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인구 증가가 당장 노인 아파트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살 곳을 찾기는 어려운 데 가격마저 올랐다.

캐나다주택모기지공사(CMHC)는 31일 BC주 노인 전용 임대 아파트 공실률이 4.5%로 지난해보다 2%포인트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노인 아파트 공실률 하락은 캐나다 전국 추세다. 온타리오주는 10.4%로 2009년 이래 최저치다. 퀘벡주도 6.2%로 전년도보다 소폭 하락했다. 노인 아파트 공실률은 BC주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65세 이상 노인 중에, 시장 가격으로 임대료를 내고 노인 전용 설비를 갖춘 아파트에 살면서, 아직은 일상생활에 남의 도움을 받지 않고 사는 이들이 늘었다는 의미다. 특히 메트로밴쿠버 노인 아파트 공실률은 2.3%에 불과하다.

키스 스튜어트(Stewart) CMHC소속 BC주 시장분석가는 “올해 BC주 노인 아파트 공실률이 2016년과 비교해 2%포인트 가까이 떨어졌다”며 “월세는 수요와 운영 경비 인상으로 올랐다”고 말했다. 스튜어트 분석가는 비싸진 월세를 일부 노인은 “지난 몇 년간 상당히 오른 주택 가격을 이용해” 감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달리 풀어보면 구매가보다 오른 가격에 집을 처분한 노인은 그 자금으로 오른 월세를 감당하고 있지만, 그렇지 않은 노인은 거주지를 바꾸고 있다는 뜻이다.

CMHC는 노인전용 주거시설을 두 종류로 분류해 통계를 낸다. 정식 명칭으로 ‘독립생활(independent living)’ 또는 ‘정규 공간(standard spaces)’으로 분류하는 노인 아파트가 한 종류다. 노인 아파트는 최소 5세대 규모 이상 한 건물에 세 든 사람 반 이상이 65세 이상이며, 입주자가 하루 1.5시간 미만 가사 도움을 받을 때 이렇게 분류한다.  노인 아파트 월세는 일반 아파트보다 비싸다. 노인 전용 설비나 서비스가 있기 때문이다.

통계에 나오는 또 다른 종류로 ‘비정규 공간(non-standard spaces)’이 있다. 하루 1.5시간 이상 가사 도움을 받으며, 임시 거주 용도거나 요양 시설을 말한다. 양로원이 대표적이다.

메트로밴쿠버 내 노인 전용 주거 시설은 크게 배츨러(bachelor)와 침실 1개형이 주종이다. 배츨러는 한국식 조어로 ‘원룸형’을 말한다. 메트로밴쿠버에는 총 1만4559세대 노인 전용 주거시설이 있는데, 이중 배츨러가 6082세대, 침실 1개형이 7406세대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침실 2개형 이상은 1071세대에 불과하다. 또 노인 아파트는 대부분 침실 1개형이고, 양로원은 대부분 배츨러형이라는 특징도 있다.


◆ 메트로밴쿠버 노인 아파트 부족 심화

메트로밴쿠버 노인 아파트는 올해 들어 지난해보다 300세대가 새로 늘었지만, 수요는 더 많이 늘었다. 이 결과 대부분 지역에서 공실률 하락과 월세 상승이 일어났다.

메트로밴쿠버 침실 1개형 공실률은 지난해 6.1%에서 올해 3.3%까지 급감했다.  평균 월세는 올해 3375달러로 지난해보다 35달러 올랐다. 메트로밴쿠버 노인 아파트 전체 세대 중 거의 반(44.7%)은 월세가 2900~4999달러 사이다. 월세 1900달러 미만은 노인 아파트 10곳 중 1곳(10.2%)에 불과하다.

달리 표현하면 빈 노인 아파트 찾기가 지난해보다 올해 더 어려워졌고, 월세도 더 많이 주고 계약하는 상황이다.

메트로밴쿠버 내에서 노인 아파트 월세가 가장 저렴한 지역은 써리·델타로 침실 1개형 월세가 평균 2897달러다. 월세가 가장 비싼 곳은 노스·웨스트 밴쿠버로 5452달러다. 노인 아파트 월세가 가장 저렴한 곳과 가장 비싼 곳에서 보이는 공통점은 지난해보다 올해 빈 집 찾기가 어려워졌다는 점이다. 써리·델타 노인아파트 공실률은 2016년 4.8%에서 올해 2.2%로 급감했다. 노스·웨스트 밴쿠버 공실률은 같은 기간 3.6%에서 1.4%로 줄었다. 이러한 공실률 급감은 메트로밴쿠버 외곽지역까지 영향을 미쳤다. 애보츠포드·미션 공실률이 1.9%, 칠리왁·호프·아가시즈가 2.9%다.

상대적으로 공실률이 높은 곳은 버나비(7.4%), 밴쿠버(6.6%), 랭리(5.4%)다. 버나비·밴쿠버는 지난해보다 공실률이 많이 줄었지만, 여전히 높은 편이다. 밴쿠버·버나비 지역 노인 아파트 공실률은 높은 이유는 고급 거주지 비율과 관련을 찾아볼 수 있다. 밴쿠버시·웨스트 밴쿠버 등이 속한 코스털 보건청 통계를 보면 월세가 5000달러 이상인 노인 아파트 비율이 3곳 중 1곳 꼴(36.5%)로 메트로밴쿠버 평균(11.3%)보다 3배 많다.   
한인이 많이 거주하는 트라이시티(코퀴틀람·포트코퀴틀람·포트무디) 노인 아파트 공실률은 지난해 2.2%에서 올해 1.7%로 하락했다. 트라이시티 노인 아파트에서 침실 1개형을 빌리는데 월평균 3559달러가 든다.

◆ 양로원에 들어가는 나이, 평균 82세

메트로밴쿠버 양로원 평균 이용자 나이는 82세로 집계됐다. 65세부터 노인 아파트를 이용한다고 가정하면, 근 17년간 독립적인 생활을 하다가 공공 기관에 도움을 받기 시작하는 셈이다.  

문제는 메트로밴쿠버에서는 양로원에 들어가기도 쉽지 않다는 점이다. 요양시설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양로원 공실률은 올해 2.3%에 불과하다. 특히 밴쿠버 코스털 보건청에서는 배츨러형 공실률이 0.7%다. 원하는 장소나 시설에 들어가기란 노인 인구가 증가하는 현재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CMHC는 보고서에서 “BC주 노인 인구 증가가 노인 주거 수요를 계속 늘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인 전용 주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하루 3식(전체 시설 중 50.6%) 또는 2식(36.9%) 제공과 24시간 호출서비스(93.8%)가 대표적이다. 시설에 따라 있는 설비나 서비스로는 교통편제공(44.9%), 부설 의료시설(38.8%) 또는 간호서비스(29.6%), 약국(5.3%) 등이 있다.  수영장(2.9%)이나 핫텁(18%), 영화 관람실(34%) 등을 갖춘 비율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운동시설(62.8%)과 인터넷 접속(76.9%)을 제공하는 비율은 높다. 대체로 50실~89실을 기준으로 하는 중형 또는 90실 이상 대형 시설일 수록 제공 설비·서비스 종류가 많은 편이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