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주 고용 승인 서류 접수(Job Approval Form) 일시 중단, 일부 주정부 이민 어려워져
Justin Shim
justin.shim@cannestimm.com
글쓴이의 다른 글 보기
캐나다 연방 정부가
사스카츄완 이민자 지명 프로그램(SINP)의 할당량을 2025년부터 50% 감축하기로 결정하면서, 사스카츄완 주정부는 새로운 Job Approval Form(JAF) 접수를 일시 중단하였습니다. 이는
사스카츄완을 통한 취업 기반 이민을 준비하던 많은 신청자들에게 큰 변화를 의미하며, 주 내 기업과 경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칼럼은 해당 조치의 배경과 영향 및 앞으로의 대안에 대해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다.
JAF는 사스카츄완 주정부가 고용주의 외국인 채용을 승인하는 공식 문서로,
SINP에서 특정 스트림의 필수 요건이었습니다. 특히, 사스카츄완에서
외국인을 고용하려는 고용주는 반드시 JAF 승인을 받아야 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외국인 근로자가 SINP를 신청할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JAF는 고용주와 이민 신청자를 연결하는 요소로 이번 접수 중단으로 인해 일부 스트림의 이민 절차가 사실상 중단될
수 있습니다.
SINP는 크게 네 개의 주요 스트림으로 나뉘며, 그중 일부 스트림에서 JAF가 필수적입니다. 국제 기술 노동자 스트림 중 Employment Offer 카테고리는 사스카츄완 내 고용주로부터 잡오퍼를 받아야 하며, 이 과정에서 고용주는 사전에 JAF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또한, 사스카츄완 경험 스트림에서는 숙련 노동자(Existing Work Permit), 농업 및 서비스업 종사자(Semi-Skilled
Agriculture Worker, Hospitality Sector Worker), 보건 전문가(Health
Professionals) 등이 영주권 신청 시 JAF를 반드시 제출해야 했습니다. 이번 JAF 접수 중단으로 인해 가장 큰 타격을 받는 스트림은 국제
기술 노동자 스트림과 사스카츄완 경험 스트림으로 외국인 근로자 채용이 불가능해져 신규 취업 기반 영주권 신청이 어려워졌습니다. 특히, 사스카츄완 내에서 이미 근무 중이던 외국인들도 JAF가 필요했던 일부 직군에서는 영주권 신청이 제한될 수 있어, 이민
계획에 차질이 예상됩니다.
SINP를 통한 취업 기반 이민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신청자들은 대체
이민 경로를 검토해야 합니다. 특히, 최근 새롭게 도입된
농촌 및 커뮤니티 이민 파일럿(RCIP) 프로그램, 케어기버(Caregiver) 파일럿 프로그램이나 Express Entry 프로그램
등 연방 정부 이민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또는 다른 주의 PNP 프로그램 중 가능한 경로를 찾아볼 수도 있습니다.
여러 상황을 고려해
보면, 유학 후 이민을 고려하는 것도 대안입니다. 특히, 캐나다에서 졸업 후 취업이 가능한 비자인 PGWP(Post-Graduation
Work Permit)를 받을 수 있는 학과들은 캐나다 경제에서 필수적인 산업과 연계되어 있습니다.
현재 캐나다 정부는 헬스케어, STEM, 기술, 농업
및 농식품업, 운송, 교육 등 인력 수요가 높은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이민자를 유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산업들은 노동력 부족을 해소하고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핵심 요소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 학과를 졸업한 유학생들은 영주권 신청 시 유리한 조건을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간호학, 데이터 과학, 소프트웨어 개발, 유아교육(ECE) 및 기술직을 전공한 졸업생들은 PGWP를 통해 취업 후 PNP나 Express Entry 경로 등을 통해 영주권 신청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에 따라, 캐나다에서 학업을 고려하는 유학생들은
단순히 졸업장을 획득하는 것뿐만 아니라, 향후 이민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산업과 전공을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캐나다에서 학업을 마친 후 취업 및 영주권을 신청하는 방식으로, 사스카츄완에서 공부 후 PNP를 통한 영주권을 받으려던 유학생들은
다른 주의 유학 후 이민 프로그램을 검토해야 합니다.
이번 JAF 중단 조치로 인해 취업 기반 SINP를 준비하던 신청자들은
새로운 전략을 고민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캐나다는 여전히 숙련된 인력이 필요한 산업을 중심으로
이민 문호를 열어두고 있으며, 다양한 대체 경로가 존재합니다.
Express Entry 점수를 높이거나 다른 주의 PNP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유학 후 이민을 통해 캐나다 내에서 학업을 마치고 현지 취업을 통해 영주권을
신청하는 경로도 고려할 만합니다. 캐나다의 이민 정책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므로, 최신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본인의 상황에 맞는 최적의 경로를 선택해야만 합니다. 앞으로도 변화하는 정책 흐름을 면밀히 살피며,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성공적인 이민을 위한 핵심이 될 것입니다.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