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완비된 2Bed & 2 Bath 레노된저층콘크리트 콘도 랜트합니다.
안녕하세요,
All Furnish 되고 레노된 2Bed & 2 Bath 랜트 합니다
버퀴틀람역 에서 도보 1분거리위치함.&
캐나다 집값 30년간 350% 폭등
▲/gettyimagesbank밴쿠버, 토론토 등 캐나다 주요 도시의 주택 가격이 지난 30년간 세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증가와 정책 변화가 맞물리면서 공급 부족을 초래했고, 젊은 세대의 내집 마련 부담이 크게 커졌다는 분석이다.부동산 기업 리맥스(Re/Max) 캐나다가 27일 발표한 ‘주택시장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1994년부터 2024년까지 9개 주요 도시의 주택 가격을 조사한 결과, 할리팩스, 광역 토론토(GTA), 사스카툰이 각각 377~460%의 누적 상승률을 기록하며 전국에서 가장 큰 폭의 가격 상승을 보였다.특히 할리팩스는 지난 30년간 주택 가격이 460% 올랐다. 연복리 성장률(CAGR) 기준으로 계산하면 매년 약 5.9%씩 상승한 셈이다. 토론토는 436%(연복리 5.8%), 사스카툰은 377%(연복리 5.4%)로 뒤를 이었다.광역 밴쿠버는 현재 평균 주택 가격이 약 129만 달러로, 1994년 이후 줄곧 전국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같은 기간 집값은 325% 상승(연복리 4.95%)했으며, 2004~2014년 10년 동안은 연평균 8% 가까이 치솟았다.◇인구 급증·건설 둔화, 가격 상승 압력으로 리맥스는 팬데믹 시기 인구 급증이 공급 부족을 심화시킨 주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스코샤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는 G7 국가 중 인구 1000명당 주택 수가 가장 적으며, 팬데믹 기간(2020~2023년) 동안 인구가 2.7% 늘어 4000만 명을 넘어섰다.리맥스 캐나다의 돈 코틱 대표는 “이민과 국내 이주는 지난 30년간 캐나다 부동산 시장의 핵심 동력이었다”며 “특히 캘거리와 에드먼튼은 각각 121%, 87% 인구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팬데믹 당시 ‘Alberta is Calling’ 캠페인이 저렴한 주택 가격과 고용 기회를 내세워 인구 유입을 가속화했다”고 덧붙였다.여기에 토론토, 밴쿠버, 할리팩스 등 일부 대도시에서 건설 둔화가 뚜렷하게 나타난 점도 가격 상승 압력으로 작용했다. 캐나다 주택모기지공사(CMHC)에 따르면, 토론토의 신규 주택 판매는 수십 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으며, 밴쿠버 역시 개발 취소, 법원 매각, 프로젝트 보류 등이 이어지고 있다.코틱 대표는 “공급 부족이 장기화되면 주택난이 심화되고 가격 상승 압력은 피할 수 없다”며 “젊은 세대가 내집 마련의 꿈을 포기하지 않도록 정부와 민간의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정부 정책, 시장 억제 효과만··· 실질적 지원 필요현재 캐나다 대부분 지역은 균형 혹은 완화된 시장을 보이고 있지만, 임금 상승률이 주택 가격 상승폭을 따라가지 못해 젊은 세대의 진입 장벽은 높아진 상태다. 더불어 모기지 스트레스 테스트, 부채 부담, 다운페이먼트 요건 등으로 주택 구매를 망설이고 있다.최근 금리 급등, 외국인 매입 금지, 단기임대 제한, 미국·캐나다 관세 불확실성 등 요인도 겹치면서 수요가 위축되고 거래가 지연되는 추세다. 보고서는 저가 주택 공급 부족과 신규 건설 프로젝트 취소가 앞으로 시장을 더욱 타이트하게 만들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단기적 요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지난 30년간 금리 정책, 세제, 대출 규제 등 정부의 다양한 정책 수단이 시장에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모두 미쳐 온 장기적 맥락 속에서 나타난 결과이기도 하다.보고서에 따르면 1994년 중앙은행의 급격한 금리 인상은 회복을 억제했으며, 2006~2008년 대출 완화는 2007년 부동산 거래 호황을 불러왔다. 이후 각 지방정부는 외국인 구매세(BC주 2016), 공실세(밴쿠버 2017), 단기임대 제한법(2023) 등을 도입했고, 연방정부도 외국인 주택 구매 금지 조치를 2027년까지 연장했다.코틱 대표는 “이들 정책은 대체로 시장 억제를 목표로 했지만, 실질적인 주택 구입 여건 개선에는 미흡했다”며 “정부는 앞으로 양도세·GST·이전세 완화, RRSP 인출 한도 확대, 상환 기간 연장 등 실질적인 주택 구입 인센티브를 검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최희수 기자 chs@vanchosun.com
▲/gettyimagesbank캐나다 경제를 둘러싼 관세 부담 속에서 올 봄 주택시장은 예상보다 느리게 출발했지만, 가을에는 회복세를 보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로열르페이지(Royal LePage)가 15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 주택시장은 가격 안정, 매물 증가, 금리 인하 기대 등으로 대부분 지역에서 주택 구입 부담이 완화되면서 ‘균형’을 되찾고 있다. 이는 하락세를 보이던 주택 가격이 연말까지 안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로열르페이지 필 소퍼 CEO는 “오랜만에, 특히 공급이 부족했던 지역에서 매수자는 실제 선택권과 협상력을 갖게 됐다”며 “2026년 초까지 추가 금리 인하가 예상됨에 따라 내년 봄에는 거래가 눈에 띄게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 전국 평균 주택 가격은 연말까지 82만7796달러로, 지난해 같은 시기 81만9600달러 대비 1% 상승할 전망이다. 반면 토론토와 밴쿠버 등 고가 시장은 가격 하락이 예상된다.광역 토론토 지역(GTA) 평균 주택 가격은 약 111만 달러로 지난해 대비 3% 낮아질 것으로 보이며, 광역 밴쿠버는 연말 평균 주택 가격이 약 120만 달러로 2% 감소할 전망이다. 퀘벡시는 15%의 가장 큰 상승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평균 주택 가격 46만690달러로 전국 평균에는 크게 못 미칠 것으로 보인다. 로얄 르페이지는 “가격 상승 압력이나 경쟁이 추가로 생기는 전환점에는 아직 도달하지 않았다”며 “여전히 많은 매수자가 관망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주택시장 하락세는 2022년 최고점 이후 지나친 가격 상승에 따른 ‘조정(correction)’이라는 평가다.이어 “주택 구입 부담이 여전히 높아 오늘 당장 구매해야 한다는 긴급성은 없으며, 내달 조금 더 저렴해질 수도 있고, 몇 달 더 저축하면 초기 계약금 부담이 줄어드는 만큼 매수자는 여유를 갖고 관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한편, 주택 구매 적기는 각 가구의 상황에 따라 다르다. 회복은 가을까지 점진적이겠지만, 관망하던 매수자가 한꺼번에 나오면서 경쟁이 다시 나타날 수 있다.보고서는 “적정 가격이 책정된 주택은 빠르게 거래되겠지만, 포스트 팬데믹 최고가를 기대하는 매도자는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가령, 토론토 주택은 2022년 봄 대비 약 12% 낮은 수준으로, 매도자들은 점차 현실적인 가격을 받아들이는 추세다.최희수 기자 chs@vanchosun.com
▲버나비 브렌트우드 블록 프로젝트의 완공 예상도 / Grosvenor버나비에 연방정부의 지원을 받은 약 1300세대 규모의 임대주택이
새롭게 지어질 예정이다.
14일 그레고 로버트슨 연방 주택·인프라부 장관은 7억6300달러를 투입해 버나비 브렌트우드 지역에서 대규모 임대주택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번 투자는 연방정부가 2017년부터 중산층 가정의 임대주택 건설을
촉진하기 위해 저금리 전액 상환 대출을 제공하는 ‘아파트 건설 대출 프로그램’(Apartment Construction Loan Program, ACLP)의 일환으로 진행되며, 대출 관리와 집행은 캐나다모기지주택공사(CMHC)가 맡고 있다.
ACLP를 통해 지원된 사례 중 두 번째로 큰 규모인 이번 프로젝트는
브렌트우드 중심부의 2132 Alpha Ave와 4608
Lougheed Highway에 들어서는 두 개의 건물로 구성된다. 완공 시 총 1279세대의 임대주택과 451세대의 분양용 콘도미니엄, 16만 스퀘어피트 규모의 상업공간이 조성될 예정이다.
또한 부지 내에는 새 버나비 커뮤니티센터를 비롯해 공공 광장과 야외 편의시설이 들어서며, 전체 개발 프로젝트는 ‘브렌트우드 블록(Brentwood Block)’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된다. 개발은 영국
런던에 본사를 둔 부동산 기업 그로베너(Grosvenor)가 맡는다.
이번 개발 프로젝트에는 연방정부의 지원금 외에도 그로베너와 파트너사들이 토지 및 현금으로 2억8340만 달러를 추가 투자했다.
로버트슨 장관은 “우리는 주택을 더 많이, 더 잘, 더 대담하게 지어야 한다”며
“임대주택 투자를 통해 BC를 비롯한 전국 지역사회 강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국민들이 필요로 하는 곳에 안정적 주거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CMHC에 따르면 ACLP는
총 550억 달러 규모의 프로그램으로, 2032년까지 전국에 13만1000세대의 신규 임대주택 건설을 위한 저금리 대출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2025년
6월으로 약 250억 달러가 이미 집행돼 6만3500세대 이상의 임대주택 건설이 진행 중이다.
손상호 기자 ssh@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