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동원 / 홈 인스펙터 Cell:604-868-7344 Email: geoinspec@hotmail.com |
플라스틱 파이프와 바닥 온수난방 시스템
플라스틱 파이프: 1950년도 전에는 가정에서 급수파이프로 나사 연결 식 아연도관을 많이 사용하였다.
이 파이프는 30-50년 수명을 가지고 있는데 대부분 Fitting에서 실패가 많았으며 녹이 파이프 안쪽에서 생겨 파이프를 막아 버리게 하기 때문이다. 또한 비슷한 비 아연도 스틸 파이프가 온수 난방시스템에도 사용되었는데 이 파이프의 수명도 50-70년 정도이다.
1950년 후에 동 파이프가 급수나 온수 난방 시스템에 쓰이면서 밴쿠버 지역에서도 해를 거듭하면서 산성 기의 수돗물은 동 파이프를 서서히 부식시키게 되었고 결국은 핀 홀이 생겨 많지는 않지만 물이 새기 시작하여 몇 년 동안 발견되지 않고 지낼 수가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 파이프의 수명은 밴쿠버 지역 내 주택에서 30-40년을 보이고 있으며 온수난방 시스템 내에서는 조기 실패 징후는 보이지 않고 있다.
1980년 초에 회색 플라스틱 Polybutylene 파이프가 사용되었는데 파이프를 서로 연결해주는 플라스틱 Fitting에서 문제 발생이 많았다. 이와 관련 집단 소송에 관련되어 있고 대신 Copper Fitting의 사용은 급수 시스템에서 일반화된 문제는 없는 걸로 알고 있다. 그러나 바닥 온수난방 시스템에서의 PB파이프는 문제가 되고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각 가정에는 플라스틱 파이프로서 PEX(Cross-linked Polyethlene) 파이프를 사용하고 있으며 강도 면에서 개선이 되었고 Copper Fitting을 사용하여 아직까지 실패 보고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인 견해로서 스틸 파이프가 아닌 플라스틱 파이프는 난방 시스템에서 성능은 장기간 사용시 온도가 올라갔을 때 약해지기 쉽다는 것이다. 따라서 플라스틱 파이프에 대해서는 약간의 의구심이 있으며 제품 수명을 예상치 못하고 언제 어디서 문제가 생길 수 있는 개연성이 있다.
바닥 온수난방 시스템 문제점: 보일러 급탕에 의한 온수의 이동으로 거실을 난방하는 방식으로 요즘은 바닥 복사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방식과 관련 여러 실패가 보고 되고 있는데 보수가 어렵다는 것이다.
① 난방 파이프가 바닥 마감재 아래의 콘크리트 속에 묻혀 있어 구조체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콘크리트 슬라브는 열을 축적하고 발산하는 기능을 한다.
② 난방설치업체의 다양한 의견과 체계화된 지식정보 공유가 아직까지 부족하다.
③ 최근의 짧은 상대적으로 적은 업체가 이 분야에서 업그레이드 경험을 갖고 있다.보일러: 보일러는 물을 화씨180도(섭씨82도) 정도로 가열한다. 이는 보일러 내부의 Heat Exchanger 에서 이뤄지고 있으며 오래된 사양의 무거운 주철 Heat Exchanger를 가진 보일러는 수명이 30-50년 정도이고 요즘 가볍고 새로 나온 보일러는 철이나 주철 혹 일부는 동을 사용하고 있다. 제조업체의 워런티는 10년 이상으로서 20-25년의 수명을 가지고 있다. 바닥 난방 파이프에서 문제가 있다면 보일러는 10년 안에 실패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파이핑: 바닥 복사열 온수 난방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파이프로서 회색의 Polybutylene 파이프가 있다. 이는 급수 라인에서는 이상이 없지만 바닥 난방시스템에 적용 시 너무 많은 공기가 파이프의 미세 관으로 공기가 들어가 온수의 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제조 업체에서는 물 온도 화씨140도(섭씨60도) 이상의 시스템 사용에는 주의 시키고 있고 급수용 파이프의 바닥 난방시스템 적용에는 제품 보증이 불확실한 상태이다. 초기 개선 제품으로 PB 파이프의 표면에 공기 투과 차단을 위한 Air Barrier를 사용하였으며 1998년 이래로 Air barrier PEX 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극히 예외지만 일부 PEX 제조 업체에서는 140도 이상에서의 사용을 경고 하고 있으며 어떤 업체에서는 25년 제품 워런티를 하고 있다.
위험성: 온수 바닥복사 난방 시스템에서 이 PB 파이프의 위험성은 다음과 같다.
① 하드웨어나 오래된 파이프에서 Copper Fitting의 부식이나 실패가 가속된다.
② 플라스틱 파이프 자체가 고온에 약해지기 쉽다는 것이다.
③ 폐 순환시스템 내에서 요즘의 Air Barrier 파이프도 어느 정도 산소 투과가 이뤄지기에 장래에 문제발생의 소지가 있다.
④ 믿을 수 있는 업체선정이 요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