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원 / 홈 인스펙터
Cell:604-868-7344
Email: geoinspec@hotmail.com

잘못된 전기공사 사례들 (3)

■ 파워 공급 케이블 미 설치

어리석은 일이라 생각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공사를 하다 보면 이런 일이 안 생긴다는 보장은 없는 것이다. 전기 공사를 하는데 있어 업자가 바뀔 경우 나중에 들어온 업체가 겪을 수 있는 문제로서 낚시꾼이 미끼 없이 낚시를 간 경우와 같다 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이미 마감이 된 벽을 다시 뚫고 공사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해결책: 계획을 변경하지 말고 당초 계획한 데로 와이어 공사를 하라는 것이다. 이런 실수를 줄이려면 일정의 자기 룰을 가지고 작업을 하면 되는데 일례로 파워라인 케이블은 항상 상부 왼쪽 Knockout을 이용하고 그 외는 다른 knockout을 사용하면 나중에 아웃렛 박스를 확인 시 파워라인 설치 여부를 쉽게 판단 할 수가 있다.

■ 리™W터클과 스위치의 와이어 연결 문제

스위치와 리™W터클에서의 와이어를 후면 작은 구멍에 밀어 넣어 연결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전기 코드에서도 허용되며 많은 업자가 쉬운 이런 공사 방법을 취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런 연결 방법은 나중에 와이어가 빠질 가능성이 있고 접촉이 느슨해질 경우 열 발생 우려까지 있다.

해결책: 집안 내 리™W터클이나 스위치에 와이어가 Push-in연결 방식으로 연결된 곳에는 품질 좋은 스크류 연결 방식으로 바꾸는 것을 권한다.


■ 전기 케이블의 박스 안에서 와이어 연결 방법

파워 라인에서 들어오는 케이블과 나가는 케이블의 리™W터클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 오류 하는 것이 있다. 이는 들어오고 나가는 Hot & Neutral 와이어 전부를 리™W터클에 바로 연결 시키는 경우이다. 이 방법은 리™W터클이 깨지거나 제거될 경우 혹은 와이어가 구멍에서 빠질 경우 이 이후에 연결된 모든 리™W터클의 파워가 없어지는 일이 생길 수도 있다.

해결책: 전기 박스에서 들어오는 케이블과 나가는 케이블의 리™W터클과의 연결 방법은 짧은 와이어(Pigtail이라 부름)를 별도로 리™W터클에 연결하고 이 와이어 다른 끝에 케이블 와이어를 서로 인슈레이션 캡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법을 취한다. 그러나 회로의 마지막 리™W터클에는 와이어를 직접 연결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