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좋은 정보 많이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한가지 궁금한 것이 있어서요...가스비 청구서가 날아오는데 요금 산정이 어떻게 되는지 알 수가 없네요. 올해 3 월 1 일 이 집으로 이사 와서 지금까지 살고 있는데요, 여름이나 요즘이나 가스비가 똑 같아요. 어떤 기준으로 산정이 되는 건지요. 만물박사님처럼 저도 가스는 쓰지 않고 전기 난로를 쓰고 있거든요. 조언 부탁 드립니다.


A : 안녕하세요. 가스요금은 가스사용량을 열량단위(GJ:Giga Joule)로 환산 한 값에 2005년 10월 1일부터 오른 가격인 9.947달러를 곱한 값에 기본요금(Basic Charge:월 10.70달러)과 배달요금(Delivery:가스사용량에 2.822달러를 곱한 값)을 합산한 뒤 7% GST를 추가한 가격입니다.

가스사용량은 가스미터의 다이알 눈금은 무시하고 숫자로 나오는 값(㎥:부피의 단위인 입방미터)을 매월 같은 날(주로 15일 전후) 읽어서 전달 읽은 값을 뺀 1달 사용량을 열량 단위인 GJ로 환산하기 위하여 열량상수(Gross Heating Value:대부분이 메탄가스와 소량의 에탄과 질소가스로 조성된 천연가스는 그야말로 천연가스이므로 그 조성비가 여타 공산품처럼 일정할 수 없기 때문에 상수는 매달 조금씩 차이가 납니다)을 곱한 값입니다. 

실제로 집에서 사용하고 있는 곳은 Water Heater와 Furnace, Gas Fireplace, 간혹 Dryer와 BBQ 그릴을 천연가스로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난방과 온수를 쓰는 샤워, 목욕물, 세탁, 설거지 등등의 빈도에 따라 요금이 변할 수 있고 외부온도에 따라 같은 양의 온수를 쓰시더라도 사용량은 달라 질 수 있습니다.

 가스요금 청구서의 오른쪽 중간에 그려진 막대 그래프의 처음 막대와 마지막 막대를 비교해 보시면 작년의 같은 달에 비해서 더 썼는지도 알아 볼 수 있습니다.

 식구수와 청구서 막대그래프 바로 윗줄에 나와 있는 월 평균기온이 전년도와 차이가 없는데 막대그래프의 시용량이 갑자기 늘었다면 가스미터를 의심해 볼 수도 있겠지만 실내 보온 상태를 월동준비 방법에 대해 꼼꼼히 점검해 보는 것이 우선일 것 입니다.

 난방에 가스를 사용하지 않으신다면 가스요금은 연중 일정할 수도 있습니다. 저의 집도 작년 초까지는 20~25달러정도로 일정하였는데, 사춘기에 접어 든 아이 세명이 아침저녁으로 씻어대며 옷을 갈아입으니까 월 40달러에 육박하는군요. 따지고 보면 난방가스보다 급탕 가스는 싼 편이라고 생각되어서 나무라지 않고 그냥 둡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