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 관세 면제에도··· 美 관세 압박 여전
캐나다가 미국산 차량에 25%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며, 트럼프의 무역 압박에 정면으로 맞섰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3일 오타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미국에서 수입되는 CUSMA(캐나다-미국-멕시코 협정) 미준수
차량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CUSMA를 준수하는
미국산 차량의 비캐나다산 부품에도 동일한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 2일 모든 수입품에 대해 10%의 기본 관세(baseline tariff)를 부과하고, 주요 교역국에 대해 징벌적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를
추가로 적용할 계획을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이중 기본 관세는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대상이 아닌 모든 수입품에 적용된다. 캐나다는 이미 USMCA 비준수 품목에 대해 25%의 관세를 납부하고 있기 때문에, 에너지나 칼륨 광석과 같은
특정 품목에만 10%의 별도 관세가 부과된다.
캐나다는 세계 60여개 교역국을 대상으로 하는 상호 관세 부과 대상에는
제외됐으나, 캐나다산 자동차, 철강, 알루미늄 등 제품에 대한 기존 관세는 그대로 유지된 상태다.
카니 총리는 이번 조치가 “미국에 최대한의 영향을 주면서 캐나다에는
최소한의 타격만 주도록 설계됐다"며 "앞으로의 길이 험난하겠지만, 무역 전쟁 속에서 캐나다가 신중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캐나다는 이미 트럼프의 관세에 대응해 3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한 바 있으며, 여기에는
오렌지 주스, 와인, 주류 등의 품목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캐나다는 트럼프의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에 대응해 3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과 기타 수입품에 대해 유사한 관세를 부과했다. 연방 정부는 미국이
캐나다 제품에 대한 모든 관세를 철회할 때까지 이러한 보복 조치를 계속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총리실에 따르면, 캐나다 정부는 며칠 내로 57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차량에 대해 관세를 부과할 예정으로, 구체적으로
관세가 적용되는 대상은 북미산 부품 비율이 75% 미만인 자동차 및 경트럭이다. 이는 미국에서 캐나다로 수출되는 차량의 약 10%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연간 약 6만7000대
정도로 추정된다.
카니 총리는 "보복 관세를 통해 확보되는 수익은 약 80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며 "이 80억 달러는 전액 캐나다의 자동차 업계 근로자와 영향을 받는 기업들의 지원에 사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국의 관세 압박이 더욱 강화될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있다. 백악관은 2일 "기존의
펜타닐 및 이민 관련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에 따른 명령이 종료될 경우, USMCA 준수 품목은 여전히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비준수 품목에
대해서는 12%의 상호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는 앞으로 추가적인 관세도 예고했다. 이에 따라
캐나다가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분야로 구리, 의약품, 반도체, 목재 등이 거론되고 있다.
최희수 기자 chs@vanchosun.com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