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인터뷰] 권병현 재외동포재단이사장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3-06-06 00:00

"한상(韓商) 네트워크는 상생(相生)위한 공동우물” 참정권 회복은 헌법상의 권리회복
재외동포재단은 재외동포들의 민족적 유대감을 조성하고 거주국에서의 지위 향상을 위해 지난 97년 설립된 한국 외교통상부 산하의 비영리 공공법인이다. 그 동안 재외동포 사회 발전 및 권익향상과 민족문화와 정체성 유지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한상(韓商) 네트워크를 강조 해온 권병현 이사장을 미주 식품상 연합회(National KAGRO)가 주최한 간담회장에서 만났다.



밴쿠버는 첫 방문인데 소감은?



“마치 시집간 누이가 어떻게 사는지 보고 싶어온 친정 오라비 같은 심정이다. 천혜의 자원과 환경을 가진 캐나다에 살고 있는 많은 교민들은 정말 축복 받은 삶을 누리고 있는 것이다”



한상(韓商) 네트워크를 추진하고 계신데?



“이스라엘의 성공과 중국의 발전은 모두 세계에 뻗어나가 있는 유대인과 화교들의 힘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세계 150여개국에 나가있는 한민족 재외동포들은 600여만명이나 되는 민족의 소중한 자산이다. 이들을 하나로 연결하고 유통망과 정보망을 확보함으로써 상생(相生)을 위한 공동의 우물을 마련하려는 것이다.”



“600만 재외동포는 수적으로는 한국 인구의 8분의 1 정도이지만 경제적 비중은 이보다 더 큰 4분의 1 정도의 자산가치를 갖고있는 우리민족의 중요한 물적, 인적 자산인 만큼 이를 한데 모을 경우 엄청난 시너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중국적 허용문제는 재외 동포들의 최대관심사다. 이점에 대해서는?



“최근에는 중국까지도 전향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이중국적은 세계적인 추세에 맞게 허용돼야 할 것이다. 참여정부 출범이후 이 문제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만큼 올 하반기에는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 대통령의 말씀처럼 인식의 변화가 필요한 사안이고 한술에 배부를 수는 없지만 참정권을 부활하고 이중국적이 공직자임용에 걸림돌이 되지 않게 하는 등의 관계법 마련이 우선 필요하다. 특히 재외동포법 개정과 이중국적 허용, 참정권 회복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맞고 있으므로 동포사회의 적극적인 의사개진과 참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의무는 등한시한 채 권리만을 찾으려 한다는 비판에 대해서는?



“재외국민이 고국의 발전에 기여하는 방법이 비단 납세나 국방의 의무에 한정된 것이라고는 보지 않는다. 과학이나 첨단기술산업을 통한 참여도 가능하다. 민족과 국가의 발전이라는 보다 큰 관점에서 총체적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본다.”



밴쿠버 동포사회에 한 말씀?



“한국과 캐나다 수교 40주년을 맞는 뜻 깊은 해에 밴쿠버를 방문할 수 있어 개인적으로 매우 기쁘고 동포사회에 축하의 말씀을 전하고 싶다. 아울러 재외 동포들이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참정권 회복 문제는 대한민국 헌법상이 보장한 권리이며 직접 찾아야 하는 것이다. 박정희 정권 때 없어진 재외 국민들의 투표권이라도 우선 회복해야 할 것이다. 특히 참여정부 출범이후 재외동포들이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이 더욱 넓어지고 공동번영의 길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이 더 커졌다는 점에서 밴쿠버 동포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가 절실하다.”



이용욱 기자 lee@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