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원 / 홈 인스펙터
Cell:604-868-7344
Email: geoinspec@hotmail.com

여름철 집을 시원하게 만들기(열 차단)

열 차단(Blocking the Heat)하는 방법으로서 Insulation, Shading이 있다. 인슈레이션은 실내를 쾌적하게 하고 에어컨이나 전기 Fan 같은 기계적 냉방가동 비용을 절약할 수가 있으며 쉐이딩은 햇빛을 차단하고 태양열을 흡수 또는 반사 시킨다.

- Insulation: Weatherization 방법- 단열재, Weather stripping, 코킹 등의 방법으로 열 전달 차단함으로써 여름과 겨울철의 냉 난방 부하를 감소 시킬 수 있다. 단열재의 적용에 있어 우선적으로 고려할 곳은 지붕 밑 Attic 공간으로서 실내 열 취득의 주요부분이 되고 있기에 천정 단열은 최소 R-30을 요구한다. 벽 단열은 바깥온도가 Attic 공간보다 온도가 높지 않기에 냉방에 있어 Attic 보다 중요성은 떨어지며 바닥단열 또한 냉방 부하에 거의 영향을 안 준다. 외부 더운 공기의 틈새 유입도 실내 온도 상승에 영향을 주는데 코킹, 웨더스트리핑과 같은 방법으로 주로 창호 주변, 전기박스, 기초 벽과 외벽 사이에 적용하면 단열 효과에 큰 도움이 된다.

-Shading: 나무, 식물식재, 내 외부 쉐이드 장치의 설치로 실내온도를 11°C 정도 낮출 수 있다.
Landscaping은 집을 그늘지게하기 위한 자연적이면서 아름다운 방법이다. 잘 위치된 나무나, 부쉬, 넝쿨은 그늘 효과를 주면서 건물의 미관을 돋보이게 한다. 식물 선택은 지역 기후조건에 맞는 수종으로 선택하면 되겠고 수고, 성장률, 가지 퍼짐, 모양 등이 나무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낙엽수는 여름에 햇빛을 차단하고 겨울에는 햇빛을 실내로 들어오게 하기에 이의 적절한 배치가 중요하다.
넝쿨(Vine)도 Shading과 Cooling에 좋은 방법이다. 외벽 자체는 피하고 Trellis 위에 자라게 하여 창 또는 외벽을 그늘지게 할 수 있다. 이들 나무, 넝쿨은 쉐이드 효과 외에 미세기후를 만들어 건물 주변의 온도를 5°C나 줄일 수 있는데 이는 나뭇잎이 광합성 작용으로 많은 양의 수증기가 발산됨에 따라 주변 공기를 시원하게 만들며 일반적으로 어둡고 거친 잎들이 태양열을 잘 흡수한다. 그리고 지표면을 잔디나 낮은 키의 Bush로 덮어준다면 여름철에 맨 땅보다 6°C 정도 온도를 낮춰 줄 수가 있다.

☞ 식물시재 계획
랜드스케이핑 할 때 나무의 사용 용도로서 소음차단을 위한 Buffer Zone, 프라이버시, 쉐이딩, 방풍, 건물 미관향상 등 다양한 목적에 따라 수종선택 및 시재위치를 선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나무의 위치는 건물의 북동, 남동쪽 북서, 남서쪽이 좋고 낙엽수는 남쪽 면에 심으면 여름에 그늘과 겨울에 햇빛을 집안 깊숙이 주기에 이롭다.
- 나무와 관목을 조화시켜 통풍이 잘되게 시재하고 빽빽하게 상록수를 시재하여 신선한 공기의 흐름을 막지 않도록 한다.
- 넝쿨은 격자 시렁을 사용하여 건물 외벽과 간격을 주어서 내부가 공기의 순환이 될 수 있도록 하고 건물 가까이 붙여 시재하여 외벽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도록 한다.
- 나무를 건물가까이 시재하면 뿌리로 인해 건물 기초에 손상이 가니 피하며 아울러 정화조, 하수라인, 지하와이어 주변도 피하는 것이 좋겠다.
- 수종 선택 시 지역 기후에 잘 자라는 수종으로 선택하면 무리가 없을 것 같다.

Shading Devices: 실내, 외부에 대한 차양 막 설치로 열 취득을 조절할 수가 있는데 외부차양이 내부 차양보다 빛을 창에 들어가기 전에 막기 때문에 더 효과적이다. 차양 막 설치 시 고려할 점은 창문의 개폐여부 및 환기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를 고려해야 되겠고 외부차양 막으로는 오닝(Awning), 루버, 셔터, 롤링셔터, 쉐이드, 스크린 등이 있다.

오닝은 직접적으로 창 밖에서 햇빛을 차단하기에 매우 효과적이고 남쪽 창에서는 65% 동쪽 창에서는 77%까지 열 취득을 줄일 수가 있다. 밝은 색깔은 햇빛을 반사하기에 그 효과를 배가할 수 있으며 설치 시 오닝의 상부 벽면과 접하는 부분은 간극을 줘서 오닝 하부의 온도 상승을 순환시킬 필요가 있겠다. 추운 겨울 날씨에는 열 취득을 위해 오닝의 제거 또는 움직일 수 있는 사양도 고려해볼 만하다. 드롭되는 양은 동 서쪽인 경우 창문 높이의 65-75%정도 남쪽은 같은 차양 효과를 위해 45-60%가 필요한데 시야를 고려 한다면 45도가 적정하다. 높이 2미터 이내는 통행에 방해되게 돌출 시켜서는 안되며 조망 차단은 베네치안 오닝을 사용하여 제한된 조망을 즐길 수가 있겠다.

루버는 수평, 수직의 Slate를 조절할 수가 있기에 매력적이고 집 내 외부에 설치가 가능하다. 셔터는 나무 또는 금속판으로 움직일 수 있게 만들어서 프라이버시, 보안, 보온 기능을 함께 가지고 있다. 롤링 셔터는 천으로 된 쉐이드를 트랙에서 내려 햇빛을 조절하는 것으로 편리하면서도 가장 비싼 방법 중의 하나이다. 태양 스크린은 조망이나 공기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햇빛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비록 내부 쉐이딩은 외부 쉐이딩보다 효과적이지 못하지만 앞서 언급된 방법이 불가능하다면 내부 쉐이딩을 고려할 수 있다. 드레이퍼리나 커튼은 촘촘히 짜인 경우 밝은 색의 천이 햇빛을 잘 반사시키며 두 겹의 커튼은 단열 효과를 증가 시킨다. 베네치안 블라인드는 드레이퍼리 만큼 효과적이지 못하지만 열을 반사시키면서 빛과 공기를 조절할 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