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원으로 분담금(share purchase)을 내고 가입하면 시장가격보다 다소 저렴하게 월 임대료를 내고 거주할 수 있는 공영주택(Co-op housing 이하 코옵)에 대한 연방정부 지원금이 끊기게 된다.

그간 연방정부와 주정부는 각각 저소득 조합원의 임대료 일부를 지원(subsidy 이하 지원금)해왔다. 지원금을 받는 조합원은 저렴한 임대료를 내고 코옵에 거주할 수 있다. 

BC공영주택연합(Co-operative Housing Federation of BC) 솜 암스트롱(Amstrong) 이사장에 따르면 문제는 연방정부가 코옵 섭시디 업무를 주정부로 이관하면서, 일부 연방정부 지원금이 끊기는 상황이 됐다는 점이다. 지원금이 끊기면 조합원은 시장가격 임대료를 본인이 전액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부담이 2~5배까지 늘어날 수 있다. 

연합 자료를 보면 현재부터 2017년까지 BC주내 코옵 거주자 4세대 중 1세대는 지원금을 받지 못하게 돼, 약 1500세대가 당장 임대료를 감당 못하는 위기 상황에 처해있다. 2020년이되면 위기에 처한 세대는 3000세대로 늘어난다. 

연합에서는 주정부가 코옵 지원금을 늘려야 한다며 대응 캠페인("You Hold the Key”)을 벌이고 있다. 

한편 연방정부 지원금이 끊기면서 주정부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코옵으로 옮기려는 조합원이 늘어, 일부 코옵에는 신청자가 상당히 늘어난 상태다. 

단 모든 조합원이 임대료 지원금을 받는 것은 아니다. 코옵마다 비중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전체 가구 중 1/3정도만 지원을 받는다. 따라서 중산층 조합원은 시장가격 임대료 전액을 내며 코옵에 살고 있기 때문에 지원금이 줄어도 내고 있는 임대료에는 영향이 없다.

다만, 갑작스러운 실직이나 은퇴 등으로 인해 소득이 줄었을 때, 연방정부 지원을 받던 코옵 거주자는 월임대료 할인을 받기 어려워진다. 
중산층이 코옵에 사는 이유는 시장가격 임대료더라도 실제 개인·사설임대전용 주택에 내는 월 임대료보다는 다소 저렴하게 책정돼 부담이 상대적으로 덜하기 때문이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