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말부터(since the end of last year) 일본에 양국 관계 개선을 원한다는(desire to improve bilateral relations) 신호를 여러 차례 보냈다. 얼마 전엔 박지원 국가정보원장이 스가 요시히데 총리에게 문 대통령 구두 메시지를 전달하는 등 민망할 정도의 구애를 했다(pay court to him).

그럼에도 일본 정부는 관계 개선에 착수하려는 의지를 보이는 데 주저하고 있다(be hesitant to express a willingness to set about mending the fences with Korea). 스가 총리는 박 원장을 만난 사실조차 확인을 거부하고 있다. 한국 입장에선 적반하장이 아닐 수 없는데, 일본은 도대체 무슨 저의(ulterior motive)로 저리 뻗대는 걸까. 미국 외교 전문지 ‘디플로맷’의 해석은 이렇다.

“첫째 이유는 스가 총리 본인이 한국을 신뢰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have trouble trusting Korea) 것일 수 있다. 아베 정부 당시 관방장관이었던 그는 문 대통령이 취임하자마자(take office) 위안부 피해자 문제 등에 관한 과거 합의를 무시하고, 일본 전범 기업들에 대한 소송이 잇달아 제기되는 것을 경험했다.

둘째 이유는 문 대통령의 임기(term of office)다. 임기가 1년이 채 남지 않았다(have less than a year of his term left). 일본 측에선 한국의 정권 말기 약속이 다음 정권에 의해 번복될(be reversed by the next government) 것을 우려한다. 그래서 한·미·일 동맹 중요성을 강조하는 미국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말기를 맞은 문 정권의 어떤 제안에 대한 응대도 꺼려하고(be reluctant to respond to any overtures) 있는 것이다.

셋째는 일본인들의 한국에 대한 느낌 문제다. 중국보다는 한국에 호의적이지만, 아직 많은 일본인은 강한 부정적 견해(decidedly negative views)를 갖고 있다. 여론조사(public opinion poll)에 따르면, 중국을 극도로 혐오하면서도 60% 이상은 일·중 관계가 중요하다는 의견을 보인다. 이에 비해 한·일 관계를 중요시하는 일본인은 절반도 되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 중의원 선거를 앞두고 가뜩이나 낮은 지지율에 허덕이는(suffer from low approval ratings) 스가 총리가 한국과 협상에 적극 나설 이유가 없다. 자칫 밀리는 모습을 보였다간 위험을 초래하는(pose a risk) 정도가 아니라 정권 존립에 치명적이 될(be fatal to his regime) 수도 있다.

게다가 일본 주요 인사들이나 관료들 역시 문 대통령 정권이 이끄는 한국에 대해 많은 불신을 품고(be quite distrustful of Korea under the Moon administration) 있다. 어떤 합의를 타결해낸다 해도(hammer out some sort of agreement) 정권 교체와 함께 모든 것이 무효화될(be undone with a change of government) 수 있다는 뿌리깊은 회의론(ingrained skepticism)이 팽배해 있다.

문 대통령이 노골적인 양보 눈짓을 보냈는데도 아무런 반응을 얻지 못하고(talk to a brick wall) 우이독경하는(preach to deaf ears) 무시를 당하는 것은 이런 연유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