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25일, 캐나다 이민부(IRCC)는 Express Entry 제도에 중대한 변화를 도입한다고
공식 발표하였습니다. 그동안 Express Entry 지원자들에게는
캐나다 고용주로부터 받은 유효한 잡오퍼에 대해 CRS(Comprehensive Ranking System, 종합
순위 점수) 점수를 추가로 제공해 왔습니다. 하지만 이번
발표로 해당 점수는 더 이상 부여되지 않게 되었습니다. 이는
Express Entry를 통해 영주권을 목표로 하는 수많은 지원자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캐나다
이민 전략 전반에도 상당한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보입니다.
기존 제도 하에서는 지원자가 고위관리직(NOC 00 그룹)에 해당하는 잡오퍼를 보유한 경우 200점, 그 외 숙련직의 경우 50점의
CRS 점수를 추가로 받을 수 있었습니다. 이 점수는 지원자의 기본 인적 자본 점수와 결합되어
초청장(ITA, Invitation to Apply) 발급 여부를 결정짓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예를 들어, 500점 내외의 점수를 기록한 지원자가 50점의 잡오퍼 점수를 추가로 획득할 경우, 경쟁력 있는 범위인 550점으로 도약할 수 있었고, 이는 대부분의 초청 기준을 충족하는
수준이었습니다.
하지만 해당 점수 혜택은 사라지게 되었고, 이민부는
이 조치를 ‘임시적’이라고 설명하였으나, 재도입 여부나 시점에 대한 언급은 없어, 사실상 장기적인 방향 전환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잡오퍼 점수에 의존하던 많은 지원자들은 CRS 점수가 대폭 하락하게 되어 ITA를 받기 어려워질 수 있게
됩니다. 특히 NOC 00군에 해당되어 200점의 가산점을 받던 일부 지원자들은 300점대 후반 혹은 400점 초반으로 점수가 떨어지며, Express Entry를 통한
영주권 획득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다만 이미 초청장을 받은 지원자나 영주권 신청이 접수되어
심사가 진행 중인 경우에는 기존 점수가 그대로 유지되며, 새 정책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여전히 잡오퍼는 연방 기술직 이민(Federal
Skilled Trades Program)에서는 필수 요건으로 작용하고, 연방 기술 이민(Federal Skilled Worker Program) 및 일부 주정부 이민 프로그램(PNP)에서도 자격 요건을 충족하거나 심사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합니다. 캐나다
이민부는 여전히 잡오퍼 정보를 Express Entry 프로필에 포함할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잡오퍼는 여전히 다양한 경로에서 활용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이번 조치에는 제도 악용을 방지하려는 목적이 깔려 있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과거 일부 사례에서 허위 또는 형식적인 잡오퍼와 LMIA를 통해 CRS 점수를 인위적으로 끌어올리는 시도가 있었으며, 이로 인해 시스템의
공정성과 신뢰성에 대한 문제 제기가 있었습니다. 또한, 잡오퍼가
없는 지원자와의 점수 격차가 지나치게 커지면서, Express Entry의 취지인 ‘핵심 인적 자본
중심 이민’에 반한다는 지적도 있었습니다.
앞으로 Express Entry를 통한 영주권
취득을 위해서는, 지원자에게 보다 전략적인 접근이 요구됩니다. 영어
또는 불어 등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거나 캐나다 내 학위 취득이나 경력 쌓기를 통해 추가 점수를 확보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또한 배우자의 언어 능력과 학력 등을 활용해 점수를 보완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주정부 지명(PNP)을 통한 영주권 지원은 여전히 600점이라는
강력한 가산점을 제공하므로, 유력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Express Entry의 이번 잡오퍼 점수 폐지 조치를 통해, 캐나다는 보다 자격 기반의 이민, 즉 언어 능력, 학력, 경력
등 인적 자본이 우수한 인재에게 기회를 더욱 넓히려는 의지를 드러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민을 준비하고
있는 분들은 이에 따라 각자의 상황에 맞는 전략을 다시 점검해 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이제 새로운 기준
아래에서 보다 철저한 준비를 통해, 캐나다 이민의 문을 두드려야 할 때입니다.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