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에서 소외된(be marginalized) 과학자들의 또 다른 불만은 노벨상이 업적을 인정하는 데 굼뜨다는(be sluggish) 것이다. 1895년 상을 제정한 알프레트 노벨은 유언장에(in his will) 시상 대상을 전년도에 이뤄진 것으로 하라는 말을 남겼다. 그렇게 하다 보니 나중에 사실과 다른 것으로 판명되는 연구 결과들에도 노벨상이 주어지는 결과가 초래됐다.
그 반작용으로 노벨상위원회가 지나치게 조심스러워지면서 역효과를 가져왔다(bring about a reverse effect). 천재 물리학자(a genius physicist) 아인슈타인은 난해하다는(be recondite) 이유 때문에 상대성 이론(the theory of relativity)으로 상을 받지 못했다. 천문학자(astronomer)인 찬드라세카르는 1930년대에 별의 구조를 규명했지만, 1983년에야 노벨상을 받을 수 있었다.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해 거부(巨富)가 된 노벨이 상을 만든 것은 동생 죽음이 계기가 됐다. 한 신문이 노벨이 사망한 것으로 잘못 알고 '죽음의 상인, 죽다' 제목의 부고 기사를 게재했다(publish the obituary under the title 'The Merchant of Death is Dead'). '그 어느 때보다 더 빨리 더 많은 사람을 죽이는 방법을 발견해 떼돈을 번(make a mint by finding ways to kill more people faster than ever before) 노벨이 어제 죽었다'고 썼다. 이에 충격을 받아 자신의 이름을 딴 노벨상(the Nobel Prize named after himself)에 막대한 재산을 남기기로 결심했던 것이다.
노벨은 비서였던 베르타 킨스키라는 여성을 사랑했다. 평화주의자였던 그녀의 영향으로 평화상도 만들었다. 하지만 그녀는 노벨의 청혼을 거절하고 옛 연인과 결혼해버렸다.
노벨은 일생을 독신으로 살았다. 죽을 때까지 세 여인을 사랑했다. 노벨의 사랑 '공동 수상자'도 3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