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시 대마불사?”
캐나다 주요지역 주택시장이 경기침체 이전수준으로 회복됐다. 부동산전문기업 리맥스(Re/Max)는 24일 발표한 자료에서 조사대상 11개 지역 가운데 7개 지역의 주택가격이 2008년 최고기록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캐나다 전국의 주택평균가격(31만2585달러)은 지난해보다 0.5%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뉴펀들랜드(18.1%), 리자이나(6.4%), 핼리팩스(18.1%), 위니펙(3.5%), 오타와(3.3%), 토론토(0.3%)에서 가격이 올랐다. 올해 8월까지의 판매량 증가는 밴쿠버(14%)가 가장 많았고 빅토리아(7.4%), 에드먼튼(6.2%) 등의 회복세가 상대적으로 두드러졌다. 낮은 이자율에다 지속적인 주택 수요증가, 소유여건 개선 등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됐다. 흥미로운 것은 메트로 밴쿠버 주택가격이 1980년 10만65달러에서 2009년 57만4061달러로 473.9% 뛰었다는 점이다 같은 기간 캐나다 전체평균 주택가격은 6만7024달러에서 31만2585달러로 366.4% 올랐다. 또, 1981년 58.5%에 머물던 밴쿠버 지역 주택소유비율은 58.5%에서 65.1%로 높아졌다. 캐나다 전역의 내 집 소유 비율은 62.1%에서 68.4%로 상승했다. /이용욱 기자 lee@vanchosun.com
밴쿠버 조선
2009-09-25 00:00:00
-
“주택시장 열기 쭉 이어진다”
캐나다 주택시장을 낙관적으로 보는 시각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최근의 열기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부동산 전문기업 로얄 르페이지(Royal LePage)가 전국의 부동산 중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61%가 강세지속(sustainable)을 점쳤다. 특히, 응답자의 66%는 사상최저 수준의 금리를 주택시장 강세의 주요인으로 꼽았다. 반대로 주택시장을 부정적 보는 응답자 가운데 36%는 조만간 금리가 상승할 것이라는 점을 지적했다. 또, 고용시장의 여건이 개선되지 않는 이상 구매력 증가는 한계가 있다는 응답도 많았다.(20%) 주택구매자의 시장참여가 늘어난 원인으로는 금리 외에도 경기회복(9%), 가격상승기대심리(6%) 등의 대답이 나왔다. 반대로 강세를 띠고 있는 시장에서 굳이 집을 팔려는 사람에 대한 분석도 흥미롭다. 보다 큰 집으로 옮기려는 경우가 33%로 가장 많았고 작은 집으로 줄이려는 경우는 25%였다. 이밖에 다른 지역으로 이사(15%), 투자자금 회수(12%), 은퇴(6%) 등을 이유로 꼽았다. 한인부동산 중개사 P씨는 “일반화하기는 어렵지만 최근 거래된 한인 주택의 경우 다운사이징이나 투자자금 회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느낌”이라고 했다. 그는 또, “일부 구매자들은 집값이 더 이상 떨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하면서 주택구입에도 주저함이 사라지는 분위기”라고 했다. /이용욱 기자 lee@vanchosun.com
밴쿠버 조선
2009-09-18 00:00:00
-
동네방네 주거정보 09년9월 셋째주
동네방네 주거정보는 메트로 밴쿠버 거주자들에게 지역에서 발생한 소식을 알리는 자리입니다. 혼자 알기에 아쉬운 정보나 소식을 제보해주시면 지면에 반영하겠습니다. (담당자: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메트로 밴쿠버 골든 이어스 브리지 영수증 확인 필수 트랜스링크(Translink)는 9월1일부로 골든 이어스 브리지(Golden Ears Bridge) 이용청구서 8만5000여장을 BC주 운전자들에게 발송했다. 문제는 비용이 과다 청구된 사례가 있다는 점이다. 교량 위의 감지장치가 한 이용자의 차량을 편도 이용료 2달러75센트로 계산되는 일반차량(car)이 아닌 5달러55센트로 계산되는 소형트럭(small truck)으로 오인하는 바람에 해당 이용자는 과다하게 청구된 청구서를 받은 바 있다. 트랜스링크는 감지기가 97% 정확성을 갖고 있다고 밝혀 3% 오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용자는 청구서를 꼼꼼히 살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복지주택 거주자 장학금 BC복지주택공사(BC Housing)는 주거지원금을 받으며 복지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93명이 학업을 마칠 수 있도록 장학금 총 7만4750달러를 지원했다고 발표했다. 공사를 관할하는 리치 콜맨(Coleman) BC 주택 및 사회개발부 장관은 16일 “개인이 교육 목표를 달성해 (주거지원금 없이) 좀 더 독립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장학금제도를 운영하고 있다”며 “거주자들이 경제적으로 자립하도록 이끄는 것이 제도의 목표”라고 밝혔다. 복지주택 거주자에게 지원된 장학금은 5종류로 1인당 750달러에서 최대 1000달러가 수여됐다. ▶뉴 웨스트 민스터 가필드 호텔 착공 BC주정부는 올해 7월 착공한 뉴 웨스트민스터 시내 가필드 호텔(Garfield Hotel)이 870만 달러를 들여 완성되면 노숙자들이 임시거처 11세대와 사회보장 아파트 13세대를 이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라고 15일 발표했다. 호텔은 뉴 웨스트민스터 도심에서 약간 비껴나 컬럼비아 스퀘어 뒤 편에 위치하고 있다. 캐나다 정부와 BC주정부의 자금 및 투자지원을 통해 올해 7월 로열 에비뉴(Royal Ave.) 1105번지에 건축 공사가 시작돼 내년 6월에 완공될 예정이다. 완공 후에는 비영리 단체 룩아웃 비상지원협회(Lookout Emergency Aid Society)가 호텔 관리와 운영을 맡는다. 호텔 거주자는 거주공간을 제공받으면서 요리, 예산세우기, 기초 위생, 자생을 위해 필요한 기술 습득 등을 교육 받을 예정이다. ▶트라이시티 곰 동면준비에 주의 코퀴틀람, 포트 코퀴틀람, 포트 무디 3개 도시는 9월은 곰이 동면(hibernation) 준비를 위해 닥치는 대로 먹이를 먹는 이상식욕(hyperphagia)을 보이기 때문에 주의하라고 주민들에게 촉구했다. 몸집을 부풀리기 위해 쓰레기통을 뒤지거나 심각한 경우 사람을 습격할 수도 있다. 포트 코퀴틀람 시청에 따르면 곰은 9월 하루 1만5000에서 2만 킬로칼로리의 먹이를 먹는다. 한국은 천고마비(天高馬肥)지만 밴쿠버 9월말은 천우웅비(天雨熊肥)의 계절이다.
밴쿠버 조선
2009-09-18 00:00:00
-
-
“상업용 부동산 회복세 보인다”
콜리어스 인터네셔널(Colliers International)은 올해 2분기 메트로 밴쿠버 상업용 부동산 시장 공실률이 하락하면서 일부 지역에서 상업용 부동산 회복 움직임이 있다고 분기별 분석보고서를 통해 밝혔다. 콜리어스는 노천공간이 있는 메트로 밴쿠버 내 음식점 중심 쇼핑센터 산매점 공실률이 지난해 말에 4.16%까지 치솟았으나, 올해 2분기 2.43%로 내려갔다고 밝혔다. 이와 같은 산매점 공실률 하락은 빈 공간으로 남아있던 포트무디 셔터 브룩 몰이나 노스 델타의 2개 센터에서 리스 계약이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해당사는 분석했다. 일부 도심에서는 대규모 업체가 문을 닫은 자리가 남아있다. 애보츠포드에 웨스트 오크 쇼핑센터에는 3만6000평방피트 공간이 생겨 2분기 공실률을 높이는 요인이 됐다. 반면에 일부 지역 쇼핑몰에 생긴 공간은 빠르게 다음 입주자가 채웠다. 버나비 마린드라이브 인근 빅벤드크로싱에 스포츠첵 입주 사례나 린넨앤 싱스가 나간 코퀴틀람 점포에 입주한 홈아웃피터스, 밴쿠버 그랜뷰 하이웨이에 입주한 스테이플스 등이 대형업체가 빈자리를 빨리 매운 사례로 꼽힌다. 콜리어사는 지난해 4월 산매판매가 기대하지 못했던 6.2%나 빠진 이후 올해 4월 0.8% 증가하는 등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런 움직임은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도 반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밴쿠버 조선
2009-09-18 00:00:00
-
"8월 캐나다 주택 거래량 18.5% 증가"
캐나다 부동산 협회(CREA)는 멀티플리스팅서비스(MLS) 집계 결과 8월 캐나다 국내에서 기존 주택 4만2483세대 거래가 이뤄져 지난해 8월보다 거래량이 18.5% 늘어났다고 15일 발표했다. 협회는 전년과 비교할 때 3개월 연속 15% 대상 거래량 증가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거래량이 증가하기는 했으나 2007년 8월에 비하면 6.6% 적은 숫자다. 주택 거래량은 지역별로 다른 양상을 보여준 가운데 협회는 앨버타주와 퀘벡주에서 거래량이 감소했으나 BC주에서 거래량이 늘어났다고 밝혔다. 데일 리플링거(Ripplinger) CREA회장은 “3분기 전국에서 주택 매매는 2분기와 비교할 때 많이 늘어났다”며 “낮은 이자율과 주택보유 적정성(affordability) 개선이 구매자를 움직이는 동인이 되는 가운데 소비자신감의 연속 상승은 다가오는 몇 개월간에 대해 좋은 암시를 주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할 때 밴쿠버 지역 부동산 거래량은 무려 117%나 늘어났다. 토론토(27%)나 캘거리(17%), 몬트리올(9%) 등에서도 증가가 일어나기는 했지만, 밴쿠버에 못 미친다.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거래가 오름세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8월 캐나다 주택 평균 거래가는 32만4779달러로 작년보다 11.3% 올라 8월 평균거래가 최고 기록이 세워졌다. 협회는 MLS를 기준으로 앨버타주를 제외하고 캐나다 전국에서 8월 평균 거래가 신기록이 수립됐다고 지적했다. 새로운 매물은 8개월 연속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8월 새로 등록된 매물은 6만4167세대로 지난해보다 8.9% 줄었고, 지난 5년간 가장 매물이 적은 8월을 기록했다. MLS에 오른 재고매물은 총 21만2227세대로 판매호응과 신규 매물 감소에 힘입어 지난해보다 13.3% 줄었다. 그레고리 크럼프(Klump) 협회 수석경제분석가는 “소비자 감정의 균형추가 큰 구매를 해도 되겠다는 긍정적인 영역으로 넘어왔다”며 “주택매매시장에 중요한 요소인 주택담보대출(모기지) 이자율이 최근 내려 매매증가 현상을 지탱해 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BC주에서는 8월 한 달 동안 총 41억5610만 달러어치 주택 9053세대가 거래됐다. 8월 새로 등록된 매물은 1만4482세대다. 지난해 8월과 비교할 때 총 판매액은 78.6%, 판매 세대수는 61.3%, 늘어나 캐나다 전국에서 가장 좋은 거래실적을 보였다. 단 BC주 신규매물을 8월 1만4482세대로 작년 8월보다 7.1% 줄었다. BC주 주택 평균거래가는 45만9080달러로 지난해 8월보다 10.7% 올랐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밴쿠버 조선
2009-09-18 00:00:00
-
“캐나다 온라인 부동산 경매 시장 만들겠다”
캐나다에 온라인 부동산 경매가 시작될 예정이다. 호긴스 옥셔니어(Hodgins Auctioneers)사는 온라인 부동산 경매를 오는 23일 개설해 30일까지 매물을 판매한다고 밝혔다. 온라인 경매에는 BC주와 앨버타주, 사스캐처원주, 매니토바주 매물들이 나올 예정이다. BC주 매물로는 포트 세인트 존에 있는 1370평방피트 1/2 듀플렉스가 나와 있다. 배리 융(Jung) 호긴스 사장은 새로 전국 부동산판매부장직을 만들고 매트 존슨(Johnson)씨를 임명해 부동산 경매사업을 캐나다 전국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업무를 맡겼다고 밝혔다. 호긴스사는 미국의 사례를 캐나다에 도입한 것이다. 전국경매협의회(NAA)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서는 부동산 586억 달러어치가 경매를 통해 처분됐다. 존슨 부장은 “캐나다 인구가 미국 인구의 10%인 점을 고려하면 캐나다에서도 부동산 경매 시장이 충분히 성장할 공간이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밴쿠버 조선
2009-09-18 00:00:00
-
“예상보다 훨씬 괜찮다”
밴쿠버 주택시장이 다시 활기를 띠면서 전문가들도 바빠지고 있다. 지난해 말과 올해 초 발표한 주택시장 전망을 수정해야 하는 때문이다. 이미 각종 부동산 전문기관마다 예상치를 대폭 상향 조정했다. BC부동산협회는 지난 달 말 발표한 3분기 주택시장 전망보고서에서 올해 전체 거래량(7만9400건)은 15% 증가하겠고 평균가격(45만1200달러)은 -1% 하락하는데 그칠 것으로 내다 봤다. 지역별로는 밴쿠버(28%), 빅토리아(20%), 프레이저밸리(18%)의 거래량이 크게 늘어나는 반면 쿠트니(-5%), BC북부(-14%) 등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또, 2010년 거래량(8만4200건)은 6% 증가하고 평균가격(45만7600달러)도 1%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이는 사상최고 거래량을 기록했던 2005년의 10만6310건에는 못 미치는 수준이다. BC부동산협회는 2010년 밴쿠버 지역 집값은 평균 2%정도 오를 것으로 봤다. 한인 부동산 중개사 L씨는 “전문가들의 예상이란 것이 제대로 맞는 경우도 없지만 요즘 분위기는 이런 저런 전망보다 훨씬 괜찮다”면서 내년 상반기까지 상승분위기가 이어질 것 같다고 했다. /이용욱 기자 lee@vanchosun.com
밴쿠버 조선
2009-09-11 00:00:00
-
-
“주택시장 회복세 놀라워라”
“부동산시장이 활기를 띤다는 것은 다행이지만 놀랍습니다. 이렇게까지 급격하게 늘어날 것이라고는 전혀 예상 못했습니다. 내수 경기만 뒷받침된다면 주택시장의 이런 분위기는 오래갈 것 같습니다.” 한인 부동산 중개사 P씨는 최근 보유하고 있던 매물 6채를 모두 팔았다. 올해 봄만해도 좀처럼 매기를 찾아볼 수 없었던 물건이다. 일부는 귀국하는 유학생 부모 때문에 급매형태로 팔기도 했다. 그러나 6월 이후 양상이 달라졌다. 중앙은행이 기준금리 사상 최저수준(0.5%)에서 동결하고 내년 상반기까지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밝힌데다 실물경기가 조금씩 살아나면서부터다. 주택시장 상승분위기는 BC주 뿐만아니라 캐나다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캐나다 부동산협회(CREA)는 당초 전망을 대폭 수정해 올해 BC주의 주택거래량은 7만2500채로 지난해 보다 5.2% 증가하고 내년에는 7만7600채로 7%가량 늘어 날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주택가격 상승폭은 예년 같은 두자리수 상승세가 아니라 한자리 초반대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캐나다 부동산협회가 상향 조정한 캐나다 집값 상승률은 올해 1.5%, 내년 2.1%다. /이용욱 기자 lee@vanchosun.com
밴쿠버 조선
2009-09-04 00:00:00
-
“망설이다 놓쳤어요”
다시 활기를 띠고 있는 밴쿠버 주택시장의 이끄는 주력은 누구일까? 부동산 중개사들은 캐나다에 새로 정착한 이민자는 물론 생애 첫 주택구입자가 상당수를 차지한다고 분석한다. 물론 집을 줄이거나 늘여가는 기존 구매자도 많다. 스코샤 은행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06년 기준 내 집을 소유하고 있는 이민자는 72%에 이른다. 2001년(68%)보다 내 집 소유비율이 4% 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같은 기간 캐나다 토박이의 주택소유비율은 73%에서 75% 늘었다. 이민자들은 특히 고층아파트(콘도미니엄)을 선호했다. 캐나다 토박이 가운데 고층아파트를 소유한 비율은 6%에 불과한 반면 이민자는 2배가 넘는 14%였다. 또, 시대변화를 반영 하 듯 캐나다 전체 고층아파트 소유비율은 1981년 4%에서 2001년 9%, 2006년 11%로 높아졌다. 대부분 도심지역에 위치한 고층 아파트는 교통이나 생활에 편리하다는 점도 고려했다. 최근 고층 아파트를 구입한 P씨는 “이럴까 저럴까 망설이다 좋은 물건을 놓쳤다”고 했다. 예상보다 찾는 사람이 많다는 반증이다. 한인 부동산 중개사 K씨는 “중국, 홍콩, 인도 등 아시아 지역에서 이민하는 경우, 아파트를 찾는 경향이 있는데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다는 판단이 작용하는 것 같다”고 했다. /이용욱 기자 lee@vanchosun.com
밴쿠버 조선
2009-08-28 00:00:00
-
“주택시장 회복세 뚜렷”
주택시장 회복세가 뚜렷하다. BC부동산협회에 따르면 7월 전체거래량은 지난해 동기보다 53% 급증, 1만건을 돌파했다. 시장동향분석의 척도로 삼고 있는 매물대비 판매비율(20.6%)도 수급이 균형상태에 들어섰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빅토리아(32.3%), 밴쿠버(31.2%), 프레이저 밸리(25.3%) 등에서 거래가 활발했다. 지난해 7월 매물대비 판매비율은 10.8%에 불과했다. 거래가 늘어난 반면 매물은 -19.4% 감소했다. BC주 주택평균거래가격(46만3972달러)은 지난해 보다 4.4% 올랐다. 카메론 뮈어 BC부동산협회 수석경제연구원은 “밴쿠버와 빅토리아 지역 주택판매량 증가는 BC주택시장을 수급균형상태로 이끈 원동력”이라면서 “열기는 BC내륙 지역으로도 확산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인들의 시장참여도 늘고 있다. H씨는 지난 겨울 좀처럼 팔리지 않아 거둬들였던 집을 최근 보름 만에 팔고 아파트로 이사할 계획이다. 물론 가격도 조금 올려 받았다. H씨는 고층 아파트 가격이 많이 떨어졌고 부부가 단촐하게 지내기도 적합하고 판단했다. 또, 올 봄 캐나다에 정착한 C씨는 집값이 더 떨어질 것으로 보고 주택구입을 망설이다 최근 신축 아파트를 구입했다. /이용욱 기자 lee@vanchosun.com
밴쿠버 조선
2009-08-21 00:00:00