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부동산협회(CREA)는 지난 16일 올해 주택 시장 마감과 내년 시장 전망을 통해 올해보다 나은 내년을 예상했다.
협회는 올해 시장 흐름과 관련해 "여름과 초가을 예상보다 주택 거래가 활발했는데, 이는 미리 받아놓은 낮은 모기지 금리 약정이 만료되기 전에 구매를 서두른 이들의 영향이었다는 분석이 있다"며 "올해 4분기에 발생한 거래량 급락은 이런 분석에 더욱 힘을 실어주고 있다"고 밝혔다.

<▲ 연도별 캐나다 주택 거래량. 자료원=CREA>
모기지 규정 변화와 관련해 전국적으로 월간 거래량 차이가 최근 몇 년간 늘어나기는 했지만, 연간 기준으로 볼 때 거래량은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 6년 연속으로, 2013년도에도 캐나다 전국에서 45만 건을 약간 넘는 주택 거래량을 보였다.
거래활동과 주택 가격은 서부 캐나다에서 예상보다 강세를 보였다. 동부 캐나다 거래활동과 주택 가격은 일반적으로 서부보다 미진했다.
로라 레이저(Leyser) CREA회장은 "부동산시장 흐름과 전망은 지방과 동네의 지역적 요소에 따라 매우 큰 차이가 날 수 있다"며 구매자나 판매자는 지역 흐름을 잘 따져보려면 전문 중개사와 상담해보라고 권고했다.
부동산 거래량, 전년대비 올해 0.8% 내년도 3.7% 증가
BC주 2014년 거래량 올해보다 8.4% 증가해 시장 주도
2013년 캐나다 전국 주택 거래량은 12월 전망치를 포함해, 45만8200건으로 전년 대비 0.8% 증가한다고 CREA는 예상했다. 올해 거래량 전망치는 BC주를 포함, 앨버타주, 새스캐처원주, 매니토바주, 온타리오주의 거래량을 이전 전망치보다 소폭 올려 합산한 결과다. 이전 CREA 전망보고서는 BC주와 앨버타주만 올해 거래량이 2012년 수준을 넘어선다고 예상했는데, 이번 보고서에서는 온타리오도 지난해 수준을 약간 넘어선다고 보았다.
오는 2014년 캐나다 전국 주택 거래량은 74만5000건으로 올해보다 3.7% 늘어난다는 예상이 나왔다. CREA는 2013년에는 약세장으로 시작했으나, 2014년초에 이러한 장세는 반복되지 않는다고 내다봤다.
특히 BC주는 2014년에 부동산 거래량이 올해보다 8.4% 증가해 캐나다 부동산 장세 상승을 견인할 지역으로 지목됐다. 협회는 2014년도 BC주 부동산 시장 장세가 "약세를 보였던 2013년 초반과 비교해 평소 수준 이상으로 활발해 진다"고 보았다. 타주는 2~4% 거래량 증가가 예상됐다.

<▲ 캐나다 주택 거래량. 자료원=CREA >
캐나다 주택 평균가격 올해 38만2200달러
2014년 평균가격은 39만1100달러 예상캐나다 전국 주택 평균가격은 가격이 높은 지역에서 거래량이 늘어나면서 평균에 반영되는 비중도 늘어나 예상보다 단단한 상승세를 보였다. 캐나다전국주택평균가격은 올해 38만2200달러로 전년보다 5.2%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평균 가격 오름세가 전국 평균 수준과 유사한 수치를 보인 주로는 프레이리지역 주들과 온타리오주, 뉴펀들랜드주로, 다른 주들은 평균 오름세보다 낮게 올랐다.
그레고리 클럼프(Klump) CREA 수석경제분석가는 "많은 대도시 중심지역을 포함해 대부분 주택 시장이 균형을 잘 잡고 있다"며 "주택가격은 항상 수요보다 공급이 부족한 지역에서 오름세를 보이기 마련인데, 이러한 모습이 캘거리와 토론토 시내 저층 주택 시장을 포함해 온타리오주 남부에서 관찰되고 있다. 반면에 가격 상승이 제한적인 지역으로는 퀘벡주 일부와 대서양연안주 일부 지역으로, 판매자간 경쟁이 증가한 곳이다"라고 설명했다.
2014년도 캐나다전국주택평균가격은 올해보다 2.5% 오른 39만1100달러가 될 것으로 협회는 예상했다. 평균가격 상승률은 2012년말 약세에 이어 2013년 1분기 동안 하락세를 그렸던 것이 회복되는 상황이 반영된 수치다.
2014년도 평균 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게 나타날 지역으로 협회는 앨버타주(3.4%)를 꼽았다. 이어 새스캐처원주, 매니토바주, 뉴편들랜드주는 소비자물가상승률(CPI) 이상 평균가격 상승을 보일 지역으로 지목됐다. 온타리오주는 CPI보다 약간 낮은 수준의 가격 상승이 예상됐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 캐나다 주별 평균가격 동향 및 전망치. 자료원=CRE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