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밴쿠버, 렌트 하락폭 1위··· 2년 새 500달러 ‘뚝’
▲/gettyimagesbank캐나다 주요 도시 대부분에서 평균 임대료 하락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밴쿠버는 전국에서 가장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다. 렌털 전문 플랫폼 ‘Rentals.ca’가 발표한 10월 임대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밴쿠버의 1베드룸 평균 임대료는 전년 동월 대비 6.4% 하락한 월 2501달러로 집계됐다. 2베드룸은 3.8% 내린 3426달러로, 여전히 캐나다 내 최고 수준이다. 그렇지만 밴쿠버는 전국에서 임대료 하락 폭이 가장 컸다. 전년 대비 8.2% 감소하며 캐나다 도시 중 최대 낙폭을 보였다. 이번 결과는 지난달 발표된 9월 보고서의 흐름을 이어가는 것이다. 당시 ‘Rentals.ca’는 밴쿠버의 최근 2년간 임대 추이를 분석한 결과, 임대료 하락세가 점점 더 뚜렷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2023년 10월 보고서(2023년 9월 기준 데이터)와 비교해보면 하락폭이 더욱 명확하다. 당시 밴쿠버의 1베드룸 평균 임대료는 월 2976달러, 2베드룸은 3908달러였다. 즉, 현재 1베드룸은 475달러, 2베드룸은 482달러 하락한 셈이다. 다만 이러한 하락에도 불구하고, 임대료가 실제로 ‘감당 가능한 수준’으로 내려왔다고 보기에는 여전히 소득 수준에 따라 체감 차이가 크다.노스밴쿠버 역시 높은 임대료를 유지하고 있다. 1베드룸 평균 임대료는 월 2570달러로, 전년 대비 6.1% 하락했으며, 2베드룸은 3387달러로 밴쿠버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다.BC주 내에서는 단 한 도시도 전월 또는 전년 대비 임대료 상승을 기록하지 않았다. 주 전체로는 앨버타와 함께 연간 5.5%의 하락률을 보이며 전국에서 가장 큰 폭의 하락을 나타냈다.Rentals.ca는 “지난 2년간 밴쿠버와 토론토의 아파트 임대료는 각각 15%, 10.1% 하락했으며, 3년 기준으로는 각각 9.7%, 2.2% 감소했다”고 밝혔다. 최희수 기자 chs@vanchosun.com
최희수 기자
2025-10-08 09:57:35
-
캐나다, 정부 소유 부지에 주택 개발··· BC는 제외
▲마크 카니 총리 / Mark Carney X
연방정부가 주택난 해결을 위해 정부 소유 부지에 집을 짓는 대규모 신규 주택 개발 계획을 내놨다. 그러나 BC주는 이번 계획 대상에서 제외됐다.
마크 카니 총리는 14일 기자회견에서 최근 새로 출범한 주택 전담
기관 'Build Canada Homes'가 연방 소유 부지 6곳에
총 4000가구 규모의 주택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건설은
내년부터 시작되며, 대상 지역은 다트머스(노바스코샤), 롱게이유(퀘벡), 오타와, 토론토, 위니펙, 에드먼턴이다.
Build Canada Homes는 자유당의 올초 연방 선거 공약의
일환으로, 주택 건설을 두 배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 기관은 공공 토지를 활용하고, 유연한 재정 지원과 민간 자본을
통해 대규모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현대식 제조업체와 함께 캐나다인에게 필요한 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다.
카니 총리는 “주택 시장의 가장 큰 문제는 건설 과정이 지나치게 복잡하다는
것”이라며 “연방정부 소유 부지를 활용하면 건설 비용을 낮추고, 임대료와 분양가 역시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각 부처가 보유한 유휴 토지(unused land)를 추가로
발굴해 현재 88곳이 등록된 연방 토지은행(Canada Public
Land Bank)을 더욱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Build Canada Homes는 단순한 주택 건설뿐 아니라 다양한
주거 지원 정책도 맡는다. 커뮤니티 단체가 민간 임대주택을 매입해 임대료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임대 보호 기금’은 새 기관을 통해 계속 운영되며, 노숙 위험에 처한 이들을 위한 10억 달러 규모의 기금도 신설된다. 여기에 모듈식·조립식·대형
목재 건축 등 비용 효율적인 방식도 활용되며, 캐나다산 자재와 부품 우선 사용을 통해 국내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발표에서는 BC주가 제외된 점에 대해 아쉬움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크리스틴 보일 BC 주택부 장관은 “연방정부가
잉여 토지를 주택 개발에 활용하는 것은 긍정적인 첫걸음이지만, 이번 계획에 BC주는 포함되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BC에는 이미 착공이 가능한 저렴 주택 개발 프로젝트가 다수 준비되어 있다”고
했다. 이어 “주택 문제는 전국적인 과제인 만큼 연방정부와
협력해 장기적인 해법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현재 연방 토지은행에는 광역 밴쿠버 2곳과 버넌 1곳 등 3곳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손상호 기자 ssh@vanchosun.com
손상호 기자
2025-09-15 09:15:13
-
임대료 하락세에도, 봄날 아직 멀었다
▲/gettyimagesbank캐나다 임대 시장이 1년 가까이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렌털 전문 플랫폼 ‘Rentals.ca’가 9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8월 전국 평균 임대료는 모든 주택 유형을 합산한 종합 기준으로 월 2137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2.3% 하락한 수치로, 11개월 연속 임대료가 내린 것은 최근 수년간 유례없는 흐름이다.전국 주요 도시 중 임대료가 가장 높은 상위 5개 도시는 밴쿠버(2825달러), 토론토(2618달러), 할리팩스(2265달러), 몬트리올(1980달러), 캘거리(1959달러)로 모두 전년 대비 하락했다. 특히 밴쿠버와 캘거리는 전년 대비 각각 9.3% 떨어져 큰 폭의 감소를 보였다.그러나 임대료 수준은 여전히 팬데믹 이전보다 높다. 2020년 8월 전국 평균 임대료가 1718달러였던 것과 비교하면 400달러 이상 비싸며, 2023년 8월 대비로는 오히려 1%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전반적 하락세에도 장기적으로는 여전히 임대료 부담이 누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밴쿠버 아파트 월세 10%↓··· 사스카툰은 7%↑주별로는 앨버타가 가장 큰 폭의 하락세를 나타냈다. 아파트와 콘도만 따로 집계한 순위에서 앨버타는 전년 동월 대비 3.5% 떨어진 1746달러를 기록했다. 이어 △BC(2467달러, –2.7%) △온타리오(2330달러, –2.5%) △노바스코샤(2286달러, –2.2%) △퀘벡(1959달러, –0.2%) 순으로 하락세가 이어졌다. 도시별로는 밴쿠버가 전년 대비 약 10% 떨어지며 가장 큰 감소폭을 기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국에서 가장 비싼 임대 시장으로, 아파트·콘도 평균 월세는 2820달러에 달했다. 캘거리는 약 7% 하락해 1911달러, 토론토는 3% 떨어져 2606달러로 집계됐다. 반면 일부 도시는 상승세를 보였다. 사스카툰은 7% 올라 평균 1443달러를 기록했으며, 리자이나(1432달러), 에드먼턴(1585달러), 위니펙(1618달러) 모두 1%씩 올랐다. 특히 에드먼턴은 최근 3년 사이 25% 이상 급등하며 장기적 상승세가 뚜렷했다.다만 앨버타 내 일부 지역은 여전히 저렴한 임대 시장을 유지하고 있다. 로이드민스터의 평균 임대료는 1179달러, 메디신 햇은 1287달러, 포트맥머리는 1364달러로 나타났다.◇노스밴쿠버 1베드룸 아파트 월세 ‘전국 1위’광역권 내 중소도시의 1베드룸만 놓고 보면, 8월 기준 노스 밴쿠버의 아파트·콘도 평균 임대료는 월 2621달러로 전국에서 가장 비쌌다. 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3.3% 떨어졌지만 여전히 1위 자리를 유지했다. 2위는 밴쿠버시로, 평균 2515달러를 기록했다. 전월보다 0.1% 올랐으나 전년 대비로는 무려 8.1% 하락했다. 이어 토론토시(2314달러), 옥빌(2286달러), 버나비(2285달러), 코퀴틀람(2283달러)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2베드룸 기준으로는 밴쿠버시 월세가 3489달러로, 3455달러인 노스밴쿠버를 앞섰다. 그 뒤를 옥빌(3021달러), 토론토시(2946달러), 코퀴틀람(2939달러), 버나비(2937달러)가 이어 순위가 다소 뒤바뀌었다. BC주 내 다른 도시들의 1베드룸 평균 임대료는 빅토리아 2065달러(전국 15위), 뉴웨스트민스터 2015달러(22위), 랭리 1980달러(26위), 켈로나 1953달러(27위), 써리 1888달러(30위)였다.최희수 기자 chs@vanchosun.com
최희수 기자
2025-09-09 13:00:59
-
-
밴쿠버 세입자, 1베드룸 감당하려면 ‘이 만큼’ 벌어야
▲/gettyimagesbank밴쿠버와 토론토에서 평균 1베드룸 아파트를 ‘적정 주거비’ 수준에서 감당하려면 연소득 7만8000달러 이상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는 시간당 약 37달러에 해당하며, 많은 세입자의 실제 소득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캐나다 정책대안연구소(CCPA)가 4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주거비를 세전 소득의 30% 이내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임금은 최저임금의 두 배 이상이다. 조사 대상 62개 도시 가운데, 최저임금을 받으며 풀타임으로 일할 경우 1베드룸 주택을 감당할 수 있는 곳은 단 8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보고서를 공동 집필한 데이비드 맥도널드 CCPA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무역과 안보 이슈가 정책 의제를 차지하고 있지만, 연방과 주정부는 주거비 문제를 최우선 과제로 다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공동 저자인 마크 리 역시 “세입자들은 소득 분포의 하위층에 속할 가능성이 크고, 현재 저렴한 주택에 살고 있더라도 리노빅션(Renoviction)이나 철거형 퇴거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지적했다.특히 공실 임대료 기준으로는 부담이 더욱 커진다. 보고서는 밴쿠버의 경우 공실 주택을 임차하려면 시간당 46달러, 토론토는 42달러의 소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는 장기 임차인의 상대적으로 낮은 임대료가 평균치에 포함되지 않았을 때의 수치다.이 같은 분석은 캐나다모기지주택공사(CMHC)가 2024년 10월 실시한 임대 시장 조사에 근거한 것이다. 최근 신규 이민자 유입 감소와 임대용 주택 공급 확대에 따라 임대료는 일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RBC가 지난달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밴쿠버의 2베드룸 평균 임대료는 1년 전보다 7.9% 줄어 3170달러, 토론토는 5.6% 줄어 2690달러로 집계됐다. 반면 오타와, 위니펙, 퀘벡시티 등 일부 지역은 오히려 상승세를 보였다.RBC 보고서는 주요 대도시에서 임대료 부담이 다소 완화됐다고 평가했지만, 팬데믹 이전 수준과 비교하면 여전히 전국 대부분 도시에서 부담이 크다고 지적했다. CCPA는 “임대료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특히 최저임금 노동자들에게 주거비 감당은 여전히 큰 격차로 남아 있다”고 밝혔다. 최희수 기자 chs@vanchosun.com
최희수 기자
2025-09-04 12:29:57
-
“캐나다 주택위기 해소, 1000년 걸린다”
▲/Getty Images Bank
현재 캐나다의 주택 공급 속도로는 주택난을 해소하는 데 1000년
이상이 걸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저소득층과 취약계층을 위한 주택 공급은 충분히 늘지 않아
상황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연방 주택 옹호 사무국(Federal Housing Advocate)은 4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캐나다 정부가 국가 주택 전략(National
Housing Strategy)에 명시된 목표를 달성하는 데 크게 미흡하다고 경고했다. 서민·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저렴한 주택(affordable homes)’의
현재 건설 속도로는 노숙인 문제와 핵심 주택 수요를 해소하는 데 1000년 이상이 걸릴 수 있다는 분석이다.
연방 주택 옹호 사무국은 캐나다 연방 인권위원회(Canadian Human Rights
Commission) 산하의 독립 기관으로, 주거 불안과 노숙인 문제, 주택 차별 등 현안을 조사해 정부와 의회에 정책 개선을 권고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다.
보고서는 현재 캐나다가 약 440만 채의 저렴한 주택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 수치는 노숙인과 기숙사·요양원 등 공동주거시설 거주자,
학생 등 인구조사(센서스)에 포함되지 않는 계층까지
고려한 결과다.
2017년 국가 주택 전략이 출범한 이후 비시장 주택(non-market housing, 사회적 목적을 위해 공급되거나 통제되는 주택) 공급은 매년 4000~6000채 수준에 머물며 전체 신축 주택의 3.5% 불과한 반면, 만성 노숙인은 오히려 22%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21년 사이 새롭게 공급된 최저소득층 대상 ‘초저렴 주택’(deeply affordable homes)의 경우에는 1채가 신규로
지어질 때마다 기존 주택 15채가 사라졌다. 정부는 열악한
주거 상태에 놓인 가구 중 53만 가구를 2028년까지 개선하겠다는
목표로 세웠지만, 의회예산국(PBO)은 단 7만8000가구만이 상황이 나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즉, 대부분의 취약 가구는 여전히 열악한 주거 상태에 머물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주택 정책 전문가 캐롤린 위츠먼 박사는 “현 수준의
공급으로는 주거 위기를 해소하기 역부족”이라며 “2055년까지
전체 주택의 20%를 비시장 주택으로 확보하고, 새로 짓는
주택의 40%를 비시장으로 공급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여기에 연방 정부가 새로 출범한 주택 개발 프로젝트 ‘Build Canada
Homes’를 통해, 매년 최소 10만 채의
초저렴 주택을 공급할 임무를 부여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보고서는 주거권을 인권으로 보장하도록 규정한 국가 주택 전략법(National
Housing Strategy Act)의 원칙을 근거로, ▲소득 기반의 임대료 산정 ▲기존
저렴한 주택 보존 ▲퇴거 예방 조치 등이 포함된 전면적인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이루어진다면 약 30년 내에 핵심 주택 수요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마리-조세 울 연방 주택 옹호관은 “캐나다에는
이미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과 정책적 합의가 마련돼 있다”며 “이제 필요한 것은 정치적 의지와 올바른 주택 공급, 그리고 결과에
대한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보고서와 권고안은 2027~2028년 새롭게 업데이트될
국가 주택 전략의 다음 단계 수립 과정에 반영될 예정이다.
손상호 기자 ssh@vanchosun.com
손상호 기자
2025-09-04 11:33:57
-
“광역 밴쿠버 집값, 연말까지 두 자릿수 하락”
▲/gettyimagesbank캐나다 전역에서 집값 하락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올가을에도 광역 밴쿠버 부동산 시장은 매수자에게 유리한 국면을 이어갈 전망이다.부동산 중개업체 리맥스(Re/Max)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 사이 BC주와 온타리오주 주택 시장의 3분의 2 이상이 가격 하락세를 나타냈다. 전국적으로는 약 26.4% 지역이 매도자 우위였지만, 38.2%는 확실히 매수자 우위 시장으로 분류됐다.광역 밴쿠버의 하락세는 특히 뚜렷했다. 프레이저 밸리 평균 주택 가격은 전년 대비 5.5%, 밴쿠버는 6.3% 떨어졌다. 같은 기간 광역 밴쿠버 평균 거래가는 265만 달러에서 248만 달러 수준으로 낮아졌다. 거래 건수는 2784건에서 2201건으로 줄었지만, 매물은 19% 늘며 수요·공급의 불균형을 드러냈다.리맥스는 앞으로의 전망도 밝지 않다고 지적했다. 9월부터 12월 사이 광역 밴쿠버 평균 주택 가격이 약 211만 달러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상반기 대비 약 15% 추가 하락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같은 기간 거래량 역시 4%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프레이저밸리도 비슷한 흐름을 보이며, 하반기 평균 주택 가격은 약 121만 달러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결국 하반기 광역 밴쿠버 시장은 매수자에게 ‘호기’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리맥스는 “올 가을부터 광역 밴쿠버 주택 시장은 매수자들에게 상당히 매력적인 시점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밴쿠버부동산협회(GVREB)는 최근 보고서에서 “현재는 매수자 친화적인 시장”이라고 인정하면서도, 거래가 회복세를 보이면 상황이 바뀔 수 있다고 경고했다. 매물은 충분해 당분간 가격 안정이 이어지겠지만, 거래가 빠르게 늘 경우 매도자들이 다시 협상력을 갖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시장 환경이 단기적으로는 매수자에게 유리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경제 상황과 금리, 주택 공급 정책에 따라 급격한 변동성이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올가을 광역 밴쿠버 주택 시장에 진입하려는 매수자들은 가격과 거래 동향을 면밀히 관찰하면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최희수 기자 chs@vanchosun.com
최희수 기자
2025-09-03 14:14:57
-
BC주 내년 렌트비, 최대 2.3% 인상 가능
▲/gettyimagesbankBC주 정부가 2026년 연간 임대료 인상 상한선을 물가상승률에 맞춰 2.3%로 제한한다. 이는 2025년 상한선 3%보다 낮은 수준으로, 2년 연속 인상률이 하락한 것이다.크리스틴 보일 BC주 주택·지방자치부 장관은 26일 “BC주는 살기 좋은 곳이지만 경기 불확실성과 생활비 상승으로 많은 주민이 주거비 부담에 시달리고 있다”며 “임대료 인상 상한을 물가에 연동해 노인·가족·개인 모두를 불합리한 인상으로부터 보호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조치는 임대인이 주택을 유지·관리할 수 있는 여력도 고려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2024년 BC주는 물가상승률 5.6%에 비해 훨씬 낮은 3.5%로 임대료 인상률을 제한한 바 있다. 2018년 이전에는 물가상승률에 추가 2%까지 인상할 수 있어 평균 가구 기준 수백 달러의 추가 비용이 발생하기도 했다.정부 발표에 따르면 이번 인상률은 내년 1월 1일 이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집주인은 연 1회만 인상할 수 있으며, ‘임대료 인상 통지서’(Notice of Rent Increase)를 통해 최소 3개월 전에 세입자에게 알려야 한다.한편, BC주 정부는 2017년 이후 불법적인 리노빅션(renoviction·리모델링을 이유로 한 불법 퇴거) 방지, 저소득층 대상 연 400달러 세입자 세액공제, 긴급 상황 세입자를 위한 무이자 대출 제공 등 다양한 세입자 보호 정책을 강화해왔다. 올해는 임대료 보조 프로그램(RAP)과 노인 임대 보조 프로그램(SAFER) 지원도 확대됐다.또한 주 전역에 임대주택 보호기금(Rental Protection Fund)을 도입해 기존의 저렴한 임대주택을 보전하고 있으며, 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RTB) 개선을 통해 체납 임대료 및 공과금 분쟁 해결 기간을 기존 3개월에서 1개월로 단축했다.이외에도 정부는 세입자가 유기한 물품 처리 기준 완화, 임대인·세입자 모두가 절차를 명확히 이해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제공 등을 통해 규칙 위반 시 위험을 줄이고 분쟁 해결 속도를 높이고 있다. 최희수 기자 chs@vanchosun.com
최희수 기자
2025-08-26 15:33:07
-
-
BC주, 신규 주택 3만9000호 추가 공급
BC 정부가 주택난 해소를 위해 향후 5년간 신규 주택 3만8930호를
공급하겠다는 목표를 내놨다. 이번 계획은 지난 5월 발표된 ‘주택 공급 목표 프로그램’(housing-targets program)의
네 번째 단계로, 9월 1일부터 시행될 전망이다.
이번 대상 지역은 버나비, 코퀴틀람을 비롯한 10개 지역으로, 총 3만8930호의 주택이 5년 내에 공급될 예정이다. 각 지역별 목표는 ▲버나비 1만240호 ▲리치먼드 6753호 ▲랭리 타운십 6596호 ▲코퀴틀람 6481호 ▲랭포드 2993호 ▲버논 1829호 ▲코트니 1334호 ▲스쿼미시 1069호 ▲펜틱턴 908호 ▲핏메도우 727호다.
주정부는 “버나비, 랭포드, 펜틱턴과 같은 지자체는 주택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지역 정책을 개선하는 등 적극적인 조치를 이미 시행해 왔다”고 언급했다.
이번 목표에는 임대·자가 비율과 함께 저소득층을 위한 임대주택, 지원주택 등의 비율까지 포함됐다. 전체 주택 중 1만4000호 이상이 시세 이하 임대주택으로 공급될 예정이다.
BC주는 이번 목표 달성을 위해 연방 정부와 협력해 인프라·편의시설 투자를 지원받는 방안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주정부는 “지역 사회가 주택 공급에 적극 나서는 만큼, 연방 차원의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택 공급 목표 프로그램은 2023년 제정된 ‘주택 공급법’(Housing Supply Act)에 따른 것으로, 인구 증가와 지역별 수요를 반영해 주택 공급을 확대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 30개 지자체에서 1만6000호 이상의 신규 주택이 이미 착공되거나 완공됐다.
주정부는 2017년 이후 ‘홈스
포 피플’(Homes for People) 플랜을 통해 9만3250호 이상의 주택을 공급했거나 건설 중이라며, “앞으로도 지역
맞춤형 정책과 투자를 통해 누구나 감당할 수 있는 주택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BC 정부는 웨스트 밴쿠버와 오크 베이의 주택 공급 속도가 현저히
떨어진다며 공개적으로 압박한 바 있다.
손상호 기자 ssh@vanchosun.com
손상호 기자
2025-08-21 16:17:19
-
살아난 매수 심리, 발목 잡는 주택 매물
캐나다 주택시장이 7월에도 4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며, 장기 침체 이후 회복 신호를 보이고 있다. 15일 캐나다부동산협회(CREA)에 따르면 7월 주택 거래량은 전월 대비 3.8% 늘었고, 전년 동기 대비로는 6.6% 증가했다.CREA의 숀 캐스카트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인플레이션 위기 이후 예상됐던 주택시장 반등이 드디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며 “9월 상반기 신규 매물이 쏟아질 때 구매자들의 반응이 향후 시장 흐름을 가늠할 중요한 관전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지난 3개월 동안 거래량은 3월 대비 누적 11.2% 증가하며, 미국과의 무역 갈등 초기 충격을 딛고 회복세를 나타냈다. 로열르페이지(Royal LePage)의 필 소퍼 CEO는 “구매자들이 무역 정책의 불확실성과 혼란에 익숙해지면서, 불확실성이 사라질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주택시장에 진입하고 있다”며, 과거 코로나19 초기 주춤 이후 회복세와 비교했다.이번 회복세는 특히 토론토 광역권(GTA)이 주도했다. GTA는 3월 이후 거래량이 누적 35.5% 증가했고, 7월 한 달만 해도 5744채가 거래되며 전월 대비 13% 늘었다. 다만 벤치마크 주택 가격은 전월 대비 0.2% 하락한 97만9000달러를 기록하며 큰 변동 없이 안정세를 유지했다. 캐스카트는 “토론토는 지난 3년간 인플레이션과 금리 상승의 직격탄을 맞아 회복까지 가장 긴 여정을 걷고 있다”며, 특히 투자 수요가 많은 소형 콘도 시장은 여전히 부진하다고 지적했다.전국적으로는 7월 총 4만2749건이 거래되며, 신규 매물 대비 판매 비율이 52%로 상승, 시장이 점차 타이트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국 평균 주택 가격은 67만2784달러로 전년 대비 0.6% 상승하며 안정세를 보였다. CREA는 “거래가 늘어나고 매물이 제한적이라는 것은 시장이 점점 빡빡해지고 있다는 신호”라고 분석했다.한편, 로열뱅크오브캐나다(RBC)는 올해 캐나다 주택 재판매량이 3.5% 감소한 46만7100채가 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내년에는 7.9% 반등해 50만4100채가 거래될 것으로 전망했다. RBC 로버트 호그 수석 부이코노미스트는 “상반기 감소세는 온타리오와 BC주가 주도했으나, 가을 매물 증가와 정부 정책에 따라 회복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금리 동결과 일부 재고 증가로 구매자에게 약간의 협상 여지가 생겼다고 평가하면서도, 여전히 주요 도시에서는 높은 가격 부담이 거래 확장을 제한하는 주요 변수라고 지적했다. 호그 이코노미스트는 “주택 부담 능력 개선은 점진적이며,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CREA는 “토론토 광역권을 중심으로 한 회복세가 전국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9월 신규 매물 증가 시점에 구매자 심리가 어떻게 반응할 지가 향후 주택시장 방향성을 결정할 핵심”이라고 분석했다.최희수 기자 chs@vanchosun.com
최희수 기자
2025-08-15 11:14:49
-
BC주 주택거래, 여름철 거래 활기 되찾아
▲/gettyimagesbankBC주의 7월 주택 거래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소폭 늘었지만, 올해 누적 기준으로는 여전히 감소세를 보였다. 여름철 계절적 수요와 일부 지역의 회복세가 나타나고 있지만, 전반적인 연간 흐름으로는 시장이 아직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모습이다. BC부동산협회(BCREA)에 따르면, 지난달 주택 거래량은 약 7000건으로, 지난해 7월보다 2.2% 증가했다. 반면 1~7월 누적 거래량은 약 4만300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7% 줄었다.BCREA의 브렌던 오그문드슨(Ogmundson)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다만 여름 동안 주택시장이 점차 활기를 되찾고 있다”며 “로어 메인랜드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거래가 눈에 띄게 늘었다”고 밝혔다. 이어 “관세 관련 불확실성이 해소되면 시장 개선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7월 주택 평균 매물 가격은 94만2686달러로 2.1% 하락했지만, 총 거래액은 67억 달러로 전월과 비슷했다. 최희수 기자 chs@vanchosun.com
최희수 기자
2025-08-13 10:5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