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색은 국적이나 연령을 불문하고 10명중 6명은 선호하는 색깔입니다. 취향 차이가 있다면 한국인이나 일본인은 정적인 흰색을 선호하는 반면 유럽계들은 동적인 흰색을 선호합니다."

페인트 전문가 랄프 소데니스키씨는 최근 흰색이 일부 공간에 한정해 다시금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거실, 침실, 화장실에는 흰색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 반면에 아이들 방이나 홈 시어터가 배치된 베이스먼트에, 패밀리룸같은 공간에 흰색을 택하는 사람은 매우 드물다.

흰색계통 중에서도 가장 인기 있는 흰색은 크리미 화이트(Creamy White)로, 부드러운 느낌을 주며 하드우드 플로어와 잘 어울린다. 침실에는 로즈 화이트나 올가닉 화이트, 빈티지 화이트가 있다. 소데니스키씨는 "로즈, 올가닉, 빈티지는 분홍색이나 갈색이 약간 가미된 색상으로 젊은 층은 클라우디 화이트나 아이보리 화이트, 바닐라 화이트 등 흰색 중에서도 밝은 느낌을 내는 색상을 좀 더 선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무미건조한 단순함, 극단적인 모던 인테리어의 배색으로는 크리스털 화이트가 깔끔함을 강조하는 사람에게는 위스테리아 화이트나 캔바스 화이트가 추천 색상이다.

소데니스키씨는 "약간의 재미를 더한 색으로 애플 화이트가 있으나 쉽게 권하기는 어렵다"며 "강한 색상의 가구를 사용하는 공간이라면 전체 균형을 깰 수 있는 흰색치고는 느낌이 강한 색이 애플화이트"라고 소개했다.

잔잔한 색상에 강렬한 빛 하나... 아이들방

자녀들의 방은 창조력을 높여주는 색깔이 인기다. 올해 유행은 부드러운 파스텔톤이다. 소프트 옐로우를 중심색으로 분홍빛 소피아, 커피색상이 약간 가미된 앱솔먼트, 녹색 계통의 사이프러스를 택해 자녀의 놀이방을 꾸미면 활기찬 분위기를 낼 수 있다.

프리미어 페인트사가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청색은 평안하고 정신을 고양시키는 색상이다. "잠시라도 가만히 있지 않고 지내는 아이들에게 파란색 계열은 차분함을 더해주는데 도움된다"고 인테리어 디자이너 밀러 데이비슨씨는 설명했다.

적색은 따뜻하고 활력을 불어넣어주는 색상이다. 오렌지 계통 역시 밝고 기운을 더해주는 색상이다. 녹색은 자연과 조화를, 바이올렛은 부드럽고 매력을 더해주는 색상으로 여아들 사이에 인기가 높다.

밴쿠버의 코드는 ‘얼스’

"독일, 스위스의 산장 형태를 본 딴 콘도 등 밴쿠버 특유의 건물 외장에 어울리는 색상은 올해 인기색으로 선정된 얼스 계통이다." 건축가 존 베리씨는 올해 밴쿠버에 인기 색으로 "크림을 잔뜩 친 커피 빛과 우유를 탄 듯한 녹색"을 뽑았다. 버피, 마리안 미도우 등이 원래 색 명칭으로 '튀는 색'이라기 보다는 주변과 조화를 잘 이루는 색감이다.

주택 외장에는 보통 4가지 색이 사용된다. 브러쉬 우드, 디자이너스 트렌드, 브런트 엄버, 사우전 파인 조합이 언덕이나 산자락에 있는 집주인들의 눈길을 끈다면 부스베이 하버, 위쉬스, 소어링 이글, 제퍼슨 하우슨은 바다나 강가에 있는 집들에게 시원한 색을 부여해 준다.

가을 분위기를 내는 배색으로는 써리 베이지, 유로피안 화이트, 프렌치 그레이프, 우드랜드 펄 배색이 있다.

차분함과 깔끔함을 추구하는 사람을 위한 배색으로는  오텀 헤이즈, 뉴트리아, 우드헤븐, 햄록 그린 또는 로만 퍼플 배색이 꼽힌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