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2025년 캐나다 영주권 취득을 위한 7가지 주요 경로

Justin Shim justin.shim@cannestimm.com 글쓴이의 다른 글 보기

   

최종수정 : 2025-03-14 13:43


캐나다 이민 정책이 다소 경직된 경향이 있어 우려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캐나다는 여전히 매년 수많은 이민자를 받아들이고 있으며, 다양한 경로를 통해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2025년에는 39 5천 명의 새로운 영주권자 선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여러 경로를 통해 이민자에게 영주권을 부여할 계획입니다. 이번 칼럼에서 대표적인 7가지 이민 경로를 다루고자 합니다.

 

첫째, Express Entry는 캐나다 연방 정부의 대표적인 이민 프로그램입니다. 숙련된 노동자가 신속하게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하위 경로로 숙련자 이민(FSWP), 경험 이민(CEC), 기술직 이민(FST) 등이 있으며, 이 중 프랑스어를 비롯해 STEM, 헬스케어 및 사회복지, 교육, 기술, 농업 및 농식품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별도의 선발을 진행합니다. 해당 카테고리에 포함될 경우 더 낮은 점수로도 선발될 수 있으며, 특히 2025년부터 유아교사(ECE)와 초·중등 보조교사가 포함된 교육 분야뿐만 아니라, 기술 분야에서는 요리사(Cook) 등 한국인이 선호하는 직업군이 대상이 되어 영주권 취득이 한층 유리해졌습니다.

 

 둘째, 주정부 지명 프로그램(PNP)도 주요 이민 경로입니다. 캐나다 각 주와 준주는 지역 경제에 필요한 인력을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유치하고 있습니다. 기존보다 선발 인원이 50% 감소했지만, 여전히 PNP는 주요 이민 경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브리티시컬럼비아 BC PNP, 온타리오 OINP, 알버타 AAIP, 사스카츄완 SINP 등이 주요 프로그램이며, 일부 PNP Express Entry와 연계되어 추가 점수를 부여하기도 합니다.

 

 셋째, 대서양 이민 프로그램(AIP)은 캐나다 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해당 지역은 뉴브런즈윅, 노바스코샤,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이며, 숙련 인력과 국제 졸업생을 유치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AIP는 고용주가 주도하는 프로그램으로, LMIA 없이도 정규직 잡오퍼를 받을 수 있으며 대서양 지역 대학 2년 이상의 학업을 마친 국제 학생은 경력 없이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넷째, 비즈니스 이민입니다. 비즈니스 이민은 캐나다에서 사업을 운영하거나 투자하려는 지원자를 위한 경로로, 스타트업 비자(Start-Up Visa Program)와 각 주의 기업가 이민(Entrepreneur Programs)이 포함됩니다. 스타트업 비자는 캐나다의 지정된 벤처 캐피털, 엔젤 투자 그룹 또는 인큐베이터의 지원을 받아 혁신적인 비즈니스를 창업하는 경우 영주권을 신청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또한 대부분의 주에서 기업가 및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PNP 비즈니스 스트림을 운영하고 있어, 일정 수준 이상의 투자금과 사업 운영 경험이 있는 지원자라면 고려해 볼만합니다.

 

 다섯째, 가족 초청 이민입니다. 캐나다 시민권자 또는 영주권자는 배우자, 사실혼 파트너, 자녀, 부모 및 조부모를 초청할 수 있습니다. 배우자 및 자녀 초청 이민은 비교적 빠르게 진행되며, 배우자는 오픈 워크 퍼밋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모 및 조부모 초청 프로그램(PGP)은 추첨 방식으로 진행되며,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장기 방문을 원하는 경우 슈퍼비자(Super Visa)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슈퍼비자는 최대 10년 동안 유효하며, 한 번 방문하면 최장 5년 동안 연속 체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여섯째, 홈 케어 워커 이민 파일럿(Home Care Worker Immigration Pilots)입니다. 2025 3 31일부터 개편되어, 홈 케어 분야 종사자는 도착 즉시 영주권을 부여받을 수 있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신청자는 CLB 4 이상의 영어 능력,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 6개월 이상의 관련 경력 또는 학력을 갖추어야 하며, 고용주로부터 풀타임 잡오퍼를 받아야 합니다.

 

 일곱째, 농촌 및 지역사회 이민 파일럿(RCIP, Rural Community Immigration Pilot) 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농촌 지역의 노동력 부족을 해결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목표로 캐나다 전역 14개 지역의 참여합니다. 지원자는 해당 커뮤니티 내에서 정규직 잡오퍼를 받아야 합니다.

 

 2025년 캐나다 영주권 취득을 위해서는 본인의 경력, 학력, 언어 능력 그리고 정착 희망 지역에 맞는 최적의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Express Entry의 카테고리 기반 선발을 적극 활용하거나, PNP에 유리한 직업을 통해 영주권을 취득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가족 초청 및 케어기버 프로그램 등 다양한 경로도 마련되어 있으므로, 지원 가능성을 최대한 넓히기 위한 선택이 지금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