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원 / 홈 인스펙터
Cell:604-868-7344
Email: geoinspec@hotmail.com

지하실 누수문제 - 지표수(Surface Water) 조절

지하실 누수 문제는 눈에 보이지 않게 서서히 진행되면서 어떤 문제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육안으로 발견되는 문제이다. 몇 년을 문제 없이 지내다가 그 전보다 비도 심하게 내리지 않았는데 얼었던 눈이 녹으면서 지하수위가 올라가고 하수관의 퇴적물이 쌓이고, 빗물 월류수(Runoff)의 하수관 유입으로 하수가 역류하고 지하 콘크리트 기초가 안정화(Settlement) 되면서 벽 균열이 진행되고 건물 주변의 나무가 성장하여 뿌리가 드레인 타일을 손상 또는 막히게 하는 문제 등은 우리가 인식을 하지 못하는 사이 서서히 진행된다. 홈 오너로서 누수문제를 처음 겪을 때는 문제의 재발 가능성을 없애기 위해서 건축 구조를 잘 아는 전문가의 관리 아래 눈에 보이지 않는 문제를 역추적하면서 하나씩 문제 해결해 가는 방법이 필요 이상의 공사로 인한 과잉 비용 지출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이라 하겠다.

▶지하실 누수원인을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가 있다.

① 지표수가 기초 벽으로 흘러 들어가는 경우
② 토양 속의 지하수가 충만하여 높은 수압으로 기초 벽에 영향을 주는 경우
③ 기초 드레인 시스템이 시 Storm Sewer에 연결된 경우 시 우수 관으로부터 우수가 역류하여 드레인 타일로부터 지하가 누수 되는 경우
④ 합류식 하수처리 시스템에서 오수가 역류하여 후로어 드레인이나 배관 설비로 오수가 넘치는 경우이다.

■ 지표수 조절

지하실 누수 문제가 처음이라면 먼저 점검해야 할 사항은 많은 양의 빗물이 지하 벽으로 흘러 들어 가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 확인 및 문제 해결방법은 다음과 같다.

● 홈통이 막혀서 빗물이 넘치는지 확인한다. 이는 홈 오너의 주기적 관리 사항으로서 건물 주변 나무시재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일년에 2번은 청소를 해주어야 한다. 시중에는 낙엽으로 인한 홈통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제품들이 판매되고 있다.

● 선 홈통에 빗물받이를 설치하여 빗물을 가능한 건물에서 멀리 흐르게 한다.

● 선 홈통이 지하 드레인 파이프에 연결되었다면 이 파이프는 높이를 달리하고 있는 드레인 타일에 연결되지 말고 별도의 라인으로 배수처리 해야 한다. 이의 확인은 집 수정에서 할 수 있다. 지붕의 빗물이 드레인 타일에 연결되면 집수정 펌프의 오작동, 나무뿌리로 인한 드레인 타일 막힘 등으로 지하침수의 직접적 원인이 된다. 간단한 해결방법은 지표면 우수 처리하는 것이다.

● 집 주변의 콘크리트 보도가 되메우기 흙의 안정화 때문에 벽 쪽으로 경사져 물이 고여 있는지 확인한다. 경사를 수정하여 물이 고이지 않게 해줄 필요가 있다.

● 콘크리트 보도와 벽이 맞닿는 곳과 드레인 파이프 주변이 물이 흘러 들어가는지 확인하고 빗물이 흘러 들어간다면 청소 후 간극의 크기에 맞는 백업재를 먼저 넣고 경화 균열 되지 않는 실런트를 주입한다.

● 기초 벽 주변이 흙의 처짐으로 물이 고인다면 진흙 계통의 흙으로 경사지게 메우되 지표면과 건물 외부마감재는 8인치의 간격을 유지해 주도록 한다.

● 지하 창문이 지면보다 낮은 경우 Window Well이 있는데 창문 아래에서 6인치 이상 여유를 두어 빗물이 넘치지 않도록 하고 물이 잘 빠지지 않고 넘치는 경우는 하부에 진흙으로 되메우기 된 것을 골재로 치환해줘야 한다.

● 대지 지형 조건에 의해 빗물이 집으로 흘러 드는 경우 건물 외곽으로 빗물이 유도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Catch Basin은 막히지 않게 청소해준다. 빗물의 유입이 우려되는 정도라면 전문가의 판단에 따른 해결 방법이 요구된다.

● 집 주변 스프링클러 헤드가 건물로 향하지 않도록 조절을 해주고 비 오는 날도 작동되어 지하수위를 배가시키지 않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