~65㎏을 유지하고 있다. 건강 보조제는 따로 먹지 않는다. 보조 식품보다 식사를 제대로 하는 게 낫지 않은가?

최근엔 난생처음 인스턴트 라면도 먹어봤다. 지인에게 재봉질한 옷을 줬더니 답례로 주더라. 맛있었다. 단, 염분이 많아, 국물은 안 마셨다. 우동·소바 먹을 때도 국물은 안 마신다. 내가 만든 된장국은 국물까지 마신다. 잘 아는 가게에서 산 좋은 된장이라서 괜찮다.

커피보단 차를 마시고, 과일은 매일 먹는다. 와인도 마시고 아이스크림도 먹는다. 의사는 안 된다고 하지만 디저트도 먹는다. 맛있으니까(웃음).”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사진출처= Wikimedia테슬라가 전기 픽업트럭 ‘사이버트럭’ 부품 결함에 대해 2만여 대 규모의 리콜을 실시하기로 했다.25일(현지시각) AP통신 등 여러 외신에 따르면 이날 미국...
▲@nancy10in/Instagram승객 125명을 태우고 인천국제공항을 출발해 대만 타이중으로 가던 대한항공 여객기가 ‘여압 장치’ 고장으로 긴급 회항하는 일이 발생했다. 여압 장치는 항공기 내부...
텍사스 휴스턴 일대 치안을 책임지는 해리스 카운티 보안관 에드 곤살레스가 지난 19일(현지시간) 엑스(X·옛 트위터) 계정에 휴스턴 외곽의 '용인 태권도' 관장 안한주 씨 가족의 용감한...
벌써 시작된 북반구 폭염 '비상'
섭씨 43도. 지난 17일 그리스 남부의 한낮 평균온도다. 그리스엔 이달 가마솥 같은 더위가 계속돼, 9일 동안 관광객 여섯 명이 숨지거나 실종된 것으로 알려졌다.로이터에 따르면, 17일...
일본 사토 할머니
애독하는 월간지를 든 사토 히데씨. 2024년 5월/이와테현=성호철 특파원올해 초 일본 아사히신문은 94세인 사토 히데씨 사례를 소개하면서 “경이롭다”고 보도했다. 작년 9월 일본 동북...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12일 기준금리를 동결한다고 밝혔다. / Federal Reserve Flickr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는 12일 기준금리를 연 5.25~5.50%로 동결했다. 지난해 9월부터 이번까지 7회 연속 동결로,...
미국 보스턴 외곽의 ‘H마트’ 벌링턴점에 아시아 식품을 사러온 고객들이 매장에 들어가기 위해 줄을 지어 기다리고 있다. /조선일보 DBH마트(한아름마트) 등 미국 내 틈새시장을 노렸던...
美 퓨리서치센터 34국 국민 여론조사
관세 부과, 방위비 인상 압박 등 영향 분석
조 바이든(왼쪽) 미국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전 대통령. /유튜브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세계 각국 국민 중 40%가량은 민주당 소속 조 바이든 현 대통령이 연임하기를 바라고 있다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TED Conference Flickr미국 전기자동차 업체 테슬라에 초기 투자했던 기관투자가들이 이제 테슬라에서 손을 떼고 있다. 과거의 화려했던 시절은 다시 오지...
세계 최대 자동차 제조 회사인 일본 도요타자동차가 국가의 품질 인증(형식 지정)을 받는 과정에 부정행위를 저질렀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올해 초 도요타 계열사 인증 부정으로 논란이...
크루즈 여행 이미지(왼쪽)와 카니발 크루즈 여행을 취소당한 티파니 뱅크스. /뉴욕포스트미국의 한 가족이 소셜미디어에 호화 크루즈 여행 계획을 자랑했다가 예약번호가 노출되는 바람에...
  지난 26일 카타르 도하에서 아일랜드 더블린으로 향하던 카타르항공 여객기가 난기류를 만나 탑승자 12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더블린공항은 해당 여객기가 튀르키예 상공에서...
미국의 유명 해산물 레스토랑 체인 ‘레드랍스터’가 파산 절차를 시작하면서 자산을 매각하고 매장 수를 줄이는 등 구조조정을 시행할 계획이다. 단돈 20달러(2만7300원)에 새우를...
자료사진/Singapore Airlines런던에서 출발한 싱가포르항공 여객기가 심각한 난기류에 부딪혀 1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벌어졌다.BBC에 따르면 런던 히드로 공항에서 출발해 싱가포르로 향하던...
11일(현지시각) 미 매체 비즈니스인사이더는 2015년부터 탈모로 고통받다가 튀르키예에서 모발이식 시술을 받은 기자 스펜서 맥노턴의 체험기를 보도했다. /비즈니스인사이더 보도화면...
미국 내에서 곤충을 식재료로 사용하는 새로운 시도로 주목받고 있다며 매미를 식용 곤충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했다. /뉴욕타임스 보도화면 캡처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미국...
영국-스웨덴 다국적 제약사인 아스트라제네카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백신 시장에서 철수한다. 백신 수요 급감에 따른 결정이다.7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아스트라제네카는...
실버 노동력 썰물···숙련공 이탈하고, 성장 잠재력도 제한시켜
그래픽=김의균1967년 1월 첫째 주. 미국 시사 주간지 타임은 1966년 올해의 인물을 표지에 실었다. 당시 올해의 인물로 꼽힌 것은 ‘25세 이하의 사람들(Twenty-Five and Under)’. 1927년부터 이...
제롬 파월 연준 의장 /Federal Reserve Flickr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는 1일 기준금리를 연 5.25~5.50%로 동결했다. 지난해 9월부터 이번까지 6회 연속 동결이다. 연준은 지난해 12월 발표에서 ‘연내...
오버투어리즘(과잉 관광)으로 몸살을 앓아온 대표적인 관광도시인 이탈리아 베네치아가 25일부터 관광객들을 상대로 도시 입장료를 받기 시작했다.전날 베네치아 구시가지로 연결되는...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