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일에도 에어캐나다 항공편 운항 무산
카니 총리 “조속한 타결”··· 추가 입장 예고
카니 총리 “조속한 타결”··· 추가 입장 예고
에어캐나다 승무원들이 연방정부의 업무복귀 명령을 거부하고 파업을 이어가면서 18일(월)에도 항공편 정상 운항 재개가 무산됐다. 항공사는 승객들에게 다른 항공사 예약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 공항에 나오지 말 것을 당부하고, 운항 여부를 확인하라고 안내했다.
노조를 대표하는 캐나다공공노조(CUPE)는 협상이 중재 절차로 넘어간 뒤에도 “아직 끝나지 않았다”며 파업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에어캐나다는 노조의 행위를 불법이라고 규정했으며, 캐나다 산업관계위원회(CIRB)는 승무원들에게 정오(동부시간)까지 복귀할 것을 명령했다. CIRB는 전날 심리를 거쳐 파업이 불법이라고 판정하고, 노조 지도부와 개별 조합원들에게 즉시 업무에 복귀하라고 지시했다. 그러나 노조는 해당 명령을 연방법원에 제소했다.
노동전문 변호사 순딥 고칼레는 “이 같은 노조의 불복은 오랜만”이라며 1970년대 퀘벡 공공부문 노조연합(FRONT COMMUN) 지도부가 복귀 명령 거부로 투옥된 사례를 언급했다. CUPE 에어캐나다 지부 웨슬리 레소스키 의장은 “명령 불복의 결과를 감수하겠다”며 전국 지부의 지지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정치권에서도 잇따라 입장이 나왔다. 더그 포드 온타리오주 총리는 “모든 근로자가 정당한 임금을 받아야 한다”며 “노사가 대화에 나서야 하지만 무엇보다 항공편 운항이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크 카니 총리는 “승무원들이 언제나 공정한 보상을 받아야 하지만, 수십만 명의 국민과 방문객들이 피해를 보고 있는 만큼 신속한 타결이 필요하다”며 “정부가 곧 추가 입장을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사태 장기화로 승객 불편도 커지고 있다. 토론토 피어슨 공항에서 한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P.E.I) 출신 승객은 “아들이 집에서 기다리고 있는데 돌아가지 못해 불안하다”며 “돌아가는 비용을 스스로 부담해야 할지 몰라 걱정”이라고 말했다. 캘거리 공항에서는 신혼여행을 떠나려던 부부가 항공편 취소로 난감해했고, 멕시코 칸쿤행 여객들은 에드먼턴·덴버·샌프란시스코를 거치는 20시간 가까운 우회 항공편으로 변경돼야 했다. 해당 비용은 약 2만2000달러에 달했으며, 에어캐나다가 부담했다.
에어캐나다는 이번 파업으로 3분기 및 연간 실적 전망을 철회한다고 발표했다. 항공사는 당초 3분기 공급량 증가와 연간 조정 영업이익(EBITDA)을 32억~36억 달러로 예상했지만, 이번 사태로 전망이 보류됐다.
한편 CUPE는 토론토·몬트리올·밴쿠버·캘거리 공항에서 시위를 이어가며 정부가 에어캐나다 측 요구를 수용했다고 비판했다. 마크 핸콕 CUPE 전국위원장은 “정부와 기업이 어떻게 막으려 해도 우리는 끝까지 싸울 것”이라며 “미지급 노동의 부당함이 사라질 때까지 의회와 법원, 거리에서 계속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희수 기자 chs@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